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스포츠 매니지먼트 회사인 IMG의 설립자이자 뛰어난 컨설턴트인 마크 맥코맥은 자신의 저서 "하버드 MBA에서도 가르쳐 주지 않는 것들"이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미국의 중위권 프로테니스 선수가 대학에서 하는 경기와 프로 리그에서 하는 경기의 차이점을 비교해서 말한 적이 있다. 그가 말한 요지는 대학에서는 기술을 어느 정도 습득하고 다른 선수의 약점을 파악하면 웬만큼 승리할 수 있지만, 프로세계에서는 자신의 약점보다 강점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세계적인 테니스 스타였던 비요른 보그가 주요 테니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기 시작했을 때 그가 지닌 몇 가지 강점이 드러났다. 그의 그라운드 스트로크, 순발력, 그리고 집중력은 10점 만점에 10점이었다. 그러나 서브가 약했다.
하지만 비요른은 현명하게도 자신의 서브가 경기의 승부를 좌우할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만약 그가 약한 서브를 고치는 데만 매달렸다면 아무 효과도 없었을 뿐더러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을 것이다. 그러나 비요른은 이 약점을 자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만큼만 향상시켰다."
사실 모든 면에서 뛰어난 만능재주꾼이 되기는 힘들다. 하지만 나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내 약점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인 방책을 갖고 있다면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내 경우,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하는 일', '의뢰인을 설득하고 감정을 조절시키는 일'에는 강점이 있다고 자부할 만하다. 하지만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일'이나 '자료들을 세세히 대조하고 따져보는 일'에는 쉽게 싫증을 내고 잘 몰두하지 못한다.
일단 나에게 강점이 있는 부분은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야 한다.
다만 약점 부분에 대해서는 스스로에게 자꾸 주의를 준다.
"넌 분명 더 파해칠 수 있는데 어느 순간 중단할 가능성이 커. 그리고 자료의 아주 디테일한 부분은 놓치기 쉬워."
자꾸 이런 식으로 주의를 주다보면 한 번이라도 더 자료를 보려고 노력하게 된다.
그리고 나의 부족할 부분을 보완해 줄만한 팀원(동료, 후배 변호사)과 함께 일을 처리한다.하나의 프로젝트를 맡을 경우 자료 정리에 탁월하거나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속성을 갖춘 멤버를 프로젝트에 합류시킨다. 물론 그들은 내가 갖고 있는 강점 부분은 아무래도 나보다 취약하다. 하지만 팀플레이를 할 경우 각자 강한 부분을 맡아서 하게 되면 전체적으로는 탁월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강점으로만 성과를 올릴 수 있다.
사람은 자신의 강점으로만 성과를 올릴 수 있다. 사람은, 자신이 전혀 할 수 없는 어떤 것은 더 말할 것도 없고, 약점을 바탕으로 성과를 쌓아 올릴 수는 없다. 태생부터 직업이 거의 결정되어지던 옛날과는 달리 현재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자신의 강점을 알아야만 하고, 그를 통해 그들이 어디에 적합한지를 알아야 한다."
- 피터 드러커 -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