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팝업플레이 서울 Jan 16. 2023

[트레이닝] 전문 플레이워크 트레이닝 과정

Playwork Training Course (PTC)

과정의 연습생 (Practitioner) 으로서 참여하고 배우고 연구하고 실행하며 플레이워크에 관한 어린이의 놀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테크닉 등을 배우며 현장에서 적용하며 실행 할 수 있는 트레이닝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한국 및 영국 그리고 다양한 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플레이워크에 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커뮤니티 기반 연구 및 실행 방법 고안, 아동의 놀권리 옹호 및 캠페인 등을 포함하여 어린이가 자기 주도적으로 만들어가는 놀이 환경의 핵심적인 측면을 개발하며 최신의 정보를 공유하며 발전 시킬 예정입니다. 

과정 이후 플레이워크에 대해 명료하게 다른이에게 설명하고 이해 시킬 수 있으며, 자신의 현장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실행을 통해 전문 플레이워커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워크 트레이닝 과정(Playwork Training Course)은 플레이워크의 태도, 이론, 테크닉, 개입, 관찰, 되돌아 보기 등의 연구와 실행을 배우고 능동적인 플레이워커로서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과정 세부 내용

과정 세부 내용


과정은 4파트로 총 11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art 1 - 플레이워크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a Playwork approach

Part 2 - 플레이워커로서 기본기 Playworker’s basic theory and techniques

Part 3 - 플레이워커로서 커뮤니티와 함께 하기 Make Play circumstance in the Community

Part 4 -플레이워커로서 연구하고 기획하고 실행하기 Playwork-Research, Planning, Action, Reflection 


Part 1 - 플레이워크에 대한 이해 


모듈 1.과정 온보딩 (On-boarding)

1.시작 전 오리엔테이션


모듈 2. 플레이워크 및 플레이워커로서 나에 대한 이해

2-1. ’플레이워커’로서의 '나'

-과거와 현재를 통한 나에대한 이해

-무의식 속 나에 대한 탐구

-'나'의 플레이워커로서의 챌린지

2-2. 플레이워크 개론

-플레이워크의 역사와 현재

-플레이워크의 철학과 태도 

-플레이워커의 역할과 활동

-플레이워커의 원칙 및 자질


모듈 3. 대상 (어린이) 및 놀이(Play) 에 대한 이해

-어린이(대상) 에 대한 이해

-어린이의 놀이는 무엇인가? 

-어린이 놀 권리 및 놀이 환경에 관한 국내외 상황

Part 2 - 플레이워커로서 기본기


모듈 4. 플레이워크 이론  및 다양한 환경에서 어린이 놀이 환경 지원하기 (1)

4-1. 플레이워크 이론

4-2.어른의 중재 및 개입 방법

-놀이 과정 관찰하기 (프레임, 사이클, 큐, 응답 등)

4-3. 공간 및 루즈파트 기획하고 운영하기


모듈 5. 플레이워크 테크닉 및 다양한 환경에서 어린이 놀이 환경 지원하기 (2)

5-1.플레이워크의 환경 수정 (사전- 운영중- 사후) 

-리스크-이익평가의 개념을 포함한 리스크 관리 (물질/ 비물질)

-도전적인 행동/ 다문화 및 현재 어린이가 직면한 문제 등에 관해

5-2.플레이워크의 테크닉


모듈 6. 현장에서 플레이워크 실습


모듈 7. 플레이워크의 되돌아보기 및 실행 연구


Part 3 - 플레이워커로서 커뮤니티와 함께 하기 


모듈 8. 커뮤니티 안에서 놀이판 기획하고 운영하기 (Design & Management)

8-1. 시간, 공간, 다른 어린이들, 어른들의 태도 (한국 및 나의 현장 연구 및 분석)

8-2. 다양한 커뮤니티 안의 어린이, 가족, 커뮤니티 안 밖의 구성원들의 놀이판 구축하기


Part 4 -플레이워커로서 연구하고 기획하고 실행하기 


모듈 9. 나의 플레이워크 (Playwork) 놀이판 기획하기

-플레이워커로서 자신의 커뮤니티 또는 현장을 연구하여 놀이판 기획하기


모듈 10. 놀이판 운영- 현장 코칭


모듈 11. 되돌아보기 - 피드백 및 수정 코칭


과정 운영 방법 및 정보 


1) 온라인 학습 가이드, 학습 및 연구 자료와

2) 되돌아보기 과정 (연습생 - Assignment) 제출 이후

3) 온/오프라인 워크숍을 통한 전달-정리-질의 응답

4) 연구 및 자신의 놀이환경 수정

5) 실습, 실행 및 코칭 등의 활동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커뮤니티 또는 현장의 놀이판을 연구하고 기획하여 실행하며 전문적인 플레이워커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트레이너와 함께 합니다.

