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영학 May 10. 2024

야생화 이야기

10 얼레지 


길수는 김참판 댁 하녀 소정이를 사랑한다. 그래서 김참판한테 결혼을 허락해달라고 청하지만 악랄한 참판이 농간을 부려 결국 둘은 결혼을 못하고 길수는 지참금으로 마련한 조 백 가마를 불에 태우고 자신도 몸을 던진다. 그런데 죽었다던 소정이 달려오더니 그 뒤를 따라 뛰어드는게 아닌가! 그리고 불이 꺼진 후 그곳에는 짚신 두 짝과 얼레지꽃이 예쁘게 피어있었다고 한다. 

얼레지: 보통 이렇게 군락을 지어 산다

얼레지 꽃의 전설이다. 꽃이야 어느 것이든 전설이 있다지만 얼레지 전설의 고향은 바로 내 놀이터 텃밭이 있는 가평 연인산 자락이다. 괜히 반가운 마음에 짧게 적어보았다. 


얼레지, 봄꽃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고 화려한 꽃이다. 6개의 홍자색 꽃잎도 아름답지만 꽃잎을 한껏 젖혔을 때 드러나는 선명한 W자 문양도 신기하기만 하다. 

얼레지: 꽃잎 가운데 W문양이 선명하다

화려한 모양에 걸맞게 꽃말도 “바람난 여인”이다. 왜 그런 꽃말이 붙었는지는 모르지만 난 얼레지를 볼 때마다 왕년의 여배우 “마릴린 먼로”를 떠올린다. 한껏 젖힌 꽃잎이 어느 영화에서 지하철 바람에 치마가 올라갔을 때 먼로가 당황해하던 모습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얼레지는 5월에 씨를 떨군 후 한 해가 지나면 잎이 하나, 세 해가 지나면 잎이 두 개, 그 다음해에 꽃대. . . 이런 식으로 꽃이 피기까지 6~7년이 걸린다는데 마릴린 먼로의 그 장면이 나오는 영화가 바로 “7년만의 외출”이다. 매미가 7년을 땅속에 있다가 보름 정도를 지상에서 머물다 죽듯이 얼레지도 꽃이 피고 보름 정도를 머물다 사라진다. 

얼레지와 박각시나방

우연히 어느 식당에서 얼레지나물을 얻어먹었는데 그 맛이 또 기가 막혔다. 덕분에 옛날엔 트럭으로 캐가기도 해서 멸종 위기종까지 몰렸다. 지금이야 위기를 벗어났다지만 여전히 어딘가에선 그렇게 남획을 하고 장사를 하는 모양이다.  

흰얼레지: 꽃잎이 흰색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다. 얼레지는 검은색을 띈다.

꽃은 보통 홍자색, 자색이지만 드물게 흰색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워낙 귀물이라 알현이 여간 어렵지 않다. 나도 지금껏 단 두 번 만났다. 네이버백과 사전에는 4~5월에 꽃이 핀다지만 지금은 이곳 경기북부에서도 3월 중순부터 피기 시작한다.

마릴린 먼로 <7년만의 외출>에서


작가의 이전글 야생화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