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월간 이제희 Aug 25. 2019

추측 vs 검증 vs 예측

창업자에게 중요한 30가지 구별(Distinction)

추측 : 미루어 생각하여 헤아림.

검증 : 검사하여 증명함

예측 : 미리 헤아려 짐작함

    창업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게 뭐냐고 물어보면 추측한 가설을 검증하는 거라고 한다. 어떻게 검증해야 할까? 그런데 희망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나만 어려운 게 아니고 모든 창업자들이 어려워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내가 해야만 하는 것이기도 하다.

    월간 스타킹도 그랬다. 먼저 스타킹을 정기구독으로 서비스를 해보면 어떨까 였다? 그래서 스타킹을 5개 10개 묶어서 팔면 어떨까를 검증해봤다. 검증해봤는데 고객들의 반응이 신통치 않았다. 시장이나 마트에서 10개 들이 묶음 상품이 존재했고, 그들과 가격적으로 경쟁하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정기구독은 고객들이 싫증을 잘 낸다는 것을 파악했다. 결국 싫증을 넘어갈 만한 편리와 고객을 묶어 둘 수 있는 요소가 필요했다.

그래서 크라우드펀딩을 통해서 특수한 기능의 스타킹을 테스트해 봤고, 사이즈가 있는 스타킹을 테스트해 봤다. 확실히 두꺼운 스타킹에 대한 사이즈 수요는 존재했다. 하지만 얇은 스타킹에 대한 사이즈 수요는 그리 높지 않았다. 하지만 속바지 일체형이라는 기능을 더해 시장에 내놓았더니 반응이 좋았다.

    결국 추측을 통해 가설을 세우고 계속해서 검증이라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사업이다. 핵심은 추측 즉 가설을 잘게 쪼개고 다양하게 세우는 것이다. 잘게 쪼개야 거기에 따른 실행 방법이 떠오르고 검증을 할 수 있다. 고객별, 해결방법별, 채널별 등 다양한 추측과 가설이 존재한다. 그걸 적으라. 그리고 하나씩 밑줄로 그어가면서 실행하라, 그게 사업의 전부다.

    그리고 검증을 하였으면 보는 이로 하여금 예측할 수 있게 숫자로 표현해서 보여줘야 한다. 그 예측을 잘 표현해서 보는 이로 하여금 같은 것을 예측하게 한다면 투자나 지원사업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OOO 하겠습니다.’라고 말하지 말라, 그건 To do List에 적어 놓아야 할 말이다. ‘OOO 해 봤는데, 이런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이런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라. 그래야 지원사업도 받고 투자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사업을 구조적으로 표현하라 한다면 추측하고, 추측한 것을 검증하고 검증한 DATA를 가지고 예측하는 것이라 말하고 싶다. 이게 사업의 핵심이 아닐까?


이 주제로 강의나 멘토링을 합니다.

신청은 아래 링크로 신청해 주시면 일정 협의 후 진행합니다.

스타트업 멘토링은 방문해주시는 경우에 한해 1회 무료로 진행합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및 멘토링 신청

작가의 이전글 완벽 vs 반응 vs 호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