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평화 Oct 15. 2023

대기환자 20명, '헉'하면서도 '힛'한 이유

주말에 혼자있을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병원갈 정도로 아프기

켁켁, 킁킁...이건...그놈이 분명하다.


편도선염. 나는 편도선염이 꼭 코감기와 함께 오는데 침을 삼킬 때마다 목이 아프고 코가 맹맹하고 귀가 멍멍한 것을 보니 이번에도 편도선염이 베프 코감기와 함께 온 것이 분명하다.


"편도가 부은 것 같아. 일주일+알파 각이다"

"병원 가 봐"

"일요일이야. 여는 병원 없어"

"주말진료 하는 소아과 있지 않나? 어른도 진료보러 오던데"

"기침감기는 소아과가도 괜찮던데 나는 편도선염이랑 코감기는 이비인후과 약 먹어야 낫더라. 내일 출근하고 부장한테 얘기해서 병원 잠깐 다녀오지 뭐"

"애한테 옮았나보다. (핸드폰 만지작만지작) 일요일 진료하는 이비인후과 있다. 차로 한 20분 정도? 갔다와"

"가도 되나..."


일요일 오전은 아이와 문화센터 체육수업을 가는 날이다. 이가 꽤 좋아하는 수업이다. 아빠랑 오는 아이들도 많던데 우리 아이는 엄마랑 가는걸 좋아한다. 남편 말로는 남편이랑 갔을땐 즐거워하지 않는다고 수업을 그만하면 어떠냐고 하는데...나랑 갈땐 그야말로 날아다닌다. 뛰는거니 나는거니;;; 수업을 듣고 가면 진료를 못 보고 진료를 보자면 수업을 못 가는 상황.


"수업 나랑 가지 뭐. 다녀와"


출근할때도, 수업을 들을 때도 늘 엄마를 따라간다는 아이었다. "회사 갔다 올게"하면 "나도 회사갈거야!", "학교가서 수업 듣고 올게"하면 "나도 학교갈거야!"하며...아빠랑 수업가는 것 싫다고 할 것 같은데...어쩌지?

 

"엄마, 병원가서 주사 맞고 올거야"

"엄마 병원갔다와~"(헐...이 반응 뭐임. 쏘쿨)

"병원 같이 갈래?"

"병원 안 가. 엄마 병원갔다와. 아빠랑 놀거야"

"엄마랑 병원 같이 안 갈거야?"

"엄마랑 병원 안 가! 엄마 혼자 병원가!"


혼자???!!!!! 으흐흐흐. 행여나 입으로 웃음이 삐져나갈까, 남편이 이 마음을 알아챌까 허벅지를 꼬집으며 슬픈 어투로 말했다.


"사랑이랑 같이 병원가고 싶은데 너어어어어무 아쉽다.
엄마 병원가서 크으으은 주사
엉덩이에 맞고 올게.
아빠랑 수업 잘 갖다 와"


"(끄덕끄덕+손 빠빠이)"


남편 손에 외출가방(물, 물티슈, 티슈, 손수건, 아이 주전부리류 등이 담긴 외출용 가방)를 쥐어주곤 차를 몰고 나왔는데. 침 삼킬 때마다 목은 여전히 아프고 콧물이 코 속을 가득채워 머리까지 띵한데...이 상쾌한 기분 무엇ㅎㅎ(함께 수업을 가지 못해서 아이에게) 미안한데 신나고 (아빠랑 잘 놀까) 걱정되면서도 해방감 느껴지는 이 양가적인 감정이란.


일요일 진료하는 몇 안 되는 병원이어서인가 대기환자 20명인데...소아과 상황이라면 한숨부터 나올 것이 분명한데...홀로 찾은 병원에서 마주하니 또 다른 기분일세. 으흐흐흐. 다만 주말에 홀로 병원을 올 수 있는 상황(나 대신 아이를 봐줄 누군가가 있음)과 주말에 병원을 와야할 정도로 아프지 않으면 주말에 홀로 온전히 있을수 있을 가능성은 없단 사실을 새삼 인지하니 헛웃음이 나온다.


아프지만 신나고 행복한 아이러니라니. 아이가 없었다면 모를 이 다층적인 행복이란. 역시 인생은 예측할수 없어서 너무 신난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라클모닝은 '유난'이 아니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