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놀이 Aug 21. 2024

변신 이야기 2

오비디우스

「변신 이야기 2」을 읽고...


  앞에서 설명했듯이, 이 책은 우리에게 익숙한 그리스ㆍ로마 신화 이야기다. 1편과 비슷한 내용이 많아, 중복된 내용은 제외하고 적어보겠다.


1. 용납 불가한 무지

  - 드뤼오페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드뤼오페는 요정들에게 바칠 꽃다발을 만들기 위해, 숲속에서 꽃을 꺾고 있었다. 어느 한 꽃을 꺾었을 때 줄기에서 새빨간 피가 흐르기 시작했다. 그 꽃은 파리아포스에게 쫓기던 중 나무로 변한 요정 로티스의 일부였다. 드뤼오페는 기도를 올리고 도망을 가지만, 결국 나무로 변하게 된다. 

  - 나쁜 의도가 없음은 고사하고 인간이 잘못됐는지 알아차릴 수 없는 행위에 대해서도 과도한 벌을 받았다. 무지는 용서의 이유가 될 수 없고, 인간은 미개척 영역을 두려워할 수밖에 없다. 인간의 사고를 좁은 우리 안에 가두고, 통제의 편의를 위한 권력층의 계략이라고 생각한다. 


2. 친족상간 등

  - 생각보다 부녀 결혼, 의붓형제간의 결혼이 많이 등장한다. 아마도 당시에는 권력층 사이에 배신과 계략이 난무하지 않았을까.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믿음이 가는 사람들을 주위에 둬야 하고, 그것이 혈족이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지금의 가족기업처럼 말이다.


3. 지방 권력자의 한계

  - 아폴로(아폴론)와 넵투누스(포세이돈)는 인간을 모습을 하여 트로이아 축성을 도았다. 트로이아의 왕 라오메돈은 사례를 약속하지만, 완성 후 보답을 하지 않았다. 넵투누스는 트로이아를 물바다로 만들어버렸다.

  - 한 나라의 왕(권력자)이어도 신의 심판으로부터 예외일 수 없다는 메시지를 준다. 결국 제사장과 최상류 층만이 신에 준하는 권력을 누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결사

  - 이 책의 마무리는 오비디우스의 결사로 끝난다. 대략적인 내용은 인간은 죽어서 육체와 이별을 하고, 영혼은 하늘의 별이 되어 영원히 산다는 것이다. 육신은 스쳐 지나갈 뿐, 영원한 세계가 남아있으므로 생전에 죄를 지어선 안 된다는 느낌을 준다. 당대의 세계관을 함축한 메시지라고 생각한다.




  변신 이야기를 읽으며, 인간의 욕심에 대해 한층 더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이 이야기는 대략 2,000년 전에 쓰였다. 이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긴, 2,000년의 세월이 일개 인간에겐 길어 보이지만 우주의 입장에선 시간도 아니지 않은가. 더군다나 인간은 똑같은 행위를 반복하기 때문에, 20세기가 지났다고 달라질 이유가 없는 것 같다.

  한 편으론 끊임없이 경쟁해야 하는 존재라는 사실이 씁쓸하다. 개인적으로 나는 경쟁을 좋아하지 않는다. 남들보다 조금 뒤처지더라도 경쟁에서 한 발자국 뒤로 물러선다. 같은 편일 때는 서로 잘 지내며 공생관계를 이루다가, 편이 갈라지는 순간 남을 밟고 올라가려는 생명의 질서에 질색을 느낀다. 물론 이해는 가므로, 겉으로 내색하진 않는다.

  나도 언젠가는 현대식 먹이가 될 것이다. 어디선가 자원이 무한히 나오지 않는 이상 생명이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마지막까지 나답게 살다가 이 생을 마감하고 싶다. 나 자신을 응원하고 나 자신과 헤쳐나가 보겠다. 모두에게 행운을 빕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좋은 문장 표현에서 문장부호까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