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간결한 플레이 Oct 19. 2023

성장기 무릎 통증

오스굿씨병의 원인과 증상에 대한 이해 


이번 글을 작성하는 의도는 성장통이라고 알려진 오스굿슐라터병(OSD)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의료기관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치료 방법과 경과에 대한 소개를 하기 위함입니다.

보조적으로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관리 방법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유심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성장통이라고도 잘 알려진 오스굿슐라터병(Osgood-Schlatter Disease, 이하 OSD)은 청소년 무릎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일반적으로 남아의 경우 10~15세, 여아의 경우 8~14세 사이에 발생하며, 청소년기 엘리트 남자 축구 선수의 무릎 부상 발생률이 가장 높습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OSD의 발생률은 청소년 엘리트 운동선수 집단이 21%, 비 운동선수 집단이 5% 수준으로 차이가 났습니다. 운동선수 집단의 유병률에 대한 통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지만 

비 운동선수들에 비해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유병률이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Gholve, Scher, Khakharia, Widmann, & Green, 2007; 와타나베 외, 2018)

(Kujala, Kvist, & Heinonen, 1985)


 OSD의 증상은 거의 대부분 슬개건과 경골을 연결하는 경골 조면에 염증이 발생합니다.

다양한 연구결과와 의료 기관의 의견을 종합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쉬운 용어로 풀어 사용합니다. 


1.   우리 아이의 다리는 뼈, 근육, 힘줄, 인대 등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2.   정상적인 경우 각 뼈와 근육, 힘줄의 성장 속도가 균일하여 몸에 무리한 부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3.   급성 성장기는 뼈의 성장 속도가 매우 빨라집니다. 근육과 힘줄은 상대적으로 성장 속도가 느립니다.

4.   이로 인해 허벅지뼈, 정강이뼈 대비 근육이나 힘줄이 짧아지게 되어 일부 조직에서 끌어당기는 듯한(견인) 부하가 발생합니다.

5.   길어진 뼈에 비해 상대적으로 허벅지 근육이 짧아지게 되면 슬개건을 잡아당기게 되고, 슬개건은 정강이뼈를 잡아당깁니다.

6.   슬개건이 정강이뼈와 연결된 부분을 정강이뼈 거친 면(경골 조면)이라고 하는데, 해당 부위의 부하가 가장 크게 올라갑니다.

7.   증가된 부하에 의해 해당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슬개건이 뼈를 잡아 뜯는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8.   염증의 강도가 강할 경우 걷기조차 어려우며, 통상 3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9.   의료기관 내방 시 명확한 치료 방법보다는 증상을 조절하는 대증 요법을 사용하며, 무리한 사용을 금하는 치료를 합니다. 완치까지 기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엘리트 축구 선수들의 경우 진통제 등을 사용하며 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OSD 관련 조직의 구성





제가 참고한 연구그룹들의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OSD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그룹들은 공통적으로 연령 최고 신장 속도(신체 높이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순간)에 해당되는 기간에 OSD의 발생률이 가장 크다고 말합니다.  


Hirano 그룹의 연구자들은 급성장기 동안 유연성과 골밀도가 감소하여 골격계의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Watanabe 그룹의 연구는 초등학교 37명의 어린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OSD의 원인은 빠른 키 성장, 체중 및 BMI 증가에 비해 더 낮은 대퇴사두근, 비복근 및 가자미근 유연성이 감소하는 것을 주요 원인으로 제시했습니다. Itoh 그룹의 연구에서는 점프, 쪼그리고 앉기, 발로 차기, 달리기와 같이 슬개건과 경골 결절에 반복적인 견인이 있는 스포츠에 참여하는 운동 선수가 OSD 발병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De Lucena, Dos Santos Gomes, & Oliveira Guerra, 2011; Vaishya, Azizi, Agarwal, & Vijay, 2016)

(Van Der Sluis et al., 2014, 2015)

(Hirano, Fukubayashi, Ishii, & Ochiai, 2002; Swain et al., 2018)

(Watanabe et al., 2018)

(Itoh et al., 2018; Ladenhauf, Seitlinger, & Green, 2020; 나카세 외, 2015; 와타나베 외, 2018)


연구결과에서는 공통적으로 OSD의 통증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빠른 의료기관의 방문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아이가 무릎 통증을 호소할 경우 첫 번째로 해당 부위의 통증이 있는지 확인해 보고, 신속하게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무릎의 통증을 방치할 경우 통증이 점차 심해져 병이 심각해 짐은 물론, 극단적인 경우에는 성장 장애까지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경골 결절 골단 주위에 국소적으로 매우 고통스러운 변화가 있기 때문에 부종이나 기형(뼈 성장에 의한 돌출)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료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대처 방법이 있기 때문에 단순 통증으로 오인하여 병을 방치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OSD의 발생 원인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치료 방법은 명확한 방법을 개발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매우 다양한 범위의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인 의료기관에서는 매우 보수적으로 접근합니다.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경우 OSD가 완치되는 기간 동안에도 운동을 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아래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을 이해하고 전문 의료기관의 주도하에 체계적인 ‘관리’를 해야겠습니다.


1.   안정 : 휴식, 침상 안정

2.   고정 : 석고 붕대를 통한 깁스(Gips), 반깁스, 부목이나 보조기 사용 등

3.   스트레칭 및 근육 강화 :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

4.   물리치료 : 냉찜질, 온찜질, 적외선 조사, 고주파 등 

5.   테이핑 : 키네시오 테이핑 등 근육 보조

6.   압박 : 다양한 형태의 붕대, 밴드 등을 통해 슬개골, 슬개골 압박

7.   약물 : 비스테로이드성 함염증제 투여, 진통제 투여

8.   체외충격파 : 염증 유발하여 자체 치유능력 강화

9.   국소마취제 : 경골 결절 통증 부위에 국소 마취제 주사

10.   수술






본 게시물은 직접 작성한 창작물이며, 저작권에 대한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배포는 금지합니다.

Copyright 2023. 간결한 플레이. All rights reserved.





작가의 이전글 아이의 마음 읽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