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제목 : 나를 브랜딩(Brand+ing)하라
" 중간 제목: 말, 서로의 마음을 나누다
" 작은 제목 1 잘 말한다는 것
" 작은 제목 2 지역에서 강사로 살아남기
1. 말, 서로의 마음을 나누다
1) 잘 말한다는 것
①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과 소통하면서 자신의 삶을 가꾸어갑니다. 사람들은 말을 더 잘하고 싶어하고, 자신의 말이 타인에게 잘 전달되기를 바랍니다. 그러니 ‘말 잘하는 법’이나 ‘떨지 않고 발표하는 법’, ‘매력있게 말하는 법’ 등 다양한 스피치 방법에 대한 정보도 차고 넘치게 마련입니다. 저 역시 영어 강사를 시작으로 독서요약강사를 비롯한 여러 강의를 시작하면서 그와 같이 생각했습니다. 강사이기에 다른 사람보다 말을 더 잘 해야 하고, 멋진 멘트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좋은 정보를 잘 가다듬어 전달을 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생각이 많이 변했습니다. 인사만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람이 하는 일이 모든 일이다’라는 말입니다. 여담이긴 하지만, 이런 말도 있습니다. 인사만 잘해도 만사가 해결된다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인사를 잘 한다는 것은 환한 모습으로 상대를 맞이하는 자세입니다. 서로에게 인사만 잘해도 기분좋은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은 우리가 하는 말에서 시작하고 말에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여기서 말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상대의 입장을 고려하고, 할 수 있는 말과 해서는 안되는 말을 구분하는 것 말입니다. 말은 우리가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면서 소통하는 소중한 도구라는 사실을 직시해야합니다. 소통을 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상대가 나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상대의 입장을 이해해야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먼저 상대의 이야기에 집중하고 잘 들어야합니다. 경청(敬聽)이 중요하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상대를 존경하고, 상대의 이야기에 집중해서 듣는다는 말입니다. 이청득심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상대의 상황을 살피며 귀 기울여 경청하면 상대의 마음을 얻는다는 말입니다. 상대의 마음을 얻고나면, 상대가 나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은 훨씬 수월할 것입니다. 이미 마음을 열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자신의 말을 해야합니다. 잘 듣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잘 표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우선 자신의 감정을 알아야합니다. 자신의 감정에 따라 나오는 말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말에는 표정이 있습니다. 내가 하는 말에 어떤 표정이 담기는 지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제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진솔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진솔에는 상대에 대한 배려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상대를 배려하는 진솔한 말이 가지는 힘은 생각보다 강합니다. 발음과 발성을 잘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없어도 될 듯합니다. 발성과 발음까지 좋다면 금상첨화겠지만, 모두가 모든 것을 다 잘 할 수는 없습니다. 강의 현장에서 오랫동안 서 있지만, 여전히 저는 지역 언어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아니 벗어나려고 하지 않습니다. 군 생활을 제외하고 경남을 벗어나지 않았으니, 자연스레 우리 지역말에 익숙합니다. 그리고 저는 우리의 지역말이 지니는 친숙함과 따뜻함을 사랑합니다.
2) 지역에서 강사로 살아남기
① 한 지역에서 강사로 살아간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끊임없이 공부하고, 배우며 그 배움을 실천해야하는 일입니다. 학원을 할 때는 좋은 강사가 되기 위해 영어관련 서적을 닥치는 대로 읽고, 공부했습니다.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자, 영어 교수법을 공부했습니다. 영문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원서를 구해 읽으면서 영어의 기초를 다지고, 학생들에게 진짜 영어를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영어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독서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독서는 다양한 배경지식은 물론 세상을 관찰하고 개인의 성찰을 돕는 최고의 매개체입니다. 독서에 매진하면서 요약하고 정리하는 법을 배우고, 제가 배운 내용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조금씩 전수하기 시작했습니다. 영어 인증 시험을 매달 치루면서 스스로 영어에 대한 감각을 유지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늦은 배움이지만, 2008년에는 방송통신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했고, 2011년에 영문학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더 넓은 세상으로 나갈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영어를 좀 더 생생하게 전달하고 싶어 번역사에 도전했습니다. 독학으로 책을 통해 익히고 배우는 것이 어려웠지만 도전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번역사 시험에 3번 떨어지면서 원인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우리말이었습니다. 우리말을 공부했습니다. 단어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그 의미에 숨은 의미까지 생각하면서 어휘를 확장했습니다. 덕분에 여러 공모전에서 수상을 하는 행운을 누렸습니다. 2013년에는 아동문학으로 등단했습니다. 이후 틈이 날 때마다 글을 적으며, 세상을 새로운 시각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도전한 2014년 번역사 시험을 통과했습니다. 민간자격부터 시작하여, 국가공인 자격까지 30여개의 자격을 취득했습니다. 사설 공공도서관인 작은 도서관 다미>를 개관하면서 책과 더욱 가까워졌습니다. 독학만으로 할 수 있는 공부는 반면, 현장에서 직접 참여해야만 배울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2017년에는 경남대학교 평생학습과정에 참여하여 다양한 교수법을 연수받았습니다. 그래도 모든 배움의 중심은 책으로 이뤄졌습니다.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배움의 방식이 존재합니다. 온라인 세상은 현대의 우리에게 새로운 세상을 전해줍니다. 여전히 COURSERA와 Khan-Academy를 기웃거리며, K-MOOC를 열심히 들으면서 자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을 활용하고, EBS를 통해 운전을 하는 시간에도 영어를 꾸준히 익혔습니다. 짬을 내어 글을 쓰면서 마음을 세상에 소리치고, 틈틈이 온라인에 글을 올리면서 세상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과 사진을 활용하여 시대에 맞게 세상과 소통합니다. 배움의 즐거움을 죽을 때까지 향유할 수 있으나, 세상이란 프레임에도 나를 맞출 수 있어야 합니다. 2019년에는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에 입학하여 사회복지사 2급을 취득하였습니다. 그렇게 배우고 익힌 내용을 공유하고 싶은 욕구가 생겼습니다. 강의활동은 사회복지관에서 어르신들께 영어 강의로 시작했습니다. 이어 도서관에서 독서와 영어강의를 시작으로 여러 기관에서 청소년, 청년, 성인, 학부모, 어르신께 다양한 주제로 강의를 하면서 현장에서 배워가고 있습니다. 소통, 자기계발, 부모교육, 경제교육, 인권교육, 인문학 강의 등 다양한 배움을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문화예술분야에서 어르신들을 위해 삶을 되돌아보는 문화예술교육 지역특성화 프로그램 참여, 군인들의 독서 독려를 위한 군부대 독서 및 글쓰기 특강도 다녔습니다. 공동체 활동가로 도시재생대학, 주민자치활성화 연수, 소상공인 컨설팅 등 다양한 경험을 함께 나누고 있습니다. 하지만, 잠시라도 멈추면 어느새 도태되고 마는 것도 강사라는 직종입니다. 또한 강사는 정해진 급여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고정 강의라 하더라도 계약 기간에 따라 재계약을 해야합니다. 재계약이 되지 않으면 또 다른 강의 자리를 찾아 매번 정보를 찾아야만 합니다.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단기 강의나 특강을 하면서 생활을 이어가는 일도 쉽지 않습니다. 어쩌면 이런 모든 행운이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는 도구 ‘말’을 잘 활용한 사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