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nish Aug 31. 2022

박사 졸업, 그 이후에 대하여

전문성은 변화를 따라잡는 것이다.

내 커리어에선 하나의 변곡점이 있었다. 8년이 넘는 시간을 언론인으로 일했는데, 그 이후로 박사를 하게 되면서 연구인이 되었다.


직장과 병행하며 한 연구 생활이었는데, 나름 열심히 한 거 같다. 1년 6개월이 조금 넘는 시간 동안 쓴 논문은 총 14편. 6편은 게재했고, 3편은 투고했으며(이 중 1편은 accept), 나머지 5편은 working paper로 투고 대기 중이다.


그런데, 내가 열심히 한 것과 연구인으로서 경쟁력은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이를테면 미국 박사에 비해 국내 박사는 아무래도 시장 가치가 덜할 수밖에 없다. 같은 국내 박사이더라도 나처럼 다른 커리어 출신이라면 좋게 보일 수 있다.


가장 안 좋은 점은, 커리어 상의 일관성 결여랄까. 의외로, 세상은 커리어의 다양성보단 '하나에 올인한 경우'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조금 더 큰 거 같았다. 아무래도 채용을 하는 입장에선 더더욱 그럴 수 있겠다.


언론인 출신 박사보단, 꾸준히 연구만 했던 박사가 더 나아보일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최소한 일관성은 있을테니.


잠시 딴 얘기. 얼마 전 친구와 만나 식사를 했다. 놀랍게도, 이 친구는 내가 (주 전공인) ESG를 연구하기 훨씬 이전 시점에 ESG를 연구한 것을 권한 바 있다. 놀라운 것은, 이 친구는 연구자도, 전문 투자자도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 '돈이 가는 흐름'에 대하여 상당히 해박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식사 자리에서 그 친구는 내게 ESG 대신 새로운 트렌드, 이를테면 블록체인, 토크노믹스 등에 관심 가질 것을 권했다. 이런 트렌드가 앞으로 대세로 떠오를 것이란 얘기였다.


한 가지 다행인 것은, 내가 큰 흐름에서 전공이 재무금융이라는 것이다. 이 전공은 ESG 뿐 아니라 블록체인, 주식, 채권 등을 모두 망라한다. 전공이 보편성을 띤 만큼 좀 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어제 ESG를 전공한 나는, 내일 블록체인을 공부할지 모른다. 정확히 말하면 내 전공이 일관성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산업 트렌드 변화의 주기가 그만큼 짧아지는 거일 수도 있겠다. ESG이든 블록체인이든, 세상의 동태성을 읽으며 진단하는 경제학 박사는 계속 살아남을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어찌 보면, 내 전문성은 ESG도 아니고, 블록체인도 아닐지 모른다. 급변하는 세상의 변화를 따라잡는 것, 이것이 내 전문성일지 모른다. 5년 후, 10년 후에 내 자신이 무엇을 할지는 전혀 파악이 어렵다는 얘기일 거다.


내가 살아남고자 한다면, 어느 정도의 일관성은 부득이하게 포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30대 중반, 커리어가 바뀌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