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엔데믹이 공식 선언된 지 1년여 만에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재유행하고 있다. 입원환자가 4주 사이 5.8배 증가하는 등 확산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일부 지역은 고령층 등 고위험군을 위한 치료제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당국은 추가 구매 후 이달 내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14일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6월 말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인다. 최근 4주 입원환자 수는 7월 2주 차 148명에서 8월 1주차 861명으로 713명 증가했다. 이 숫자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220곳을 표본 감시한 결과로 전국적으로 입원하지 않은 경증환자까지 고려하면 실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훨씬 더 많은 수일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치료제는 고위험군에 처방되는 만큼 적절한 공급이 필요하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60세 이상이거나 12세 이상의 면역저하자 또는 기저질환자, MSD의 ‘라게브리오’는 60세 이상이거나 18세 이상의 면역저하자나 기저질환자가 처방 대상이다.
그러나 유통은 원활하지 않다. 서울 시내 약국에서도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치료제가 들어오자마자 동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서울 A 약국 약사는 “경기도에서 서울까지 약을 찾기 위해 오기도 하는데 약이 없어 그대로 돌려보내야 하는 실정”이라며 “재고가 없다”고 말했다.
엔데믹을 종료한 만큼 대학병원에서는 별도의 코로나19 검사를 거의 진행하지 않는다. 응급 환자를 위한 소량의 코로나19 치료제만 보유하고 있다. B 병원 관계자는 “치료제가 수요를 못 따라가고 있다. 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으면 병원 내 치료제는 바닥을 보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시도 보건소와 병원, 약국에 올해 7월 기준으로 코로나19 치료제 7만643명분이 공급됐다. 이는 직전 달인 6월 737명분의 약 103배, 5월 1812명분의 약 42배에 달한다.
일각에선 코로나19 치료제 구매 예산 부족이 치료제 품귀현상이 불러왔다고 지적한다. 올해 코로나19 치료제 예산은 1798억 원으로, 지난해 8189억 원(이월 포함)보다 78% 감소했다. 질병청은 추가 예산 확보를 통해 치료제 공급을 늘릴 계획이다. 현재 국내 처방되는 치료제는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지 않아 모든 구매 비용을 전액 국가 예산으로 해결해야 한다.
올해 5월부터 코로나19 위기 단계가 관심으로 조정되면서 코로나19 치료제 무상공급이 종료됐다. 약가의 5% 수준인 5만 원 이상이 부과된다. 다만 의료급여수급권자와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에 대해서는 무상지원을 유지한다. 정부는 4월까지 코로나19 치료제를 급여등재하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무소식이다. 화이자는 팍스로비드의 급여 적용을 위한 약제결정신청서를 지난해 10월 제출했지만 아직 평가에 머물러 있다.
보건당국은 당분간 코로나19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질병청은 재확산하는 코로나19에 대응해 대책반을 기존 1개 반 2개 팀에서 1개 반 5개 단 11개 팀으로 확대 운영한다. 코로나19 유행 상황 조사와 분석, 국외 감시, 치료제 수급 관리 등을 챙기고, 치료제를 추가 구매해 이달 내 도입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