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articles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월 Oct 28. 2023

아빠와 아들은 정말 똑같아!?!

친구이고 싶지만 친구일 수는 없는 사이


아빠는 아들이 되고, 아들은 다시 아빠가 된다. 아빠는 늘 아들의 무언가가 이해 안되고, 아들은 늘 그런 아빠를 이해 못한다. 아빠는 논리적이었지만, 엄마는 늘 감성적이었다. 그래서 아빠말에는 왠지 모를 반발감이 있었고, 엄마말은 자주 내 마음을 흔들어 놓곤 했다. 어느덧, 흐르는 시간속에 그 아들은 아빠(classic)가 되고, 아빠로서 다시 아들(neo)을 바라 보고 있다.


탈 경계(metaverse)와 초 현실의 시대(ar/vr/mr/xr)에 누가 아빠(category)고 누가 아들(tag)일까? 초 울트라 수퍼 하드 시스템으로 무장된 ‘그녀(siri/genie)’에게 물어보면 무어라 답할까? 아마도 '아빠(big brother)가 아니라 엄마(big sister)이고, 아들(gene)이 아니라 딸(meme)이라고 바꾸어야 할 것 같아요'라고 할 것이다. 대부분의 디지털 보이스가 ‘여성형’인 이유는 아빠말보다 엄마말을 더 잘 듣기 때문일 거라는 엄청난 빅데이터가 있을 것이다.   


암튼, 모든 것이 타임라인에 기록되고, 10년 된 일을 1분의 타임랩스로 볼 수 있고, 수십명이 만들어야 할 걸 3D 프린터 한대가 대체하고 있다. 다촛점 렌즈가 만든 한 순간의 다양한 팩터(factor)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완벽하고 유일한 팩트(fact)는 점점 희미해진다. 가늠할 수 없는 ‘언니’의 열길 물속을 따라 블랙홀이 아닌 오리무중으로 빠진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없다. 우리들 잘못이 아니라 '세상'이란 놈이 그런 척 하는 것일 뿐이다(진짜 비밀인데, 사실 그 놈은 양자역학자이다).


안 보이는 놈들 상대하는 것 보다 옆에 있는 사람과 한마디 나누는 것이 훨씬 좋다는 걸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잘 모를 것 같다. 불안의 일상화는 보이지 않는 것들을 믿을 수 밖에 없는 것 때문이 아닐까. 보이지 않는 것들 때문에 보이는 것들에 불안을 느끼게 되는 요즘, 한번쯤 가까이 보이는 것들을 기록해 보면 어떨까? 내 눈 바로 앞에 있는 것들 말이다. 아주 사소한 것들, 아주 쓸데 없는 것들이라도.  



할구천! 당신은 브라더인가, 시스터인가?




매거진의 이전글 왜 디자인을 전시하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