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BIG HIP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IG HIP Feb 25. 2019

돌을 떡으로 바꾼 부자

채희락의 [Let's take a short rest]


“나는 교회가 돈이 많다고 해서 그게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

“욕심이 문제지. 교회도 크게 짓고 돈도 많이 모아서 지역사회에 공헌하면 좋은 일이지 않아? 우리 교회는 하나님의 일을 크게 감당하기 위해 건물을 짓는 것일 뿐이야”



 필자가 들은 신학교 학생들의 말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정확히 간파한 책이 있다. 사실 이 책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고 싶지 않았다. 책을 한 자 한 자 읽어나가는 것이 고통스러웠기 때문이다. 도리어 ‘노이즈 마케팅’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책의 제목을 말하는 것도, 그리고 글을 쓰는 것 역시 잠시 망설여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글을 쓰기로 한 이유는, 여전히 잘못된 환상으로 신앙을 왜곡하는 교회에 대해 분명히 알려야 할 것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는 하나님과 함께 재물의 신이라고 불리는 ‘맘몬’이라는 두 신을 동시에 섬길 수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탐구해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김미진 저 「왕의 재정」


 위 책을 읽다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맘몬의 달콤한 유혹과 그 함정에 점점 빠져들게 된다. 그럴듯한 저자의 간증, 그리고 그런 신앙에 재물에 대한 축복이 어우러져 같은 기독교인으로 하여금 이보다 더 좋은 믿음의 생활은 없게끔 만든다. 소위 말하는 ‘깨끗한 부자론’을 추구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자의 생각은 마지막에 적나라하게 나타난다. “우리에게 가장 도전되는 삶은 90퍼센트 기부하고, 나머지 10퍼센트도 넉넉하여 모든 것에 넘치는 삶이다.” 심지어는 기부, 저축 그리고 소비라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몇 퍼센트를 이루는 것이 이상적인지도 규정해주고 있다. 과연 이 책이 기독교인들의 물질에 대한 인식을 바로 잡아주기 위한 책인지, 효율적인 재테크를 위한 책인지 구분이 어려울 정도다. 이런 책이 현재 기독교인들의 신앙의 지침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이 애석할 따름이다.


 이러한 돈에 대한 입장은 전혀 성경적이지도 않을 뿐 아니라, 돈과 인간관계를 수평적인 관계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저자는 우리가 타인을 생각하지 않고 나 자신의 필요만을 위해 재물을 구하는 것이 문제이며, 이것을 ‘기복신앙(복을 목적으로 믿는 신앙)’이라고 정의한다. 반면에 우리가 재물을 모아 일정 부분을 타인을 돕는 일에 사용하면서 정당한 자신의 필요를 구한다면 그것은 올바른 신앙이자 오히려 그런 이들에게 하나님이 물질적인 축복을 더해주신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재물이 많을수록 더욱 교회의 일을 크게 할 수 있고 하나님 나라의 역할을 감당하기가 수월해진다는 생각이 자연스레 심어지게 만든다. 얼핏 들으면 위 저자의 주장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느낄 수도 있다. 맞는 말처럼 들린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맘몬의 교묘한 함정이다. 


필자는 앞서 언급했다시피 크게 두 가지 부분에서 위 책의 오류를 지적하고 싶다. 


