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여 Dec 31. 2021

Villizine 인터뷰: 여유와 설빈

삶의 균열을 위로하는 노래(2020)

본문은 Villizine Project를 통해 진행된 뮤지션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나는 여유와 설빈을 잘 몰랐다. 제주에 살면서 음악활동을 하는 포크 밴드로 알고는 있었지만 포크를 그다지 즐겨 듣지는 않았기에 그들의 음악을 딱히 찾아들어볼 생각은 하지 않았다. 어느 날 야외무대에서 그들의 무대를 직접 감상할 기회가 있었다. ‘생각은 자유’라는 곡을 특히나 인상적으로 들었던 기억이 난다. 유명 한국 포크곡을 떠올리게 하는 멜로디에 유명한 선배 뮤지션들의 노래 가삿말을 적절하게 버무려낸 신선한 곡이었다. 여유의 기타 연주와 노래, 설빈의 화음은 프로페셔널했고 완성도 높은 무대였다. 여유와 설빈을 선명하게 기억하는 첫 만남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즐겨 듣는 장르의 음악이 아니면 모험을 하지 않는 나의 안 좋은 습성 때문에 그들의 음악을 다시 귀 기울여 들어보지는 않았다. 뭐랄까. 분명 내가 가지고 있는 포크음악에 대한 선입견도 아마 그들의 음악을 무심히 지나치게 된것에 한몫을 한 것 같다. 


난 포크음악을 잘 모른다. 너무나도 가까워 손만 뻗으면 닿을 것 같은 음악이라서 더 그런 것도 같다. 어디서나 쉽게 들을 수 있는 보편적인 음악이고 미니멀한 악기 편성으로 인해 사운드는 단순하다. 노래가 가진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고 사운드의 공백을 즐겨야 하지만 하루하루 바삐 살며 수많은 정보를 소비하는데 익숙해져 버린 나에게는 이것도 일종의 도전이다. 언어의 거리감과 소리의 공백을 참기 힘들어하는 일반 대중들도 꽤나 있을 것이다. 포크는 또 거대한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서 포크 뮤지션으로 구분되는 뮤지션들의 음악적 성향도 가지각색이다. 이 장르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그 거대한 다양성의 그릇에서 독자적인 색깔로 빛나는 나만의 새로운 음악을 찾는 건 참 어려운 일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다. 

무대에서 인상적으로 만났던 여유와 설빈의 음악을 그렇게 잊어버리고 있다가 인터뷰를 위해 그들의 음악을 제대로 다시 들으면서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그들을 포크라는 전형성의 울타리에 가두어놓고 마치 내가 그들의 음악을 어느 정도 아는 것처럼 생각한 것이 부끄러웠다. 나는 ‘아 이런 음악을 하는구나’ 정도로 그들을 정의 내렸었다. 주의 깊게 가사를 음미하는 수고스러움을 감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못 평범해 보이는 그들에게서 발하는 특별한 색깔을 나는 놓치고 있었던 것이다. 길게도 이런 핑계를 늘어놓는 것은 세상엔 나와 같은 실수를 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겠지 라는 생각과 다시는 그러지 말아야겠다는 일종의 다짐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여유와 설빈을 만나 간단한 인사와 팀 소개를  들은 뒤  바로 포크란 장르 안에서 그들이 추구하는 혹은 규정하는 스스로의 음악은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여유의 답변은 간단했다. 그저 어릴 적부터 들어왔던 노래가 그런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어릴 적부터 들어왔던 그 노래들이 좋아서 기타를 치게 됐고 그런 노래들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왔다는 것이다.  포크라는 장르의 개념을  알기도 전에 그는 이미 포크의 매력에 심취해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유와 설빈의 음악을 들으면  한국적 포크 멜로디의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산울림의 영향을 받은 장기하의 멜로디가 그렇듯이 어디선가 들어봄직한 멜로디에 여유와 설빈만의 묘한 터치가 묻어나는 곡들이 있다. 여유는 특별히 김민기 씨의 영향을 몇 번 언급했는데 참 어린 나이에 포크음악의 멋짐, 특히나 우리나라 포크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매력을 잽싸게 흡수했고 그것을 자신만의 색깔로  재가공한다는 점에서, 좋은 뮤지션은 어린 시절부터  좋은 음악적 자양분을 토대로 성장해간다는 공통점을 느낄 수 있었다. 


여유와 설빈은 서울에서 만나 제주로 함께 삶의 터전을 옮겼다. 나는 1집과 2집 사이의 공백에서 그들의 삶의 터전이 바뀐 부분이 음악적으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짐작은 했고 그 부분을 확인받고 싶어서 내 생각이 맞는지 물어보았다. 그들은 일정 부분 수긍했다. 환경의 변화가 창작을 위한 모든 영감의 뿌리를 좌지우지하는 건 아니지만 분명히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내가 여유와 설빈의 음악을 들으며 놀랍다고 생각한 여러 부분이 있다. 그중에서도 이러한  삶의 변화를 통해 통찰해낸 그들만의 고유한 음악에 대한 태도는 무척 특별하게 느껴진다. 


