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밤의라일락 Mar 15. 2024

인생은 60초 후에 계속됩니다

지금은 중간광고 시간

 말하자면 중간광고 시간 같은 것이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마지막 우승자를 발표하기 직전, 그 피 말리는 잠깐의 유예기. 축구 전반전이 끝나고 후반전을 기다리며 잠시 관객들도 몸을 추스르는 시간. 그렇게 생각하고 나니 마음이 조금 편해졌다. 어쨌든 넥스트는 있다는 말 아닌가. 이 판이 다 끝나지는 않는다는 말 아닌가. 그러니까 잠시 쉰다고 해서 너무 조바심을 내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빨리 다음 경기가 왜 재개되지 않냐고 재촉해서는 안될 일이다. 일생에 서둘러서 뭐 좋은 거 된 것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나는 결국 어딘가에 착륙하겠지만

대학을 졸업하고 15년의 시간 동안 광고회사 카피라이터로 지내다가 퇴사를 했다. 꽤 불안하게 살았었나 싶지만 사실 중간에 그만둔 것은 한 번 밖에 없다. 그것도 이직을 위해 면접까지 붙고 나서 마지막 채용절차를 기다리며 쉰 것이니, 사실상 불안한 퇴직은 아니었다. 어쨌든 재벌가 3세가 아니니까 앞으로도 돈은 벌어야 할 텐데, 채용시장은 얼어붙어있고, 나와 맞는 딱 한 곳을 찾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유명한 채용사이트에 올라온 공고들은 썩 마음에 드는 게 없다.  


 차라리 남들 눈치 안 보고 프리랜서를 하면 좋겠는데, 프리랜서로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길이 보이지 않는다. (애초에 프리랜서가 남들 눈치 안 볼 수 있는 일인지도 모르겠지만) 링크드인이라는 데도 가입해 보았는데 마음에 드는 자리는 죄다 영어 스페셜리스트들의 자리다. 이쯤에서 내가 원어민처럼 외국어를 할 수 있다면, 넷플릭스나 구글 같은 글로벌 기업에 도전해 보면 좋을 텐데. 유퀴즈 같은 데서 나와 인터뷰하는 4050대 멋진 여자 선배들이 그런 기업에 다녔던 기억이 난다. 나는 멋있는 여자선배들에 약하다. 나와는 닿을 수 없을 멋진 사람들. 그래서 멀리서 부러워만 했던 별처럼 빛나는 사람들.


 사실은 건강만 생각하고 리프레시만 생각한다면 한 일 년쯤 쉬는 것도 좋을 것이다. 아니 정말로 그럴까도 생각하고 있다. 독립해서 회사를 차린 나의 멋진 친구 녀석처럼 나도 뭔가를 차려볼까도 싶지만, 나는 왠지 영업 쪽엔 소질이 없을 것 같다. 이쯤 되니 회사에서 주는 월급을 타지 않으면서도 꾸준히 수익을 내고 생계를 유지하는 모든 사람들이 다 대단해 보인다. 유튜브에선 하루 글쓰기 10분이면 월 300만 원 수익이라며 호객행위를 하는 강사들이 너무나도 많다. 그런 거라도 해볼까, 예전 같으면 쳐다보지도 않았을 테지만 이제는 월 50 월 100, 경제적 자유, 안정적인 파이프라인 이런 말들에도 약간은 혹하게 된다.


 사실, 15년이나 회사생활을 멈추지 않았던 건 사람이 좋아서다. 나는 재능 있는 나의 동료들을 너무나도 사랑했다. 친구들이 가져오는 카피, 그림 한 장, 신기한 레퍼런스들, 반짝이는 아이디어, 재치, 이 모든 게 탐나서 매일 내 안에 담고 싶었다. 하다 못해 그림도 잘 그려, 글도 잘 써, 옷은 어찌 그렇게도 센스 있게 입는지, 말은 또 어찌 그렇게도 재미있게 하는지. 인생은 또 어찌나 열심히 살고 나에게 영감을 주는지. 건강관리도 잘하고, 인테리어도 잘하고, 여행도 좋은 데로만 잘 다니고, 하물며 인생 즐기는 것까지 잘하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사랑스러웠다. 나는 천성이 덕후인 셈이다. 사람 덕후. 물론 너무 시끄럽거나 감당할 수 없는 텐션의 사람들은 내게도 버거웠지만, 사람을 사랑하는 일이 광고회사 다니면서 가장 즐거운 일이었다.


 조용한 걸 좋아하고 충돌을 싫어하는 나는 혼자서 하는 일이 맞겠다 싶으면서도, 이렇게 사람들을 좋아하는 데 사람들 안 만나고 살 수 있을까 라는 생각도 드는 것이다. 결국은 다시 도돌이표다. 돈은 벌어야 하고. 사람은 만나야 하고. 쓰는 일은 여전히 나에게 즐겁다. 하지만 이번엔 한 가지가 다르다. 중요도가 달라졌다. 내가 가장 잘 쓰일 수 있는 일을 찾을 것이다. 어려워도 어떻게든 찾을 것이다.


 중간광고가 끝나도 나는 결국 서바이벌의 일등은 안 됐겠지만, 여기까지도 꽤 많이 왔다 싶다. 매 라운드가 서바이벌이라 나 같은 심성의 사람에겐 힘겨우면서도, 같이 하는 사람들이 있어 즐거웠는데 이제 새 곡을 만들 힘이 다 떨어졌다. 곳간이 떨어졌으니 채워야 한다. 그게 건강이건 에너지건 크리에이티브건, 나는 부지런히 지금부터 채우려고 한다. 그래야 다음 스텝으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쓰는 사람은 무너지지 않는다

자기 안의 표현도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 작가 켄 윌버



작가의 이전글 처음으로 버스 타던 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