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지현Jihyun Park Jan 14. 2024

가치에 관하여

나 자신을 소중히 여겨라

새해에 들어서면서 365일 매일 명언을 읽기로 했다.


처음 한주일은 혼자 읽다가 함께 공유하면 좋을것 같아 제일 많이 사용하는 페이스북에 명언을 매일 공유하면 어떨까? 하는 제안을 했더니 많은 분들이 공감해 주셔서 매일 하나씩 올리고 있다.


오늘 행복 명언은 자기만족에 대한 것 이다.

물론 누구나 공감이 안 될수도 있지만 내가 행복하지 않으면 타인의 행복도 함께 공감하고 기뻐해 줄수 없다. 오늘 아침 명언을 읽다 보니 며칠전 읽었던

“철학과 인생” Philosophy for life 라는 책에서 읽었던 한 대목이 생각 난다.


The Stoic philosopher Rufus says the following.


“Virtue is not only a matter of theoretical knowledge, but also practical, just like medicine and music.


Just as the doctor and musician have mastered not only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ir trade but have also practised implementing them, likewise a person who wants to be good should not only thoroughly learn the teachings, but also practise doing them … [For] how could anyone gain self-control, if he only knew theoretically that one should resist pleasure, but had never practised resisting it?”


Rufus insists that philosophical training is physical as well as mental.


The Stoic student should, Rufus said, be trained to ‘adapt to cold, heat, thirst, hunger, plain food, a hard bed, abstinence from pleasure, and endurance of strenuous labour.


For through these and other things, the body is strengthened and becomes unfeeling, hard and useful for every task, and the soul is strengthened, being made manly through endurance of toil, and learning self-control by abstaining from pleasure.


——/////——

From "Philosophy for Life: And other dangerous situations" by Jules Evans

스토아 철학자 루퍼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덕은 이론적 지식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의학이나 음악과 마찬가지로 실제적인 문제이기도 합니다.


의사와 음악가가 직업의 이론적 측면을 습득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구현하는 연습을 한 것처럼, 마찬가지로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가르침을 철저히 배워야 할 뿐만 아니라 실천해야 한다.

쾌락에 저항해야 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만 알고 있지만 그것에 저항하는 연습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면 어떻게 자제력을 얻을 수 있겠는가?"


Rufus는 철학적 훈련이 정신적일 뿐만 아니라 육체적이라고 주장합니다.


루퍼스의 말에 따르면, 스토아학파의 학생은 '추위, 더위, 갈증, 배고픔, 담백한 음식, 딱딱한 잠자리, 쾌락을 절제하고 고된 노동을 인내하는 것에 적응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러저러한 일들을 통하여 육신은 강건해지고, 무감각해지고, 모든 일에 단단하고 쓸모 있게 되며, 영혼은 강건해지고, 수고를 인내함으로써 남자답게 되고, 쾌락을 삼감으로써 절제를 배우기 때문이다.


즉 체육을 통해서 우리는 나 자신의 가치, 행복의 성취를 배워간다고 한다.


또 아인 랜드는 우리의 가치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당신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는 것을 배워라, 즉, 당신 자신의 행복을 얻기 위해 싸워라”

- 신지식인을 위하여-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늠 사람은 어떤 것도 혹은 누구도 소중하게 여길수 없다. ”

-이기심의 미덕-

작가의 이전글 가난한 리처드의 연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