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잉크픽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아무개 Jun 23. 2023

공공 유튜브에 '정책토론'... 이런 건 좋아요!

<2023년 3월 2주 잉크픽>

잉크닷 픽(pick)은 주간 단위 중앙행정기관의 유튜브 영상 콘텐츠를 분석하며 잉크닷 에디터가 눈여겨 본 콘텐츠를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새로운 유형, 시도 또는 다른 영상과 차별된 부분이 보이는 영상을 선택하며 그 이유와 성과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기획 신선한데? 기자와 대변인의 정책 토론 배틀!


공공기관의 온라인 홍보를 보면 뭔가 적극적으로 알리고 싶은 마음이 있는 반면 너무 알려지는 것을 꺼려하는 마음이 공존하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소셜미디어의 확산으로 인해 공공기관의 온라인홍보가 매우 활성화되고 있고, 특히 유튜브의 영향으로 기관의 내부 인원이 영상에 출연하여 정보를 '진정성' 있게 전달하려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됩니다. 그럼에도 공공기관에서 정책과 관련된 정보전달 콘텐츠는 여전히 소통이라기 보다는 일방향의 정보전달 구성에 그치는 것이 사실입니다. 즉, 외부의 공격(?)에 대해 미리 방어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인데요.


3월 2주 중앙행정기관 유튜브 채널을 모니터링 하다 발견한 영상이 눈에 띄었습니다. 바로 소방청에서 게재한 영상인데, 소방청의 2023년 주요 정책에 대해 대변인, 그러니까 소방청 입장에서 정책의 유용함을 전달하는 입장의 인물과 이에 반대되는 인물들이 서로 정책에 대해 토론하는 영상을 게재한 것이죠.


이러한 포맷은 기존의 방송에서 많이 볼 수 있기는 하지만, 공공기관에서는 쉽게 보기 힘든 것임에는 분명합니다. 비록 많은 조회수를 확보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유튜브 자체가 이용자를 다수..라고 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수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관이 올해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에 대해 '까발려 지는' 것을 받아들이는 용기가 있는 기관이 많지 않기 때문이죠. 그런 부분에서 소방청의 영상은 색다른 시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62oDUOqjk 


소방청의 이 영상이 이용자의 관심을 이끌어 냈느냐?


라는 측면에서 보면 성과는 매우 미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관이 정책을 입안함에 있어 어떤 목적과 의도가 있었는지를 명확히 그리고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 정도 패널을 활용한 영상 구성은 매우 긍정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책홍보를 함에 있어 국민과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고, 그 거리가 점점 좁혀지고 있고 있습니다. 많은 공무원이 예전과 달리 영상에 출연하여 정책 정보를 전달하는 등 친근한 이미지를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죠. 물론 국토교통부의 원희룡 장관과 같이 본인의 행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려는 시도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시도는 본인의 이미지 형성에는 도움이 될 수 있을 지언정, 국민을 위한 올바른 정책정보 형성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소방청의 이러한 시도가 기관장의 프레지던트 아이덴티티(PI)에 국한된 된 기관 홍보, 기관 콘텐츠 제작이 아니라, 진정성 있는 정책정보 전달의 한 과정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담아 봅니다.




☞ 잉크닷 방문하기 https://ink.withbluedot.site/


매거진의 이전글 TV용 정책홍보영상을 유튜브에 게재할 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