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인벤터실록 Dec 19. 2024

AI는 나만의 외국인 친구

완벽한 비서를 꿈꾸며

어느 날 아침, AI 비서에게 간단한 부탁을 했다. "오늘 오후 3시에 있을 회의 자료를 정리해 줘." 그런데 AI는 의외의 질문을 던졌다. "어떤 형식으로 정리해 드릴까요? 회의의 성격과 참석자의 직급을 알려주시면 더 적절한 형식을 제안드릴 수 있습니다." 잠시 후 나는 깨달았다. 내가 생각했던 '간단한' 부탁이 사실은 수많은 맥락과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요청이었다는 것을.


이는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다. AI가 더 똑똑해질수록, 우리는 역설적으로 더 많은 것을 설명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마치 외국인 친구에게 우리 문화의 뉘앙스를 설명하려 할 때처럼, AI와의 대화는 때때로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던 것들에 대한 더 정교한 설명을 요구한다. 이것이 바로 AI 시대가 우리에게 던지는 흥미로운 역설 중 하나다.


완벽한 비서를 꿈꾸며 시작된 AI 인터페이스의 여정은, 의도하지 않게 우리에게 '인간다운 소통'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AI가 발전할수록 오히려 더 어려워지는 이 아이러니한 상황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기술이 발전하면서 AI는 더욱 정교한 대화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GPT-4는 인간의 언어를 거의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처럼 보이고, Google의 Gemini는 다중 감각 정보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종종 AI와의 대화에서 답답함을 느낀다. 이러한 모순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그 해답은 아이러니하게도 AI의 발전 과정 자체에 있다. AI가 더 많은 맥락을 이해할 수 있게 될수록, 그것이 고려하는 변수도 함께 증가한다. 예를 들어, 단순히 '커피 한 잔 주문해 줘'라는 요청에도 AI는 수많은 질문을 던진다. 어떤 원두를 선호하는지, 카페인 섭취에 제한이 있는지, 현재 시간대에 적절한 선택인지 등을 고려하기 시작한다. 이는 마치 매우 꼼꼼한 비서가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려 노력하는 것과 비슷하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현상이 인간 소통의 본질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낸다는 것이다. 인간은 대화할 때 수많은 맥락적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처리한다. 상대방의 표정, 어조, 과거의 경험, 사회적 관계 등을 순식간에 종합하여 '적절한' 대화를 이어간다. 이러한 암묵적 이해는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우리는 그것의 존재조차 잊고 산다.


그러나 AI와의 대화는 이러한 암묵적 이해의 부재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AI는 모든 것을 명시적으로 처리해야 하기에,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던 소통의 요소들을 하나하나 분해하여 보여준다. 이는 마치 현미경으로 일상적 대화를 들여다보는 것과 같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인간 소통의 놀라운 복잡성과 정교함을 재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AI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은 실패가 아닌 계시에 가깝다. 그것은 우리에게 인간 소통의 본질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는 무엇임을 일깨워준다. 완벽한 AI 비서를 만들려는 시도는 역설적으로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한 능력들을 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AI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를 잘못 상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많은 사람들이 AI가 인간의 모든 능력을 완벽히 모방하게 될 것이라 예측했지만, 현실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AI가 발전할수록 우리는 역설적으로 '인간다움'의 실체를 더 선명하게 마주하게 된다.


완벽한 AI 비서를 만들기 위한 여정은 예상치 못한 깨달음을 가져다주었다. 인간의 소통은 단순한 정보 교환이 아닌, 무수한 맥락과 암묵적 이해가 교차하는 정교한 춤과 같다는 것을. 그리고 이 춤은 수많은 규칙으로 완벽하게 정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모호함과 유연성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임을.


따라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AI를 더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AI와 인간이 각자의 특성을 살려 조화롭게 협력하는 방법을 찾는 것일지도 모른다. AI가 가진 정확성과 처리 능력, 인간이 가진 직관과 맥락 이해 능력이 서로를 보완할 때, 우리는 진정한 의미의 인간-AI 협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결국 AI 인터페이스의 역설은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남긴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우리는 오히려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고유한 가치를 더욱 분명히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그리고 이러한 깨달음이야말로 AI 시대를 현명하게 항해할 수 있는 나침반이 되어줄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