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은 일하는 방식의 개선으로부터 나온다.
한 때 기자였고 지금은 콜버스라는 버스 기반 모빌리티 스타트업을 경영하고 있는 입장에서 꼭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것이 있다. '자유로운 기업문화'라는 스타트업의 클리셰다. 언론에서는 구글, 페이스북 등 성공한 기업의 복지와 자유로운 기업 문화에 대해 칭송한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할 수 있어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식이다. 하지만 이는 원인과 결과를 혼동한 것이다.
자유로운 문화는 성공의 비법이 아니라 성공의 전리품이다. 이미 성공해서 회사에 돈이 많기 때문에 직원들에게 자유를 주고 원하는 일을 하게 해도 괜찮은 것이다. 돈이 많이 쌓여있는 기업에게는 효과적인 기업 홍보방식이다. 그렇게 해야 또 좋은 인재를 데려올 수 있으니까. 하지만 자유 그 자체가 회사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것은 아니다. 직원들의 생산성은 일하는 방식의 개선으로부터 나오지 자유의 증가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자유는 일하는 방식을 개선시킬 수단으로서 필요하다. 콜버스에서는 서비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교통을 혁신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든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의견이라면 기각된다. 회의를 통과한 아이디어가 개발팀에서 구현될 때 기능을 훌륭하게 구현한다는 전제 아래 개발 방식은 최대한 자율에 맡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유 자체가 아니라 자유가 일하는 방식을 개선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느냐다. 목표 달성을 저해한다면 자유는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
기업은 생존을 위해 제한된 자원과 시간을 사용해 주어진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개인의 자유는 조직의 목표달성이라는 대전제 위에 가능하다. 목표를 향해 가는 방법으로서 출근시간이나 일하는 공간, 복장 등은 중요하지 않다. 심지어 사무실에서 맥주를 마시며 일해도 된다. 단, 이같은 자유가 본인은 물론 다른 조직원의 일하는 방식을 저해하면 안된다.
만약 어떤 행동의 자유를 얻고 싶은데 그 행동이 조직의 목표달성을 저해한다면 조직은 그 자유를 허용할 수 없다. 그건 회사로부터 얻는 무엇에 대한 비용이다. 만약 비용이 편익보다 크다면 스스로 창업을 하거나 조직에 속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