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영 May 20. 2016

최근 근황

도전이라 하면 할만한 것들 

최근 많은 도전을 해보고 있다.


사실 도전이라기 보다는 그냥 했던 것인데. 남들 눈에는 도전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 


첫번째는 에듀콜라 - Educolla 웍샵이었다. 

기획이란 걸 거의 해본 적이 없다. 그냥 머릿속에 드는 생각을 실천해 보는 것 뿐... 그래서 즉흥적인게 많았는데 이건 그렇게 흘러가지는 않으니 쉽지 않았다. 생각하고 정리해서 협의하고 의논한다. 

재밌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내 선에서 정리해야 하는 게 있다. 그래도 내가 벌인 일이기도 하고 재미있게 되어가는 중이다. 제일 많이 생각했던게 라이브 방송이었는데 이미 정식으로 진행하시는 분들이 많아져서 조금 아쉽다. (내가 제일 먼저 해볼걸. ㅋ ) 다만 집단 라이브방송은 없을테니 정말 재미난 기회가 될 거라 생각한다. 

두번째는 행복배움준비교 연수계획서를 쓴 것이었다. 

사실 통과되기는 어려울거라 생각했지만 다 뒤엎어지는 느낌이라 좀 그렇다. 성공적인 연수가 무언지 잘 모르겠다. 뭐 15시간만 해도 되는 걸 23시간으로 만든 게 나쁜 건지 모르겠다. 선생님들한테는 부담은 되겠지만 분명 이 기회에 선생님들께 좋은 일이 되지 싶었다.  그리고 유익하게 만들 자신도 있었다. 강사들도 그 분야에서는 제일 전문가들을 선택했고 컨택중이었다. 

혁신학교라는게 한 방향으로만 흘러가는 건 말이 안된다. 어떤 식으로든 다양한 교육적 방향들이 제시가 되고 그게 받아들여지면 그것도 혁신학교의 한 분야라고 생각한다. 어디가 성공했다 해서 그 방식을 꼭 모든 학교가 따라야 하는 건 아닐게다. 정답이 하나라면 재미없다. 

사실 나는 미래의 학교는 모든 학교가 특성화교가 되는거라고 생각한다. 지금 학교 특색은 전부 교장이 바뀌면 바뀐다. 그게 학교의 특색일까? 교장의 특색이다.  학교 특색은 그 지역과 학교내의 교사들이 같은 가치관을 가지고 움직이면 그게 학교특색이라 본다.  더 자세히 이야기 하자면 미래의 학교는 체육을 조금 더 많이 하는 학교, 수학을 더 많이하는 학교, 예절을 중시하는 학교. 이런 식으로 세분화 되고 그 교육방식에 동의하는 학부모들이 자녀들을 그 학교로 보내는 형식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러면 교사들도 학교를 옮길 때 훨씬 편하게 올길 수 있을거다. (너무 유토피아적인 생각인가? )


세번째는 파견지원을 한 것이다. 

  이번 학교는 세번째 학교다.  내가 학교를 올길 때 즈음이면 나이가 40세가 될 것이다.  그때가 되면 진로를 확실히 해야 할거 같았다. 승진이든 비승진이든 열정적인 교사든 대충인 교사든 무언가 결은 만들어야 할거 같았다. 그러기 전에 해보고 싶은 일. 그리고 나에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는 일을 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말레이시아 한국학교 파견에 지원했다. 

 될지는 모른다. 아마 안될 확률이 많다고 본다.  일단 가진 점수가 얼마 없다. 하지만 내가 된다면 재미있는 일들을 많이 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가면 분명 예상과 다르겠지만 주도권을 가지고 일을 해보고 싶기도 했고 새로운 환경에서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일은 즐거울거라 봤다.

  나이를 먹으며 점점 터를 떠나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더 힘들어지기 전에 마지막 도전같은 느낌으로 무언가를 해보고 싶었다.(사실 계속 하겠지만.) 사실은 이게 내가 생각하는 유일한 도전이라 할만한 것이다. 나머지는 그냥 한거다. 

일단 한가지는 틀어졌고 나머지 두개 중 하나는 6월 1일에 다른 하나는 6월 중순에 결론이 난다. 사실 1일에 결론이 나는 것도  다음주에 결론이 날 수도 있다. 어떻게 되든 나는 가족과 함께 할거다. 그게 가장 중요한 결론이지. 


해보고 싶은 것들은 더 많지만 능력의 문제일 수도 있고 기회의 문제일 수도 있고... 

작가의 이전글 [Remember0416] 교사인 나에게 보물은 뭘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