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my Shin Dec 07. 2019

UX 포트폴리오,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넣어야 할까?


디자이너의 취업과 이직은 포트폴리오 제작에서부터 시작된다. 

대학교를 다니고 10년 넘게 필드에서 일을 하면서 수없이 많이 포트폴리오 작업을 반복했다.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는 건 디자이너에게 일종의 업 같은 것이어서 언제나 "해야 하는데.."라고 생각만 하고 완성이라는 단계까지 다다르기는 힘들었다. ( 일을 하며 새로운 작업물도 계속 쌓여 가니 말이다..) 


미국에서 대학교를 졸업해 미국에서만 취업+이직을 했기 때문에 한국 실정과 다를 수도 있고, 개인적인 경험으로 준비한 글이기 때문에 한국이나 다른 회사들에게는 적용이 되지 않을 수 있겠지만, UX 디자이너의 role과 qaulification들을 생각해보면 나라에 상관없이 어떤 부분을 생각해야 하는지는 비슷하지 않을까 해서 글을 적어본다.





1. 포트폴리오 구성

A. 나는 어떠한 디자이너일까? 

포트폴리오 제작의 첫 시작은 본인이 어떠한 디자이너인지 생각하는 것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UX라는 개념이 생겨난 게 얼마 정도일까? 기계들이 한창 발전하기 시작했던 90년도 초반이라고 하지만 내가 대학교에서 전공을 선택해야 했던 2000년도 중반만 해도 UX는 제일 인기가 없던 디자인학과 과정 중 하나였다. UX 디자이너입니다 라고 직업을 말하면 그게 뭐 하는 거예요? 하고 물어보는 사람이 아직도 많을 만큼 근래에 생겨난 직업군이라 생각한다. 

UX 디자이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UX를 전공하는 전공자들도 많지만, 새로운 필드인 만큼 graphic, communication, psychology, computer science 등등 다른 전공을 하다가 UX 디자인으로 전향한 사람들도 많다. 다양한 백그라운드에서 모인 사람들이 많은 직업이기 때문에 자신의 강점을 살린 포트폴리오를 구상하는 것이 중요한 첫걸음이라 생각된다. 


UX 디자이너의 자질을 검색해보면 다양한 항목들을 찾아볼 수 있다. 문제 해결 능력, 학습능력, 공감능력, 툴 습득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리서치 스킬 능력 등등 UX 디자이너는 다양한 자질을 요하지만 모든 것을 완벽히 해내는 디자이너가 되기는 아마 힘들 것이다. 포트폴리오는 나를 누군가에게 어필하는 나만을 위한 공간이고 그 공간 안에서 내가 UX 디자이너로써 어떠한 점을 가장 부각할 수 있는지, 나를 가장 돋보이게 해 줄 프로젝트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어떠한 스토리 텔링을 하고 싶은지 생각하고 그 부분을 중점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가야 한다. 


B. 얼마나 넣어야 할까?

나의 경우에는 욕심이 넘치기도 했고.. 그동안 했던 프로젝트들이 너무 아깝기도 해서.. 이직을 할 때마다 보통 6-9개 정도의 프로젝트를 넣곤 했다. 전 회사에서 채용심사에 참여하게 되면서 꽤 많은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보았었는데 개인적인 경우에는 양에 상관없이 모든 프로젝트를 검토하였지만 글이 많은 UX 디자이너의 포트폴리오 특성상 너무 논문처럼 긴 글이나 비주얼적으로 확연하게 떨어지는 포트폴리오에는 눈이 잘 가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예: 글만 많은 포트폴리오, 기본적인 디자인 스킬이 없어 보이는 디자인들 (떨어지는 해상도, 엉망진창인 스타일, 맞지 않는 padding 및 마진 등등))  


다른 여러 글에서도 추천하듯  프로젝트의 개수는 최소 3개에서 5-6개 정도가 적정선이라 생각된다. 아무리 긴 프로젝트였다 하더라도 구구절절 긴 글보다는 핵심만 간단하게 설명하고 자료들을 최대한 visualize 하는 것을 꼭 추천하는 바이다. 


C. 무엇을 넣어야 할까? 

앞서 내가 어떠한 디자이너일까- 에 대한 고민을 끝냈다면  어떠한 프로젝트가 나를 가장 돋보이게 해 줄 것인지가 대략적으로 그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세 작품만 넣는다고 할 경우, 첫 한, 두 작품을 나를 가장 돋보이게 해 줄 프로젝트를 골랐다면 다른 프로젝트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했던 작품을 넣어 다른 스타일/다른 디자인 process을 보여줘 프로젝트의 다양성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UX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Problem-solving""Process"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를 하며 어떠한 부분을 맡아서 했던, 어떠한 리서치를 하고, 어떠한 디자인을 했는지는 달라질 수 있겠지만 문제 - 진행 - 결과라는 기승전은 모든 프로젝트던지 들어가야 하는 핵심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 핵심 요소의 진행상황 안에서 나의 최대 장점을 빛나게 해 줄 프로젝트를 선택하자. 



2. 포트폴리오 제작 

A. 웹사이트 

전에 회사에서 일했을 때 종종 ZIP 파일로 묶인 포트폴리오나 엄청나게 큰 파일의 PDF, 혹은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 묶음... 들를 받은 적이 있었다. 파일크기도 크기이지만 보기도  힘들고 전문성이 떨어지는 포트폴리오 포맷에 이미 첫인상부터 좋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요즘은 template도 잘 나와있고 무료 제작 사이트들도 많기 때문에 무조건 웹사이트를 만들기를 추천한다. 

