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하게 정리한 웹 1.0에서 웹 3.0까지, 세대별 로그인 특징 정리
90년대 중반, 웹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읽을 수 있는 ‘웹 1.0’이 등장했습니다. 00년대 중반에는 검색 기능을 넘어,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올리고 공유할 수 있는 ‘웹 2.0’까지 발전했는데요. ‘웹 2.0’ 등장 후 약 20년이 지난 현재, 자신이 올린 정보를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웹 3.0’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웹은 세대별 특징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은 다양한 차이 중, 세대별 로그인 특징을 정리했습니다.
‘웹 1.0’은 야후 같은 서비스입니다. ‘웹 1.0’은 검색 기능을 넘어 메일, 개인 홈페이지 등 회원 정보를 서비스에 저장해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는데요. 정보 저장 편의를 위해 회원가입이 등장했습니다. 서비스는 일부 기능을 유료화하고, 정보만 저장한 ‘일반 회원’과 결제까지 완료한 ‘결제 회원’으로 회원가입 사용자를 구분합니다. 유료회원은 곧 ‘웹 1.0’ 기업 경쟁력입니다. 따라서 ‘웹 1.0’ 기업은 일반 회원의 결제 회원 전환을 주요 지표로 관리합니다.
페이스북 같은 ‘웹 2.0’ 기업은 서비스의 모든 기능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무료 기능을 제공하는 대신, 회원 활동 빅 데이터를 통해 광고 등 매출을 만드는 모델입니다. 따라서 자사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 이용 시 수집한 회원 활동 데이터도 필요한데요. ‘웹 2.0’ 기업은 타 서비스에서 회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소셜 로그인’ 기능을 활용합니다. 즉, 페이스북이 아닌 서비스에서 ‘페이스북으로 계속하기’ 버튼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모든 활동 데이터를 페이스북에 제공합니다. ‘웹 2.0’ 주요 지표는 회원 활동 데이터입니다.
‘웹 3.0’은 회원 활동 데이터를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통해 직접 거래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에서 광고를 시청한다면, 광고 시청 암호화폐 리워드가 회원이 연결한 디지털 지갑으로 즉시 입금됩니다. 따라서 ‘웹 3.0’ 회원은 서비스에 ‘개인 지갑’을 연결해야 하는데요. 다양한 상황에 같은 은행 계좌를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디지털 지갑’역시 다양한 웹 서비스에 같은 지갑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지갑 서비스는 지갑을 통한 거래 수수료로 매출을 올리며, 주요 지표는 거래 지갑 수입니다.
세대별 로그인은 모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시작입니다. 하지만 ‘웹 1.0’은 회원 가입을 통해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웹 2.0’ 서비스 사용자는 기능을 무료로 이용하는 대신 소셜 아이디로 계속하기 버튼을 통해 개인 데이터를 기업에 제공합니다. 웹 3.0은 모든 활동에 데이터를 거래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서 지갑이 필요하며, 지갑 연결하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
웹 3.0 이해를 위한 웹1.0과 웹 2.0 특징 정리 [바로가기]
웹 3.0 대표 지갑, Metamask 홈페이지 [바로가기]
페이스북은 왜 내 개인정보를 경매에 부쳤을까 [바로가기]
*참고 : 세대별 회원가입 특징을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하게 정의한 글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이재구님이 브런치에 게재한 글을 편집한 뒤 모비인사이드에서 한 번 더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