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데이터파머 DataFarmer May 14. 20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기 바이오특별위원회 출범

컨트롤타워 재정비

농업, 해양수산, 규제… 바이오 구석구석 살펴보는 범부처 바이오 컨트롤타워 재정비
제2기 바이오특별위원회 출범 -
바이오특위재구성, 농진청 참여민간전문가14명 신규 위촉
바이오농산업창출을 위한 농업생명공학 중장기계획 발표
태동기해양바이오산업, 신성장동력으로…해양바이오산업 육성전략 수립
혁신적기술개발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요 규제 개선과제 논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과학기술혁신본부는 5월 11일오후, 7개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제1회바이오특별위원회(위원장: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이하 ‘바이오특위’)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ㅇ 이번 바이오특위에서는 바이오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그린바이오(농식품 분야)의 중장기 연구개발(R&D) 전략과 더불어, 시장 성장 초기에 진입하고있는 국내 해양바이오 산업 육성전략에 대해 심의하고,
ㅇ 지난 6개월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운영한 바이오 규제개선 TF에서 도출한 주요 바이오 규제 현황 현장에서제시한 개선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 바이오특위는 지난 ‘16년 바이오분야 정책 컨트롤 타워로 설치되어바이오 분야 중장기 계획에 대한 심의조정뿐만 아니라 
ㅇ 바이오 규제 개선, 바이오창업 생태계 구축 등 현장문제 해결 기능을 수행해왔다.
□ 이번 회의는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출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개정(‘18.4.17.)으로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국가과학기술심의회통합, 기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산하위원회(특위 포함)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이전 
ㅇ 제2기 바이오특위의신임 민간위원으로는 생명과학, 보건의료, 바이오 정책등 각 분야별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민간전문가 14명이 위촉되었다(명단 붙임). 
새롭게 위촉된 민간위원은 이번 회의부터 2년간(’18.5.11.~’20.5.10.)바이오특위 위원으로 활동하며 바이오분야 현장의 목소리를 범부처 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다. 
ㅇ 또한, 기존 참여했던6개 부처*
과기정통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해수부, 식약처
 
□ 이번 바이오특위에서 논의될 안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안건1] 제4차 농업생명공학육성중장기 기본계획(‘18~’27)
□ 환경보전식량안보등 각종 국내 현안 해결 및 고부가가치 산업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농생명공학 육성 노력이 보다 체계화될전망이다.
ㅇ 농촌진흥청은 이번 바이오특위에서, 첨단생명공학기술 육성농생명자원 활용 활성화 기반 구축 등의 내용을 담은 제4차 농생명공학육성 중장기 기본계획을 발표한다.
ㅇ 지난 제3차 농업생명공학육성 중장기 기본계획(‘13~’22)의성과평가 결과, 연구 기반응용기술력은 추격그룹으로 진입한 것으로 평가*되어, 
선도국 대비 농업생명공학 기술수준 (‘00)56%→(’15) 73.7%
이를 기반으로 농생명공학을 활용한 각종 현안 해결고부가가치 농산업 시장 창출을 위해 실용화에 중점을둔 제4차 계획을 수립하였다. 
□ 이번 계획에서는 정보기술(IT)-생명기술(BT) 등 융합연구 확대, 식량 안보 강화를 위한 신육종기술작물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부가가치 바이오 신소재 개발 등의 기술개발 방향을제시하고 있으며,
ㅇ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연구자현장 중심 R&D 프로세스 혁신,글로벌리더신진연구자 지원을 통한 농생명공학 전문인력 양성***
농생명공학 R&D 전문인력: (‘16) 2,015명 → (‘27)4,500명
** 유전자원 확보: (‘18) 250천자원 → (’27) 280천 자원(세계 5위 수준), 
유전자원 활용도: (‘18) 24% → (’27) 35%

□ 농촌진흥청은 이번 계획에 근거한 기술 육성제도 개선을 통해, 현재 10위권인농업생명공학 기술 경쟁력을 세계 5위 수준까지 높여나갈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안건2] 해양바이오산업육성전략
□ 정부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고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해양바이오산업*
해양바이오 산업 : 해양생명자원을 원료로 생명공학기술(Bio Technology)을 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에너지 등의 생산 활동을 하는 산업
 
□ 해양수산부는 국내 해양바이오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기위한「해양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안)」을 마련하였다. 
ㅇ 국가차원의 육성전략 수립을 통해 태동기 단계인 해양바이오산업을 선점하여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 세계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는 ‘16년 39억 달러에서 ’20년 48억달러로 성장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전망*
ㅇ 국내 해양바이오 산업은 업계의 영세성, 자원확보 애로, 미약한 산업생태계 등으로 성장에 어려움을겪고 있다.
* GIA(GlobalIndustry Analysis) 보고서
□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해양생명자원의 체계적인 확보기반을 구축하고, 해양생명자원의 통합 관리를 통해 자원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한편,
ㅇ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상용화 연구 R&D와 고부가가치 실용화 기술 개발을 위한 R&D를병행하여 추진하고, 해양바이오 네트워크 구축 및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국내 해양바이오 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안건3] 바이오 주요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 이번 바이오 특위에서는 난치병ㆍ희귀질환 치료 등을 위한 혁신적 기술개발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위해 개선이 필요한 바이오 분야 규제에 대해서도 관계부처와 함께 논의한다. 
□ 과기정통부는 지난 ‘17.10월부터 학계연구계산업계의료계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된 ’바이오 규제 선진화 TF‘를 운영해바이오 분야의 주요 규제를 검토해 왔다.
ㅇ 특히, 유전자변형 생물체(LMO: Living Modified Organism), 유전자 연구 현장에서 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규제현황해외사례이해관계자 입장 등에 대한 종합적분석을 통해 분야별 개선과제를 도출했다. 
ㅇ 바이오특위는 향후 각 개선과제의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현장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454141?pageIndex=3&hideurl=N


매거진의 이전글 '의료 인공지능' 확대되는데, 임상적 검증은 '전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