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선우 Aug 26. 2016

공개키, 비공개 키 원리

해당 글은 내용을 정리하여, 아래 주소로 옮겼습니다.

https://artiveloper.github.io/public-key-cryptography/ 





우선 공개키, 비공개 키의 등장 배경인 대칭키 방식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동일한 키로 암호화, 복호화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abcd'라는 키로 암호화를 하면, 복호화 시에 'abcd'를 입력해야 한다. 

위 과정에서는 대칭키 전달 과정에서 누군가가 대칭키를 획득한다면 쉽게 암호화된 데이터를 알아낼 수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 공개키 방식이다.


공개키 방식에서는 두 개의 키를 갖는다. 누구에게나 공개가 가능한 공개키, 자신만이 갖고 있는 개인키(비공개 키, 비밀키).


이 공개키 알고리즘은 공개키로 암호화를 하냐, 개인키로 암호화를 하냐에 따라 사용분야가 달라진다.

공개키로 암호화를 하면 데이터 보안에 중점을 두고,
개인키로 암호화를 하면 인증 과정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1. 공개키로 암호화를 하는 경우

상대방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면, 데이터를 전달받은 사람은 자신의 개인키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A키로 암호화를 한다면, B키로 복호화가 가능하고. 
B키로 암호화를 한다면, A키로 복호화가 가능한 것이다.


공개키 방식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예시와 사진 있다.

연인 사이인 두 사람이 다른 사람 몰래 편지를 주고받기로 하고 자물쇠가 달려있는 작은 상자와 이를 열 수 있는 열쇠를 각자 하나씩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두 사람은 서로에게 보낼 편지를 써서 상자에 넣은 후 자물쇠를 잠그고 보낸다면 열쇠를 가지고 있는 두 사람만이 비밀편지를 볼 수 있겠지요? 중간에 누군가가 상자를 가로챈다고 하더라도 열쇠를 가진 두 사람 이외에는 누구도 상자를 열어볼 수 없기 때문에 비밀편지 내용은 누설되지 않게 될 것입니다.

http://cryptocat.tistory.com/2

http://cryptocat.tistory.com/2




2. 개인키로 암호화를 하는 경우 

개인키의 소유자가 개인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공개키와 함께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공개키와 데이터를 획득한 사람은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호화가 가능하다. 이런 위험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데이터 보호의 목적보다는 공개키가 데이터 제공자의 신원을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암호화된 데이터가 공개키로 복호화된다는 것은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개인키에 의하여 암호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의 제공자의 신원 확인이 보장된다는 것이다. 

이 방법이 공인인증체계의 기본 바탕이 되는 전자서명이라는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