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11월 5일) 이후 25일이 지난 현재,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되면서 미국 제조업 경기 반등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최근 미국의 경제지표와 기업들의 자본적 지출(CAPEX) 증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뉴욕과 필라델피아를 포함한 지역 연방은행의 CAPEX 지수가 반등하면서, 제조업의 자본적 지출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 포착되었다. CAPEX 지수는 미래 이윤 창출을 위한 투자가 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미국 제조업 경기가 개선될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CAPEX 지수. TRADING ECONOMICS)
또한, 미국 제조업 생산은 차기 정부의 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기대하며 내년 전망이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 친화적 정책이란 법인세 인하와 규제 완화를 의미하며, 이는 곧 기업의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들이다
고용 측면에서도, 서비스업의 임금 상승률 둔화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고용 수요가 확대되어 전반적인 노동시장 상황은 양호한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 제조업 경기가 반등하면 국내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내 대미 수출 비중이 상당히 크다는 점에서, 미국의 경제 성장과 기업들의 수입 수요 증가가 한국의 수출 증가세를 뒷받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3년 1분기 대미 수출 비중은 한국 전체 수출의 약 15%**에 달했으며, 이는 미국 제조업의 경기 회복이 한국의 수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미국 10월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으며, 이는 미국 소비자의 소비 여력이 여전히 견조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말 소비에 대한 기대가 존재하는 가운데, 제조업 경기 회복은 한국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PCE지수. TRADING.ECONOMICS)
마지막으로 중요한 점은 트럼프 트레이드(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와 관련된 종목에 투자하는 것)가 점차 완화되면서, 과도하게 저평가된 국내 주식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는 점이다
트럼프 트레이드는 미중 무역 전쟁과 관련된 정책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이 완화되면 글로벌 경제가 회복되면서 국내 주식의 매력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주식 시장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완화와 같은 글로벌 경제 회복의 이점을 가장 먼저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국내 주식에 대한 투자는 경제 회복과 함께 긍정적인 전망을 가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