나 또한 기초 수준의 HTML/CSS코딩 실력으로 인해 웹사이트를 만드는 게 부담스러워 디자이너 초반 시절에는 무료 웹사이트 template을 많이 사용했었다. 마지막에 만들었던 웹사이트는 wordpress theme을 구입하여 직접 만들었는데 요즘은 template이 customizable 하게 잘 나오고 설치나 사용방법도 조금씩 공부하며 만들어가면 초보자들도 어느 정도 따라갈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최대한 전문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웹사이트를 만들기를 조언한다. 

Wordpress theme 구입처 
추천 제작 사이트 : Wix, Squarespace, weebly 


B. 도메인 

무료로 사이트를 만들었다고 해도 도메인은 물론 자신의 이름을 딴 도메인이 있다면 좀 더 전문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com이나. co.kr로 끝나는 원하는 도메인 계정을 찾지 못했을 때. design /. experts /. graphic 등등 다양한 종류의 최상위 도메인 ending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듯하다. 

Google Domains


C. 포트폴리오 스타일 가이드 및 나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앞서 말했듯이 UX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Problem-solving"과 "Process"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주얼적으로 잘 정리된 포트폴리오는 첫인상에 큰 영향을 준다. 

UX 디자이너가 해야 하는 영역에서 비주얼 디자인이 아예 배제되는 회사는 정말 몇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포트폴리오는 내가 누구인지 나를 어필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자신의 브랜드 identity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한다. 어떠한 컬러를 메인으로 사용할 것인지 어떠한 폰트를 사용하고 어떠한 레이아웃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것인지 생각해보는 것도 "좋은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데에 필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템플렛을 사용해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경우에도 미니 스타일 가이드를 만들어 각페 이지마다 정해진 스타일을 적용시키고 공간 배치하는 것도 나열한 프로젝트 밖에서 본인의 디자인 스타일을 보여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


3. 프로젝트 Presentation 체크리스트

A. 목차 구성

프로젝트 과정을 나열하는 순서는 프로젝트별로 다르고 각자 지원하는 UX포지션의 비중이 어느 부분에 더 중점을 둔 자리인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UX process를 생각해서 각 항목 중에 빠진 것은 없는지 체크하는 방법도 좋을 것 같아 체크리스트를 적어본다. (아래에 적힌 프로세스는 프로젝트/상황에 따라 바뀔 수도 있고 생략도 가능하다)


1. 간략한 project overview 

프로젝트 이름 

Client

프로젝트 구성원 및 본인의  Role

프로젝트 진행 기간

프로젝트 진행 시 사용했던 프로그램 툴 


2. Understand / Define

Problom statement

Challenges

프로젝트 Requriements

Persona

CUJs 

Project goals


3. Research 

이 부분에서는 문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리서치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리서치 방법을 선택했고 왜 그 방법을 선택했는지, Research의 목적 및 진행방법, 결과 등을 간략하게 정리하도록 한다. 

프로젝트 초반 vision 리서치의 방법 예 : User interview, Survey, Card sorting , Benchmarketing, Competitive Analysis 등등 


4. Sketch 

(초반 리서치를 한 경우) 어떻게 해석했으며 어떠한 design apporoach를 생각했는지 

User journey flow

Low-fi wireframe

Product analysis 리서치 예: Usability study, Concept study, A/B test, Quantitative study 등

Evaluate and iterate


5. Design

Design decision : 프로젝 디자인을 하며 어떻게 final 디자인에 안착하게 되었는지 과정을 설명하거나 다른 팀과의 협업 과정이 있었다면 설명하도록 한다. 

Final design and solutions

Prototype

Guidelines and styleguides 


6. Implement

실제로 구현된 웹페이지나 앱 등 프로덕트가 있다면 링크하도록 한다. 


7. Evaluation 

프로덕트를 완성 후 후에 followup 한 사항이 있거나, 차후에 더 발전할 수 있었던 방향에 대한 의견이 있으면 설명하도록 한다. 



4. 기타 체크사항 

A. 웹사이트 테스트

웹사이트 제작이 끝나면 지인들과 함께 테스트해보기를 권한다. 디자이너에게 피드백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인들에게 간략한 테스트를 주어 웹사이트의 작동 및 전체적인 내용들도 수정하도록 한다. 

속도: HR에서는 하루 수십 개의 포트폴리오를 체크하기 때문에 최대 30-60초 안에는 웹사이트가 로딩되는지도 체크하도록 한다. 

가독성: 전체적인 글과 내용들이 클리어하게 전달되는지 체크한다. 

스타일: 각 페이지들의 헤딩이나 섭 헤딩 등 전체적인 스타일들이 일정한지 체크한다 

사용성: 사이트의 모든 링크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적은 인포메이션이나 이미지들이 모두 제대로 보이는지 체크한다. 다른 브라우저나 다른 platform 사용 시 서포트하지 않는 포맷의 이미지나 비디오 파일이 있다면 수정하도록 한다. 

Responsive design: 모바일이나 태블릿 뷰도 support 하는 웹사이트의 경우 다른 플랫폼에서도 테스트해보도록 한다.




잘 정리된 포트폴리오들 

Kurt Winter

Jeff Bae

Jonny Czar

Kevin Joseph Keen

Peter Chang




*부족한 사항이나 더 자세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QnA처럼 질문들을 모아 글을 쓰려합니다 ^^

작가의 이전글 구글 UX디자이너의 인터뷰 후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