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로 시작하는 많은 것들이 언젠가부터 생겨났다. 대체로 그것들은 가끔은 국뽕에 취하게 만들 만큼 자랑스러운 것이었고 몇 가지는 낯부끄러울 정도의 신조어로 억지로 만든 말처럼 느껴져 고개를 돌리고 싶게 만들기도 했다. 그런 많은 것들 중에 딱히 나랑 상관이 없어 보였던 것이 바로 K-장녀였다. 난 장녀였던 적이 없고 막내였으니 별로 와닿을 리가 없는 게 당연했다. 하지만 살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나는 막내였으나 장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고, 실제로 나중에는 먼저 세상을 떠난 오빠가 있어 외동이자 장녀가 되어 있었다.
책 제목을 보고 잠시 이런 궁금증이 생겼다. K- 장녀를 그만둘 나이가 마흔이면 그래도 적당한 건가? 아니면 늦은 건가? 잠시 생각하다 스스로 답을 바로 찾을 수 있었다. 마흔까지 했으면 그래도 할 만큼 한 거 아닌가? 스물이나 서른에 그만뒀으면 아, 너무 야박하게 군 거 아닌가? 희생을 했다고 하지만 가족 모두 저마다 희생한 부분이 있을 텐데 이만큼 한 거는 그래도 감수해야 할 만한 건데 기간도 이 정도면 짧고 어쩌고(가스라이팅 당한 자의 자책 사고 회로 돌리기) 하면서 쭈뼛거렸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어린 시절 아이처럼 지내야 할 시간조차 누리지 못하고 K- 장녀 노릇한 것까지 합해서 40까지면 할 만큼 하고도 남았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인 잔디아이는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 엄마가 되어보고서야 자신이 겪은 일들이 그냥 한 개인으로서 가정에서 겪은 일이 아니라 사회 현상의 하나이기도 하고, 이렇게 지내온 인생 그대로 앞으로 자신의 삶이 흘러가게 둬서는 안 되겠다는 점을 깨닫고 결심한다. 심리 상담을 받고, 부모와 대화를 시도하고, 거리 두기를 해보는 등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 스스로를 구하고자 노력한다.
갈등 없는 부모 자녀 사이가 어디 있고 상처 없는 가족사가 어디 있냐 하면서 지난날은 다 잊고 이제 서로 이해하고 용서하고 앞으로 남은 날을 화목하게 살자. 오케이. 화해와 용서로 단합! 이렇게 마무리될 수 있는 관계라면 얼마나 간단하고 좋을까. 그게 잘 안되기 때문에 관계가 어렵고 특히 가족 간의 관계가 이다지도 어려워 정신건강의학과에 찾아오는 대다수의 사람들의 핵심 고통 원인이 바로 가족이다.
상처를 준 당사자인 부모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거짓말은 아닐 것이고 기억에서 지울 만큼 별일 아닌 일이니 그렇게 상처를 주고도 몰랐을 것 같다. 그 상황이 상처를 오래도록 받아온 자녀 입장에서는 기가 막힐 노릇이다. 그럼에도 기억이 안 나도 네가 그렇다고 하니 미안하다고 사과를 한다고 하니 그 이상한 사과라도 받아들이고 용서와 화해를 선택하려고 하는 와중에 한마디 덧붙인다.
' 내 사과를 받아들이고 말고는 네 몫이다. 계속 괴로워한다면 괴로운 인생이 될 거야, '
하, 저자는 아빠를 미워하느라 애쓴 에너지가 아까웠다고 한다. 이런 생부도 존재하는구나. 그냥 그렇게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한다. 자신이 쓴 글이 스스로 얼굴에 침 뱉기가 아니라는 고백에서 시작한 것에 박수를 보낸다. 부모에 대한 좋지 않은 부분을 드러내는 것만으로 자꾸만 죄책감을 들게 하는 문화에서도 자유로워질 권리가 있다. 아직 K- 장녀에서 허덕이는 사람들이 있다면 각자의 위치에서 스스로를 돌보며 자신을 사랑하는 힘을 키우고 그 사슬을 끊고 나오기를 마음을 다해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