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올리버 색스

기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한 적은 별로 없다 (사실 되고 싶다고 되는 직업도 아니지만). 하지만 출근하자마자 콜라캔을 쥔채 책상 위에 발을 올리고 자유로운 토론을 이어가는 ‘업클로즈 앤 퍼스널'이라는 영화에 나오는 기자는 정말로 멋있어 보였다. 아마도 새벽녘 수산시장에서나 만날 수 있을 듯한 날 것 같은 생동감에 본능적으로 끌린 탓이리라. 실제로 지금의 미국을 만든, 그리고 오늘의 우리나라를 만든 에너지의 근원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오늘 오전에 인상적인 몇 개의 기사를 훑어보다보니 그 ‘믿음'에 약간의 변화와 균열이 일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저녁이 있는 삶'이 사치스러운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없지만 그 안에서 나름의 대안을 찾으려는 사람도, 이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를 가지고 변화를 시도하는 사람과 학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아래 링크에 열거한 몇 개의 기사들은 모두 그러한 시점에서 다양하게 접근한 기사나 인터뷰나 글들이다. 젊은이들은 예전처럼 미래의 행복을 위해 더 이상 현재를 희생하려 들지 않는다. 대기업이 아닌 자신에 맞는 ‘일’ 자체에 집중하는 모습도 보이고, 아예 치열한 경쟁을 피해 안분자족하는 이른바 ‘사토리 세대'의 등장도 예사롭지 않다. 무조건 달리다보면 언젠가는 행복해지리라는 주문이 더 이상 통하는 않는 시대가 이미 도래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치열한 경쟁, 그 결과로 오는 지위와 혜택이 나쁠 것은 없다. 하지만 그 대열에서 빠져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루저'로 바라보지 않는 시각도 건강하다고 본다. 다만 그 중간에서 방황하며 자신만의 길을 찾으려는 사람들에게는 훨씬 가혹한 미래가 다가올 것 역시 명백한 현실이다. 다만 이러한 노력이 한 개인에게서 그치지 않고 교육이나 취업, 기업 경영과 문화 전반으로 확대되지 않는다면 누군가의 예견처럼 잘 사는 사람은 더욱 잘 살고 그렇지 않은 대다수의 삶은 빈곤한 삶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시대가 생각보다 빨리 다가올지도 모를 일이다.


그 와중에 내가 정말 좋아했던 작가 올리버 색스가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고 ‘뉴욕타임즈'에 기고를 했다. 그가 쓴 책과 글에서 보았던 그 모습 그대로,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는 담담하고 용기있는 모습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그는 얼마 남지 않은 자신의 삶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그리고 그 글을 읽으면서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어쩌면 우리가 배워야할 것은 이와 같은 ‘지혜’가 아니었나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 아름다운 행성에서 나는, 느끼는 존재이자 생각하는 동물로서 살아 왔으며 이는, 그 자체로 크나큰 특권이자 모험이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이클 셸러, 아크네 스튜디오 회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