1.일정 

모듈의 내용 및 트레이너 또는 연습생의 상황에 따라 일정을 조정할 수 있으나, 서로 평일 또는 주말의 일정한 시간을 사전 논의 하고 확정한 이후 진행합니다. 트레이닝 워크숍, 실습, 코칭 등은 모듈의 내용에 따라 1시간 30분 에서 3시간 사이로 진행됩니다. 


2.온라인 학습 및 연구 자료/ 과정 발표 자료 

모듈의 내용 및 트레이너 또는 연습생의 상황에 따라 온/오프라인 워크숍으로 진행되며, 

온라인 워크숍 전 연습생의 학습을 위한 레코딩 된 온라인 학습 가이드와 학습 및 연구 자료를 링크로 보내드립니다. 

연습생은 모든 과정 이수 이후 플레이워커로서 커뮤니티 내 아동의 놀 권리 및 플레이워크의 확산을 위해 활동 시, 과정 발표 자료 (프리젠테이션 내용)가 부분적으로 필요하다면 자료의 저작권자 플레이워크 코리아와 논의 후 사용 가능합니다.

3.모듈에 따른 진행 방식

연습생 및 트레이너의 상황에 따라 진행 방식은 유동성 있게 수정 될 수 있습니다. 

1)플레이워크 트레이닝 개론 및 기본 과정  

모듈 1

온보딩 세션은 오프라인 대면 진행합니다. 

모듈 2/3/4/5

사전 학습을 위한 레코딩 된 온라인 학습 가이드와 학습 및 연구 자료가 이메일로 송부 되며 이후 연습생은 정해진 일시까지 되돌아보기 과정 (Assignment)을 트레이너에게 이메일 하고 본인의 과정 폴더에 담습니다. 

이후 관련하여 트레이너와 연습생이 온라인에서 만나 모듈의 내용을 다시 한번 전달하고 ⟶ 정리하며 ⟶ 연습생의 메타인지와 미디어/디지털 리터러시를 바탕으로 모듈을 공부하며 궁금했던 내용을 질의 응답하고 탐구하며 배우는 시간을 갖습니다.

모듈 6

트레이너의 현장 사이트가 있을 경우 최소 1회 참여하여 현장에서의 플레이워크를 경험합니다. 이 과정은 사전에 트레이너와 참여 일자를 논의해야 합니다. 현장에서 되돌아보기 세션을 갖습니다. 

모듈 7

상황에 따라 온/오프라인에서 연습생 기수들과 만나 그동안의 학습 과정과 실행 과정을 되돌아 보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2) 실행/ 운영/ 되돌아보기 코칭 과정 

모듈 8/9

오프라인 워크숍으로 강도 있게 진행 됩니다. 

모듈 10/11

운영 및 되돌아보기 코칭 모듈은 연습생 스스로가 놀이판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모듈이므로, 각자의 상황과 시간에 맞게 1:1 또는 2:1 (팀일 경우) 로 진행합니다.


4. 과정 자료 

필수적으로 필요한 자료는 트레이너가 정리하여 워크숍 사전 또는 사후에 과정 공용 드라이브를 통해 제공되며, 연습생은 다운로드하여 확인 및 학습 가능 합니다. 

5.되돌아보기 과정 (Assignment)  

    모듈 당 최소 최소 4개에서 6개의 질문 또는 주제가 있는 활동이 주어집니다.   

    질문 또는 활동에 관한 스스로의 생각 또는 자료 등을 글 또는 원하는 포맷으로 정리하여 본인의 되돌아보기 과정 드라이브에 트레이너와 함께 공유하며 워크숍 중 피드백을 받습니다.   

