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승일 Apr 28. 2017

지금, 우리는 안전한가? (2)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2.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지금 우리는 안전한가?' 라는 제목으로 우리나라의 방재시스템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현황과 복구비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자수


[그림 1자연재해 피해자수(2007~2015)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위의 그림은 2007부터 2015년까지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자수의 추이입니다. 선으로 표시된 것이 사망 및 실종자수 추이이며, 막대그래프가 이재민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0년과 2011년에 이재민수가 급격히 증가 했다가, 2012년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여 2015년에는 확연히 줄어든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연재해로 인한 사망자 및 실종자 숫자는 2011년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가, 다시 줄어들어 이재민수와 마찬가지로 2015년에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럼 왜 2010년과 2011년에는 어떤 자연재해가 있었기에 피해자수가 많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2010년과 2011년 특별재난지역 선포 현황을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2010년에는 7월과 8월에는 두 번 호우 피해가 있었으며, 9월에는 제7호 태풍 곤파스가 피해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12월에는 대설로 인한 자연재해가 있었습니다.


2011년에는 2010년에 이어 2월에 대설로 인한 큰 피해가 있었으며, 7월부터 8월 중순까지 호우와 태풍이 동반된 많은 자연재해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자연재해들로 인해서 2010년과 2011년에 앞서 그림에 나왔듯이 피해자들이 비교했던 다른 해보다 많았던 것으로 생각 됩니다.


<표 1> 2010~2011년 특별재난지역 선포현황 (단위 /억 원)                    

출처 국민안전처


2.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액


1) 자연재해로 인한 전체 피해액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자연재해 피해액 중 2012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것은 2012년 8월과 9월 두 달 동안 태풍이 3개나 우리나라를 지나갔기 때문입니다. 8월에는 제14호 태풍 덴빈과 제15호 태풍 볼라벤이 연달아 우리나라에 피해를 주었으며, 9월에도 제16호 태풍 산바가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에 피해를 주었습니다.


[그림 2자연재해 피해액(2007~2015) (단위 백만원)

출처 : 국가지표체계 및 국가통계포털


2) 자연재해 유형별 피해액 현황


자연재해 유형별 피해액을 보면 가장 큰 피해를 냈던 것은 호우입니다. 2006년과 2012년 두 번의 큰 피해를 받았습니다. 2006년 7월에 집중호우와 제3호 태풍 에위니아가 겹처 큰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당시인명피해는 62명이었고, 재산피해액은 1조 8.344억 원이었으며, 복구비만 3조 5,125억 원 이었습니다.


[그림 6] 자연재해 유형별 피해액(2006~2015) (단위 백만원)

출처 국가지표체계 및 국가통계포털


3) 시도별 자연재해 피해액


자연재해로 인한 시도별 피해액은 2004년부터 20015년까지 합계액을 봤을 때, 강원도가 가장 높고 두 번째로 많은 피해를 입은 곳은 전남입니다. 그 뒤를 전북과 경남 순입니다.

강원도가 높게 나온 이유는 2006년 10월 강원도의 강릉·동해·속초· 삼척·고성·양양 등에 집중호우와 강풍, 풍랑으로 인해 재산 피해액만 699억 원에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그림 7] 시도별 자연재해 피해액(2004~2015)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3.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복구비


1) 시도별 자연재해 피해복구비


아래 그림은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시도별 자연재해 피해복구비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앞서 살펴봤던 피해액과 동일하게 피해복구비의 순서도 같습니다. 강원도가 가장 높습니다.


[그림 8] 시도별 자연재해 피해복구비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2) 자연재해 피해액과 피해복구비 비교


앞서 살펴봤던 피해액과 피해복구비 비교 그래프입니다. 피해액과 복구비 간에 차이가 나는 것은 산정방식의 문제점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다루겠습니다.


[그림 9] 자연재해 피해액과 피해복구비 비교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3)피해복구비 지원내역


2015년 피해복구비 지원내역을 살펴보면 총 복구비 중 자체복구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국고와 지방 순입니다.


[그림 10] 자연재해 피해복구비 지원내역(2015)

출처 : KOSIS 국가통계포털


[표 2] 국고와 자체(자력)복구          


국고 : 중앙정부 예산으로 지원되는 재원

- 의연금 : 국민성금

- 지방비 : 자치단체 예산으로 지원되는 재원

- 융 자 : 금융기관 융자를 통해 복구하는 금액

- 자부담 : 본인부담금액

자력복구 : 중앙정부 지원대상이 아닌 복구대상 금액(지자체 자체복구금액)

출처 국가주요지표체계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국민안전처 

http://www.mpss.go.kr/home/index.html


#국립재난안전원

http://www.ndmi.go.kr/

#국가지표체계

http://www.index.go.kr/potal/main/PotalMain.do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OECD Data

https://data.oecd.org/


#행정자치부 정부조직관리정보시스템

https://org.moi.go.kr/



다음 글에서는 우리나라 자연재난들의 세부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지금, 우리는 안전한가? (1) 방재의 정의 및 종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