 첫 번째는 이와 같은 물질에 대한 인식은 자신의 입맛대로 성경을 해석한 것 일뿐 전혀 성경적인 가르침이 아니라는 것이다. 만일 물질이 뒷받침되어야 더욱 하나님의 일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예수 그리스도의 선택과 가르침은 어리석은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예수는 광야에서 돌을 떡으로 만들라는 마귀의 시험에 사람은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라고 말씀하시며 이를 거부한다. 또한 오병이어의 기적을 행한 후 많은 이들이 예수를 왕으로 모시고자 할 때 그들에게 썩는 양식을 구하지 말고 하늘의 양식을 구할 것을 이야기하신다. 책에 주장대로라면 예수 그리스도는 많은 이들을 구하고 도울 수 있는 길을 걷어찬 어리석고도 실패한 사람이 되어버린다. 돌을 떡으로 만들고 왕이 되어서 많은 이들을 먹이고 입히면 될 것이 아닌가? 그러나 예수는 그것이 진실로 하나님을 섬기고 하나님의 나라에 이르는 길이 아님을 몸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맘몬의 힘과 인간의 연약함을 간과한 것이다. 저자는 줄곧 우리가 돈의 노예가 되지 말고 돈을 우리의 노예로 만들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맘몬은 우리가 그것을 노예로 만들 것인가, 아니면 우리가 맘몬의 노예가 될 것인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할 만큼 약하지 않다. 반면에 인간은 한없이 나약한 존재라는 것을 우리는 자각해야 한다. 돈을 이용해서 타인을 돕고 베푸는 신앙생활이 처음에는 반듯하고 하나님 나라에 합당한 행동이라고 생각될지 모른다. 하지만 물질로써 베풀고자 하는 행위는 점점 시간이 갈수록 우리를 탐욕스럽고 교만하게 만든다는 것 또한 깨달아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남을 돕는 행위가 나의 공로를 자랑하고 욕망을 채우는 수단으로 변질된다. 이것이 맘몬의 힘이자 그것이 지닌 거대한 함정이다. 왜 하나님은 맘몬과 자신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고 말씀하시며 재물을 신의 경지로 빗대어 말씀하셨을지 우리는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내가 얼마를 기부해야 하고 또 얼마만을 나의 몫으로 정하고 사용해야 하는지 규정하는 것 역시 우리를 더욱 맘몬 신앙으로 이끈다. 설령 저자의 말처럼 90퍼센트를 기부하고 10퍼센트를 내 몫으로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그 10퍼센트 안에도 맘몬의 힘은 매우 강력하게 작용한다. 우리는 10퍼센트를 사용하면서 이에 만족하지 못하고 그 10퍼센트의 양을 더욱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때에 맘몬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안으로 들어온다. 우리의 이성과 신앙을 흔들어 놓을 만큼, 그만큼 맘몬은 강력하다. 결코 나약하지 않다. 맘몬은 우리가 노예로 만들겠다고 다짐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탈출해야 할 대상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JTBC


 물론 “기독교인들은 절대로 부자가 되어서는 안 되고 기독교인은 무조건적으로 가난해야 한다.”, “이웃에게 베풀지 말라.”라고 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사고는 우리에게 맘몬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함께 나의 탐욕을 정당화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점점 더 크게, 더 많이 얻으려고 하는 내 마음의 근본적인 동기가 무엇인가 면밀히 성찰해 보아야 한다. 가난하더라도 충분히 교회의 일과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일할 수 있다. 아니, 부유한 사람보다도 더 큰 일을 할 수 있다. 하나님의 나라는 기독교인들이 반드시 부자가 되어서 많이 베풀어야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연합하여 거룩한 공동체를 이루고 그 공동체 속에 사랑이 자리를 잡을 때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금의 한국교회와 같이 개교회 주의에 물들고 재물을 통한 확장을 추구한다면 입으로는 예수를 찾고 믿음을 이야기할지 모르나 실상은 예수보다 물질을 쫓는, 맘몬에 종속되는 삶을 살 수밖에 없을 것이다. 


 기독교의 가장 큰 가치는 당연히 사랑이다. 따라서 현재 무한한 개인주의와 자본주의 속에서 사랑의 원리를 점점 잃어버리는 교회의 현실 가운데 자신의 신앙을 고민하며 살아가는 이들에게 주어야 할 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사랑이 되어야 한다. 교회와 하나님 그리고 이웃을 위한다는 핑계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그런 스스로를 속이는 신앙을 강조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출처: https://hipbig.tistory.com/243 


매거진의 이전글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 다시 돌아 하는 낙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