    정해진 기한 내에 제출 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나, 연습생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으며 기한 내에 제출하지 못할 경우 미리 트레이너에게 알립니다.   

    과정 중 정리한 내용을 플레이워커로 연습생으로서, 본인의 활동을 알릴 SNS 또는 블로그, 유투브 등의 창구에 올려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본인의 레퍼런스 (Reference)를 만들어 가며, 추후 플레이워커로서 활동할 때 용이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6. 실습

과정 운영 시, 플레이워크 코리아의 현장 사이트가 있다면 연습생으로서의 놀이판에 플레이워커로서 참여하며 연습생으로서의 임금이 지급됩니다. 

실습 이후 되돌아보기 과정은 필수입니다. 되돌아보기 과정은 현장에서 능동적으로 진행됩니다. 

7. 실행/ 운영/ 되돌아보기 코칭 과정 그리고 과정 이수 

Part 1~3 까지의 과정을 재미나게 진행하고, 마지막 'Part 4- 플레이워커로서 연구하고 기획하고 실행하기'에서는 본인의 커뮤니티 또는 현장에서 어린이 또는 커뮤니티 구성원의 놀이판을 연구 기획 및 실행하여 되돌아 보기 과정을 갖고 전반적인 플레이워크의 과정을 스스로 실행해 본 이후 과정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실행 과정에서 2번의 트레이너 코칭 과정이 진행됩니다. 


연습생의 상황에 따라 코칭이 1:1 또는 2:1 (팀으로 진행할 경우) 진행되며, 

모듈 9 종료 후 3개월 안에 놀이판 실행과 코칭이 진행 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연습생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미리 트레이너와 논의 합니다. 

8.덧붙여 ...

지식 전달만의 트레이닝 과정이 아닙니다. 

트레이닝 기간 동안 연습생 스스로가 자신을 발견하고 성장의 변화를 겪으며 기존에 자신이 하던 생각과 사고방식의 틀에서 벗어나 각 모듈의 내용을 소화하기에 시간이 필요하고 힘든 과정이 될 수도 있습니다. 

9년차가 되어가는 플레이워커로서 저 또한 놀이판 그리고 현장에는 정답이 없고 계속 대상을 관찰하고 연구하고 실행하고 피드백 받으며 수정하는 태도로 더디지만 꾸준히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트레이너에게 정답을 제공 받기를 바라기 보단 플레이워커의 태도인 열린 놀이(Open-ended Play) 처럼 플레이워커로서 자기다움을 찾아가며 삶을 건강하고 재미나게 살아가며 어린이를 지지하고 지원하는 한 명의 어른이길 바라봅니다. 어린이 또한 놀이판에서 자신을 직면하여 보기 싫지만 스스로를 발견하고 인식하고 행동을 고쳐나가려 애쓰며 성장하는 시간을 갖는 것 같아요. 

이 트레이닝 과정 또한 그러한 과정입니다. 전문 플레이워커로서 성장하고 본인의 현장 또는 커뮤니티에서 놀이 커뮤니티를 구성해 나가고 실질적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놀이 환경을 지속이고 유동적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작지만 큰 시작이 되길 바랍니다. 



과정관련 대상


함께 하시면 좋아요 :)

-어린이(대상)을 사랑하고 놀이판 또는 그 외의 놀이 환경 지원 경험이 있는

-추후 플레이워커로서 직업을 가지고 연구 실행하고 싶은

-플레이워커로서 자신의 커뮤니티 및 대상(어린이)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업 하고 싶은

-커먼스 개념으로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플레이워크의 태도와 부합하는 활동을 실행하고 싶은 

-플레이워크 코리아의 다양한 놀이 프로젝트에서 플레이워커로서 활동하고 싶은

-어린이와 함께 하고 있는 자신의 현장에 플레이워크를 접목시켜 연구하고 실행하고 싶은

-활동가를 뛰어 넘는 연구/활동 및 기획자로 나아가고 싶은

-놀이 커뮤니티를  만들어 가기 위해 플레이워크 이외의 역량(협의, 기획, 예산 등)도 성장시키며 프로젝트 메니져로 나아가고 싶은

-건강한 플레이워크 문화와 커뮤니티를 함께 만들어 가고 싶은

         


