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hyung Kim Feb 07. 2019

01.Still life with a Crab



주말 오전 스탠포드 대학 안의 캔터 아트센터는 평소에 비해 한산했다. 비가와서인지 주말에 찾는 방문객이 없어 조용히 관람할 수 있었다. 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무료로 개방되는 이곳은 마음이 울적하거나 또는 혼자 생각을 정리하고 싶을 때 종종 방문하곤 한 마음의 안식처 같은 곳이었다. 2층으로 올라가 여느때 처럼 그림을 관람하던 중 하나의 작품을 만났다.

테이블 위에는 빛에 반사된 유리병과 빵, 껍질을 벗기다 만 과일이 놓여 있었고, 넘어진 유리병에는 주변의 음식들이 반사되어 비추고 있었다. 하얀 테이블보는 이제 막 식사를 마친 이후인 듯 구겨져 있고, 접시 위에는 아직 손을 대지 않은 커다란 크랩(Crab)이 놓여 있는 작품. 그것은 1654년 애브라함 반 베이렌(Abraham van Beyeren)이 그린 "Still Life with a Crab"였다. 그 때 도슨트를 따라 그림을 감상하는 관람객들이 "Still life with a crab"앞에 멈춰섰고 작품에 대한 설명을 듣던 관람객들에게 도슨트가 물었다. 그림 속의 크랩이 무슨 의미라고 생각하나요? 삶이란 테이블에 남아있는 크랩과 같이 유한했다. 이 그림은 17세기 어느날로부터 지금까지 시간여행을 하고 있었지만, 우리 모두에게 유한한 삶에 대한 메시지를 주고 있었다. 그것은 결코 우울하거나 슬픈기만한 메시지가 아니었다. 유한하기에 지금 이 시간을 더욱 소중히 여기라는 강렬한 메시지였다. 앞선 한 무리의 사람들이 도슨트를 따라 다음 작품으로 이동한 후에서야, 나는 작품과 직접 얼굴을 마주할 수 있었다. 혼자 그림과 마주하게 되자, 신기하게도 그림은 내게 다른 이야기를 건네었다. 앞선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그림은 분명 내게 삶의 유한함을 보라 말하고, 그래서 지금 열심히 살아가라 말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 그림은 내게 또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아닌가. 내게 말을 건네는 것은, 크랩 옆에 아무렇게나 넘어져 있는 병, 먹다 남은 과일, 투명한 병 속에 비춰진 복잡하게 얽힌 음식들이었다. 크랩과 같이 유한한 삶이었지만 존재함이었다. 넘어지고 깨지고 아픈 삶일지라도 그곳이 테이블과 같이 작은 공간일지라도. 서로 얽혀서 살아가는 것 자체가 우리의 삶이니 괜찮다고. 크랩이 경고를 주었다면, 넘어진 병은 위로가 되었다. 그 병은 넘어져 있었지만 다른 이들의 삶을 투명하게 비추고 그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볼 수 있는 거울이 되고 있었다. 그들과 얽힌 음식들은 우리를 둘러싼 세상의 모든 것이었다.

작가의 이전글 02. 걸어가는 사람의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