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승일 Apr 25. 2017

지금, 우리는 안전한가? (1) 방재의 정의 및 종류

1. 방재의 정의와 재난의 종류

'지금 우리는 안전한가?' 라는 제목으로 우리나라의 방재시스템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먼저 방재의 정의와 재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방재

방재의 정의는 사전적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방재 防災

재난이나  재해를 따위를 미리 막다.



2. 재난과 재해

앞서 방재의 정의에서 나왔던 재난과 재해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재난(災難)

뜻하지 않게 생긴 불행한 변고.

천재지변(天災地變)으로 말미암아 생긴 불행한 사고


재해(災害)

가뭄, 대화재, 전염병, 지진, 태풍, 해일(海溢), 홍수 따위로 인하여 일어나는 갑작스러운 재난(災難). 또는 그로 인한 피해를 말한다.



3. 재난의 유형


 <국민안전처>에서는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 사회재난, 생활안전 있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림 1] 재난의 유형




4. 자연재난

자연재난에는 호우, 대설, 낙뢰, 지진, 태풍, 황사 등이 있습니다.

[그림 2] 자연재난의 유형


1) 호우(집중호우豪雨, heavy rain)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하며, 6시간 강우량이 70mm이상 예상되거나 12시간 강우량이 110mm이상 예상될 때 주의보를, 6시간 강우량이 110mm이상 예상되거나 12시간 강우량이 180mm이상 예상될 때 경보를 발령합니다.


2) 대설(大雪, Heavy Snow)

일정 시간에 강설이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하며, 24시간 신적설이 5cm이상 예상될 때 주의보를, 24시간 신적설이 20cm이상 예상될 때. 다만, 산지는 24시간 신적설이 30cm이상 예상될 때 경보를 발령합니다.


3) 낙뢰(落雷, lightning)

번개 중 구름과 대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지방전이 인명 및 시설물에 직접 작용하여 피해가 발생되는 재해를 말합니다.


4) 지진(地震, earthquake)

지구 내부의 단층 붕괴 등에 의해 지반이 급작스럽게 변동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합니다.


5) 태풍(颱風, typhoon)

적도지방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서, 호우와 강풍을 동반하며, 이로 인한 홍수, 풍랑, 해일 등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합니다.


6) 황사(미세먼지黃沙, yellow dust)

중국과 몽골의 황사발원지에서 발생한 모래먼지의 유입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하며, 황사로 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 400㎍/㎥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주의보를, 농도 800㎍/㎥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경보를 발령합니다.


7) 홍수(洪水, flood)

하천이 범람하여 주변 지역에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를 말합니다. 홍수는 대체로 단기간의 집중호우나 장기간 지속되는 강수의 결과로 발생합니다.


8) 가뭄(旱井, drought)

오랜 기간에 걸쳐 비가 적게 내리고 햇빛이 계속 내리쬐어, 수문학적으로 물의 균형이 깨져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합니다.


9) 강풍(强風, strong wind)

바람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발생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하며, 육상에서 풍속 14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0m/s 이상이 예상될 때 주의보를, 육상에서 풍속 21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6m/s 이상이 예상될 때 경보를 발령 합니다.


10) 풍랑(强風, High Wind)

해상에서 바람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파고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하며, 해상에서 풍속 14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m 이상이 예상될 때 주의보를, 풍속 21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5m 이상이 예상될 때 경보를 발령합니다.


11) 폭염(暴炎, heat wave)

일정 기준 이상의 기온상승으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하며,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주의보를, 일최고기온이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경보를 발령합니다.


12) 해빙기(解氷期, thaw)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계절전환기에 지반이 동결과 융해현상을 반복하다가 겨울철 얼어있던 땅이 봄기운에 녹기 시작하면서 머금고 있는 수분양이 증가하여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이 약해지는 시기. 이 때문에 지반침하가 시설물 구조를 약화시켜 균열 및 붕괴 등 안전사고 발생 합니다.


13) 한파(寒波, cold wave)

일정 기준 이하의 기온하강으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합니다.


5, 사회재난

 사회재난에는 교통사고, 붕괴, 폭발, 화재, 사이버테러, 감염병 등이 있습니다.


[그림 3] 사회재난의 유형


1) 교통사고(交通事故, Traffic Accident)

자동차 사고는 교통사고 가운데 가장 빈번히 발생하고 사고로, 위험물질 수송차량 사고 시 사고지점에서 빠져 나와 대피해야 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외에는 부상자를 건드리지 말아야 합니다.


2) 붕괴(崩壞, Collapse)

주거 시설물, 축사, 동굴, 갱도 등의 붕괴나 파괴로 인한 사고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난을 말합니다.


3) 폭발(爆發, explosion)

테러 또는 취급 부주의 등으로 인한 폭발물의 폭발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난을 말합니다.


4) 화재(火災, fire)

화재는 흔하게 접하게 되는 재난 중 하나로 주된 원인은 사람들의 부주의와 방심에 의해 발생됩니다. 기온이 낮고 불의 사용도가 높은 겨울철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5) 산불(山火, bushfire)

번개와 같은 자연적인 요소나 담뱃불과 같은 인위적 요인들에 의해 산에서 발생되는 화재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합니다.


6) 사이버테러(網路恐怖主義, Cyberterrorism)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주요 기관의 정보 시스템을 파괴하여 국가 기능을 마비시키는 신종 테러로, 컴퓨터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군사, 행정, 인적 자원 등 국가적인 주요 정보를 파괴하는 것을 말한다.


7) 감염병(感染病, infectious disease) /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1) 사람전염병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 및 유행하는 질환으로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재난을 말합니다.


(2) 지카바이러스

1947년 우간다 붉은 털 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확인되었고, 인체감염사례는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8) 조류인플루엔자(AI, Avian Influenza)


AI(Avian Influenza)는 닭, 칠면조, 오리, 철새 등 여러 종류의 조류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전파속도가 매우 빠르며, 폐사율 등 바이러스의 병원성 정도에 따라 고병원성(HPAI), 저병원성(LPAI)으로 구분됩니다.



6. 생활안전

생활안전은 수난사고(물놀이), 산악사고, 전기(감전)사고, 가스사고 등이 있습니다.

[그림 4] 생활안전의 유형



1) 수난사고(물놀이水難事故, Water Accident)

물놀이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 및, 음수 수영, 자연적 요인으로 인한 계곡 고립 사고도 포함 합니다.


2) 산악사고(山岳事故, Hiking accident)

등산 시 발생할 수 있는 탈진 및 조난, 부상, 추락사고 외에 자연적 요인인 낙뢰로 인한 사고, 폭설, 폭우로 인한 고립 사고도 포함 합니다.


3) 전기(감전)사고(電氣事故, Electric accident)

인체에 전기가 흘러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말합니다.


4) 가스사고(gas accident)

가스 누출이나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중독·화재·폭파사고 등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재난을 말합니다.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국민안전처 

http://www.mpss.go.kr/home/index.html


#국립재난안전원

http://www.ndmi.go.kr/

#국가지표체계

http://www.index.go.kr/potal/main/PotalMain.do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OECD Data

https://data.oecd.org/


#행정자치부 정부조직관리정보시스템

https://org.moi.go.kr/


다음 글에서는 우리나라 자연재난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국내 인구 이동 현황 : 2017년 1 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