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ong Dec 23. 2021

평어들의 호숫가

나의 평어 체험기

"내가 속했던 모든 곳에서 호칭만으로 평등함을 느꼈던 적이 있었나?"

이내 어딘가에서 부유하던 이름 하나가 떠밀려 와닿았다. 나는 한 때 '단발 여자'였고 지금도 누군가에게는 '단발 여자'다.


지난 몇 년간 평어들의 호숫가에 머물렀었다. 그들은 수어라는 손짓으로 말을, 표정과 눈빛으로 감정을 전달했다. 그곳에서 나는 '단발 여자'라는 얼굴 이름을 선물 받았다. 그들의 언어로만 불리는 그곳, 평어들의 호숫가에서 기꺼이 머무를 수 있는 또 다른 자아가 생긴 셈이었다.


농인들에게는 각자의 생김새나 이름의 특징을 담아 만드는 얼굴 이름이 더 익숙했고 그 표식은 되도록 영상통화 화면에서 벗어나지 않는 곳에 위치해야 했다. 그런 의미에서 나의 새 이름은 더할 나위 없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온전한 내 이름은 듣기가 힘들다. 아기와 동행하는 모든 곳에서 나는 '어머님'이고 주변인들은 길지도 않은 내 이름을 굳이 쪼개어 부른다. 친구들은 내 이름의 가운데 자만, 우리 엄마는 내 이름의 끝 자만 부르는 식이다. 반대로 이름의 길이는 불필요한 존칭과 짝지어져 늘어나기도 하는데 이럴 때면 내 본질이 왜곡된 느낌이 든다. 그렇게 딱딱한 껍질을 벗겨놓은 생밤 알맹이 같은 내 이름 세 글자는 예약, 출석, 접수, 가입 때나 들으면 충분해졌다.


그래서인지 '단발 여자'로 불리는 시간들이 좋았다. 단발 여자일 때 나는 그 어떤 역할에도 갇혀있지 않았다. 말의 높임과 낮춤에 신경 쓸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간결한 핵심과 풍부한 감정 전달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존댓말의 부재가 나의 의도를 왜곡하는 일은 없었다. 예의는 존댓말에서 파생되는 것이 아님을 그때 깨달았다. 더 공손한 표현과 진중한 눈빛, 손말을 이어가는 태도만으로도 충분히 상대방을 존중하고 있음을 표할 수 있었다.


나는 어쩌면 다시는 오르지 못할 시소 위에 앉아있었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단발 여자였던 그때는 맞은편에 '코 큰 남자'가 와도 '쌍꺼풀 여자'가 와도 나와 무게가 같았다. 그래서 오르락내리락하느라 힘 조절을 할 필요도 없었고 누구 하나 상대방을 올려다보지도 내려다보지 않았다.


말의 길이가 말의 무게와 비례하지 않음은 단지 수어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일까. 평어들의 호숫가에 들르는 사람들이 조금 더 많아지면 어떨까. 평어들이 뛰노는 곳이 자그마한 호수가 아니라 드넓은 바다라면 어떨까. 이런저런 생각이 드는 날이다.

작가의 이전글 스노볼이란 세상 속에서 유영하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