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 백수고모 Jun 03. 2016

그때는 왜 그랬을까?

휴가지에서 생긴 일

                                                       

▲해마다 이맘 때면 남편이 한탄강에 놀러가지 못하게 해 분했던 30년 전 '사건 아닌 사건'이 생각난다. 지금 생각하면 아무 것도 아닌데 그땐 정말 속터졌다. (김진옥 동년기자)



30여 년 전 어느 해 7월 하순이었다. 오랜만에 동창 모임을 강에서 갖기로 했다. 서울 근교에도 놀기 좋은 강이 수두룩하지만 한 친구가 “한탄강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고 부득부득 우겨 할 수 없이 그리로 정했다. 서울 동대문 부근에서 아침 9시에 출발하는 여행사 버스를 이용하기로 했다.                            

먹거리는 10여 명이 각자 ‘주특기 요리’로 한 가지씩 준비키로 했다. 필자가 맡은 것은 불고기였다. 여럿이 먹을 것이라 넉넉히 준비해야 하니 무게가 꽤 나갔다. 그때는 스테인리스 통을 사용하던 때라 그릇 무게도 꽤 나갔다.

남편은 친구들과 모처럼 강 놀이 간다고 하니 웬일인지 쉽게 승낙했다. 그런데 다음 날 아침 180도 돌변했다. “애들 밥은 어떡할 거냐”는 것이었다. 그러나 남편의 터무니 없는 ‘만행’을 그냥 좌시할 필자가 아니다. “애들 돌봐주러 아주머니가 온다. 놀러 가서 먹을 것 중 가장 중요한 게 불고기인데, 내가 빠지면 친구들은 풀만 뜯으란 말이냐”고 지극히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답변하자 남편도 눈이 휘둥그레졌다. 이런 정도의 격렬한 저항은 생각지도 않았던 모양이다. 그러나 ‘평소 ‘고집’으로 충만한 남편도 여기 지지 않았다. “가정 있는 여자가 남편도 없이 강가에 가서 종아리를 허옇게 내놓고 노냐”고 계속 반대했다.

출발 시각이 가까워져 오자 못 갈까 초조했다. 그래서 타협안을 제시했다. “작은 애를 데리고 가겠다”고. 그래도 남편은 요지부동이었다. 그리고 남편의 채택한 신전략은 ‘출근을 안 하고 버티기’. 버스 출발 시각이 9시였기’ 때문이다.

남편의 ‘버티기 전략’ 때문에 심대한 타격을 입었으나 거기에 굴복할 수도 없었다. 필자가 남편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생각한 건 ‘남편 기만’이었다. 이 전략의 완수를 위해 일단 아까부터 계속 울려 대던 전화부터 받았다. 그리곤 친구들에겐 “지혜 아빠가 데려다준다 하니 너희들끼리 출발해"라고 둘러댔다. 온전히 남편이 안심하게 하려는 밑밥이었다. 그리고 이 밑밥을 남편은 털썩 물었다. 9시 즈음에 출근한 것이다.

필자는 밑밥에 넘어간 남편의 어리석음에 쾌재를 부르며 남편 차가 대문 앞에서 사라지자마자 한 손으론 불고기가 담긴 통을 들고, 다른 손으론 딸의 손을 잡고 ‘초호화 속도’로 냅다 뛰었다. 그리곤 집 앞에서 후다닥 택시를 잡은 뒤 수유동시외버스터미널을 외쳤다. 여행사 버스는 이미 놓쳤기 때문이다.

터미널에 도착하자마자 필자는 바로 한탄강행 버스에 올랐다. 그때는 휴대전화도 없던 때라 친구들에게 연락할 방법이 없었다. 그냥 한탄강에 가서 ‘서울서 김 서방 찾기’식으로 뒤지는 수밖에 없었다.

한탄강에 도착한 필자는 골짜기 아래부터 위까지 뒤지는 ‘수색 작전’을 폈다.

문제는 그날 날씨가 30도를 가뿐히 넘었다는 것이다. 그런 데다 소고기를 담은 스테인리스 통은 족히 5㎏은 됐다. 그리고 한 손에 아이 손까지 잡았으니 그 고통은 말로 할 수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여기까지 온 걸 생각하면 억울해서 돌아갈 수도 없었다. 그래서 미친 듯 사방을 뒤졌다. 그런데 바로 그때 누가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 마치 천상에서 들리는 소리 같았다. 친구도 “남편이 데려다준다고 했는데 오지 않으니 찾으러 다니던 중”이었다고 했다.

만나자마자 눈물이 쏟아졌다. 어떻게든 모임에 가지 못하게 한 남편에 대한 분한 마음과 친구들을 만났다는 안도감이 겹쳐 울음이 터진 것이다.

세월이 지난 지금 남편도, 필자도 이 일 생각하면 웃음이 난다. “정말 별일도 아닌데 왜 그랬나”고 둘 다 얘기한다. 하지만 그런 사소한 해프닝이 쌓이고 쌓여 필자 부부를 더 단단하게 했다는 점에서 매우 소중한 ‘여름날의 전쟁’이기도 했다.

김진옥 동년기자   

bravopress@etoday.co.kr

<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