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명수 Jun 04. 2024

장례식장, 죽음의 의미

최근 동료 부친상 참석 등 몇 번에 걸친 장례식장 방문이 이어졌다. 어느 순간부터 내 나이 또래의 부모님들이 운명을 달리하는 소식을 접하며 우리 부모님의 나이도, 삶도 머지 않았음을 느낀다. 아직은 살아계심에, 건강하심에 감사를 드린다.     


죽는 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나도 그럴 것이며,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어떻게 살 것인가 보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문제다.     

원로 철학자 ‘강영안’ 교수가 쓴 ‘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 인간이 아름다운 소멸을 말하다’ 라는 책에서는 삶과 죽음의 연속성, 본질적인 물음이 나온다.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을 것인가?”의 질문은 소크라테스부터 이어진 생각이었다. 소크라테스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이어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생각했고 플라톤은 철학의 가장 중요한 임무가 죽음에 대한 수련이라고 했다. 

     

수많은 철학자가 죽음을 생각하고 고민한 것은 아마도 죽음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경험할 수 없으니 결국은 삶과 연결하여 생각하고 삶으로부터 죽음의 이유, 존재를 밝히려 했을 것이다.     

죽지 못해 산다, 죽지 않기 위해 산다 등 흔히들 하는 죽음이란 이야기.      

장례식장에 다녀오며 나는 죽음에 대해, 그리고 지금 내 삶에 대해 무거운 마음이 들었다. 미래의 내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을 해 봐야 겠다. 정해지지도 않았고, 어떻게 될 지도 모르지만 이 자연의 섭리를 얼마나 잘 받아들이고 그러기 위해서 결국은 지금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생각한다.      

“우리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동일하다. 삶과 죽음, 깨어있음과 잠, 젊음과 늙음”  - 헤라클레이토스     

헤라클레이토스처럼 죽음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생각하는 것이 결국은 사는 것과 죽는 것이 같은 거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다. 

작가의 이전글 시간의 차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