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엄마빌리티 Dec 30. 2023

말 느린 아이 놀이법: 놀이의 원칙

세상에서 놀이가 제일 어려운 부모를 위한 팁


놀이를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놀이할 때 부모의 역할은 관찰과 동기를 부여하는 것뿐이다. 아이는 놀 때 가장 잘 배우는 것도, 놀면서 한 뼘 성장하는 것도 맞다. 놀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학습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무조건 아이의 관심과 흥미에서 시작하여 자발적인 동기가 생기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그다음에도 하고 싶은 마음이 들기 때문이다. 


가장 먼저 아이가 관심 있는 장난감으로 어떻게 노는지 관찰하는 것이 시작이다. 그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아이를 유심히 관찰하면 아이가 어떤 사물에 관심을 보이고, 어떤 활동에 흥미를 보이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밥 먹다 수저를 컵에 넣다 뺐다 하고, 빈 통에 시리얼을 쏟기 좋아하고, 구슬을 빈 통에 넣다 뺐다 하는 놀이를 즐겨한다면, ‘넣고 빼는’ 패턴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그다음 가르쳐 주고 싶은 한 개의 어휘를 강조하고 목소리 높낮이를 조절하며 반복적으로 모델링해주면 된다. ‘가가 구구' 밖에 못 하는 옹알이 단계라면 ‘한 낱말' 단계에서 자극을 주고, ‘까까'라고 표현하는 ‘한 낱말' 단계면 ‘까까 + 넣어~’와 같은 ‘두 낱말 조합' 단계로 점차 주는 자극을 늘려가면 된다. 


또, 어떤 활동을 하든지 아이와 자연스럽게 눈 맞춤을 유도할 수 있는 곳에서 시작해야 한다. 만약 아이가 시리얼을 달라고 한다면 빈 통을 아이 앞에, 과자 봉지는 부모 손에 들고, 아이의 눈을 보며 과자를 하나씩 ‘쏙~’이라고 말하며 통에 넣어 주자. 아이가 통에 담긴 과자를 빼서 먹을 때 ‘빼~’ 혹은 ‘먹어~’ (타깃 어휘)를 반복하자.  타깃 어휘를 고를 때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적 단어 위주로, 듣기에 재미있기도 하고 따라 하기도 쉬운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면 더욱더 효과적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모델링의 주목적은 아이가 예측할 수 있는 패턴을 만들기 위해서다. 아이가 어느 정도 패턴에 익숙해지고 과자를 또 달라고 요청할 때, 부모는 무언가를 기대하는 반짝반짝한 눈빛으로 과자를 통에 넣을 듯 말 듯하며 살짝 멈춰줘야 한다. 여기서 멈추는 이유는 아이가 자발적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점은 멈춰있는 시간이 너무 짧아도 안 되고 길어도 안 된다. 시간을 너무 끌면 아이는 금세 흥미를 잃을 수 있다. 


아이가 과자를 통에 더 넣어 달라고 표현하면 즉시 ‘쏙~’ 하며 넣어주고, 별 반응이 없으면 관심이 다른 곳으로 가기 전에 ‘쏙~’ 하며 관심을 다시 끌어와야 한다. 이때, 아이는 꼭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되고 눈빛, 표정, 몸짓 중 어떤 방식으로 표현해도 좋기 때문에, 아이에게 강압적으로 말을 따라 하게 만들지 않아야 한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말하는 것보다 먼저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할 때 얼마나 즐거운지 느끼게 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작가의 이전글 놀이에도 밀당이 필요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