잠시 생각해 보셔야 해요.:(

-놀이를 콘텐츠화 하여 배우고 싶은

-놀이 환경을 지원하는 플레이워크 태도와는 상반된 놀이를 콘텐츠화 하여 어린이가 주도하기 보단 가이드 된 놀이 콘텐츠를 제공하고 싶은 

-어린이(대상)의 놀 권리와 자기다움을 찾는 환경을 조성하기 보단 어른의 관점에서 다수의 체인점으로 확장을 원하며 돌봄 서비스의 목적이 방향성인 

-연구와 실행 그리고 피드백을 통해 커뮤니티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직업인으로서 플레이워커를 가져가기 보단 자격이 필요한

-취미로 생각하여 배우고 싶은

-온라인 워크숍 및 기획의 툴이 복잡하고 불편하고 용이하지 않다 생각하는

-능동적으로 스스로 플레이워커로서의 길을 개척해가고 싶지 않은

    


트레이닝 과정 이후 무엇을 할 수 있나요?

-자신의 커뮤니티, 지역 또는 다양한 장소에서 대상 (어린이)의 문제 해결을 위한  플레이워커로서 창업 및 활동 

-플레이워크 코리아 커뮤니티에서 워킹그룹으로 함께하며 연구 및 실행

-플레이워크 캠퍼런스(Camference), 세미나, 워크숍, 살롱, 스터디 및 북클럽 등에 참여

-팝업플레이 서울에서 공지하는 파트타임 포지션에 지원 가능 :포지션(미정)

    :추후 각 파트너사와 협력 후 포지션 오픈 예정

# 트레이닝 과정 이수 → 포지션 오픈→ 지원 후 선정된 분 인터뷰 

→ 적격자에 한해 플레이워크 수행 →수습기간 (관찰/연구/실행) , 플레이워커로서 다양한 장소 및 대상과 활동 과정 후 숙련 필요


모집 상세 내용

1.모집인원: 5명 (최소 3명~ 최대 5명)

2.일시 (최소 3개월에서 6개월 소요)

문의 (이메일 : popupplay.seoul@gmail.com) 

3.비용

문의 (이메일 : popupplay.seoul@gmail.com)    


신청방법 

과정 신청을 원하시는 분은 인스타그램 DM 또는 이메일 부탁 드립니다.  

3일내에 답변 드릴께요! 

인스타그램 @popupplay.seoul   

이메일 popupplay.seoul@gmail.com

첫번째. 보내드린 링크를 통해 과정에 신청합니다.

두번째, 트레이너와 인터뷰 후, 플레이워크 커뮤니티 및 과정의 적합성에 따라 등록 절차를 시작합니다.

세번째, 과정에 관한 내용과 계약서 수령 뒤 동의하시면 플레이워크 코리아와 서명한 동의서를 공유하고,

이후 입금 뒤 등록을 완료 합니다.  


이끄는 트레이너

팝업플레이 서울| 플레이워크 코리아 

대표/ 플레이워커(Playworker) : 2015.4~ 현재, 플레이워크 연구/기획 및 실행

*영국 Playwork PARS PPP4 (Level 4) 과정 이수

*Popup Adventure Play- PDC (Playwork Development Course) 과정 이수 


위 트레이닝 과정은,  팝업플레이 서울에서 9년간 한국 현장에서의 실행과 연구를 바탕으로 수렴된 피드백과 수정 사항을 거쳐 한국의 Practitioner 와 어린이 그리고 현장에 맞게 과정의 파트와 세부 내용을 유동적으로 기획하며 구성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영국 그리고 여러 나라의 플레이워크 자료와 논문 등을 조사 및 연구하여 현재도 한국 토양에 맞게 수정하고 적용 시키며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한국의 어린이들이 충분히 놀며 자기다움과 다양성 그리고 새로움을 일상에서 찾아가는 것이  당연 시 되는 그날까지 많은 응원 부탁 드립니다.


팝업플레이 서울 | 플레이워크 코리아




블로그 및 홈페이지 내용과 커리큘럼등은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저작권법으로부터 보호받고 있습니다. 

무단 도용과 복제를 금합니다. 

2024  팝업플레이 서울  |  플레이워크 코리아    

매거진의 이전글 [트레이닝] 커뮤니티 플레이워크 트레이닝 과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