여유와 설빈은 1집에서 나아가는 삶 그리고 포크라는 음악에 대한 그들의 고민을 담아냈다. 뮤지션으로서의 자각, 이상적 삶의 태도를 노래하는 그들에게 젊은 열의도 느껴진다. 여유와 설빈은  ‘개미마을’이나 ‘풍경’ 같은 곡에서 ‘언젠가 사라질 우리, 함께 노래하고, 춤을 추고 , 꿈을 꾸고, 사랑합시다’라고 노래한다. 앞서 언급한 ‘‘생각은 자유’ 같은 곡에서 그들은 존 레넌처럼 꿈을 꾸고 밥 딜런처럼 시를 쓰고 한대수의 노래처럼 살고 싶다고 한다. 

나는 여유와 설빈에게 1집과 2집을 키워드로 표현하자면 ‘미래’와 ‘오늘’로 축약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이야기해줬다. 그들도 2집 발표 이후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 돌아보니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동의했다.  1집의 미래를 향한 에너지는 정규 트랙의 마지막곡인  ‘모두 잠든 새벽’에서  불빛, 별빛, 그리고 햇빛을 따라간다라는 부분에서 정점을 향한다. 1집 전반을 흐르는 뮤지션으로서 숭고하고 멋진 태도에 나는 왠지 조금 숨이 막혔다. 나같이 세상과 적당히 타협하면서 사는 사람은 절대 쓰지 못할 가사들이다. 나는 막상 그렇게 살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가사 한줄한줄, 진정성이 느껴지기에 더더욱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 진정성에 의심은 없었는지, 혹시 있었다면 어떻게 극복했는지 물어보고 싶었지만 그건 너무나 깊숙한 고뇌의 흔적을 꺼내 달라는 요청이라고 생각해 차마 물어보지 못했다.  


여유와 설빈은 그들 나름대로의 성장통을 겪었던 것일까? 매우 당연하게 그랬을 것이다. 숭고한 의지로 나아가는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남들보다 더 많은 상처를 얻게 마련이다. 그들의 순수성에 반하는 현실의 간극이 크기가 평범한 나 같은 사람보다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2집에서 여유와 설빈은 더 이상 내일만을 바라보지 않는다. 붙잡을 수 없는 감정들이 부딪혀 생기는 오늘의 균열을 ‘노래’에 붙잡았다. 여유와 설빈은 그렇게 오늘에 집중해 ‘노래’를 다시 발견한다. ‘노래’라는 흔한 단어에 닿은 그들만의 감정은 그래서 특별하다. 그들에게 ‘노래’라는 것은 오늘의 균열을 메우고 다시 내일을 꿈꾸게 하는 위로 같은 것이다. 그들의 노랫말처럼 어둠 없이 반짝이는 별이 없듯, 아픔 없는 행복이 없듯, 슬픔 없는 웃음이 없듯, 거짓 없이 진심으로만 채운 말이 없듯이 삶은 양극단 사이에서 흔들리며 나아간다. 그렇게 흔들리는 우리 곁에는 ‘노래’가 있다. 노래는 흐르고, 태우고, 깨우며 외롭고 서러웠던 날들을 위로한다. ‘노래’는 갈 곳 없는 우리 마음 곁으로 다시 찾아옴을 잊지 말라는 당부로 여유와 설빈은 2집을 마무리한다. 

여유와 설빈 2집 [노래는저멀리] 커버이미지

나는 그들에게  이 메시지가 가장 와 닿았음을  인터뷰 당시 이야기하지는 못했지만 아마도 그들은  눈치챘을 거라고 생각한다. 왠지 그들 음악에서 느껴지는 내면적 성장을 드러내 놓고 칭찬하자니 좀 쑥스러웠다. 나에게 여유와 설빈이 1집부터 숨기지 않던 음악에 대한 애정이 점차 성숙해가며 ‘노래’라는 본질로 나아가는 그간의 여정이 무척 특별하게 느껴진다. 음악이라는 거대한 세계를 느리고 담담히 여행하는 순례자들을 보는 것 같아서 랄까.  조급 하기만 했던 나의 발걸음을 조금 늦추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다 보니 한동안은 잊고 지내던 음악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나를 위로하던 노래들이 떠오른다. 그들이 걷는 발걸음은 또 어디로 향하게 될까? 여유와 설빈을 통해 포크음악의 본질이 무엇인지 조금은 알 것도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의 다음 여정 끝에서 들려줄 노래가 궁금하다.


© 2021 VILLIZINE ALL RIGHT RESERVED. PHOTO BY HARA


작가의 이전글 다시 찾아올 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