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일상나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영호 Jan 22. 2019

다시 회복해야할 질문과 기억해야될 답변

목회전서를 읽고

처음에는 학부시절 당시 복학해서 함께 공부했던 일환이형님이 엮은 책이기에 ‘의리’로 책을 펼쳤다. 형님의 SNS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특유의 글투와 강조를 위해 찍혀있는 쉼표와 마침표가 눈에 들어왔다. 한 장, 두 장 책을 넘길 때마다 누구나 생각해본, 누구나 고민해본 질문들이 한 가득 나열되어 있었다. 그에 대한 답변들도 그리 특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나는 책을 펼친 순간 서론에 기록되어있는 3시간 남짓의 평균완독시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책을 완독했다.(1시간 30분 소요)

이유를 몇 가지 정리해보자면

첫째, 카타르시스가 있다. 기존에 부사역자로서 담임목사님 혹 목회선배님들에게 질문할 수 없는 부분을 시원하게 질문해주었다. 그것도 정답은 아니더라도 ‘답’을 얻을 때까지 집요하게 물어주었다. 현실의 목회구조 안에서 부사역자가 할 수 없는 일을 대신 해주었다는 ‘카타르시스’가 있다.

둘째, 개척, 설교, 심방. 목회의 세 가지 요소에서 숨은 고수들을 만나는 ‘즐거움’이 있다. 숨은 고수를 만나는 즐거움은 그분들의 ‘목회 철학’을 마주하는 지점에서 왔다. 어느 하나 쉬운 분야 없다는 것은 이미 모두가 알고 있다. 하지만 그 분야에 대해서 한 마디라도 할 수 있는 ‘내공’이 있으려면 ‘철학’이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킬 수 있었다. 그래서 다시 한 번 노트를 꺼내들고 나에게 허락된 ‘특수성’에 기초하여 합리적으로 목회철학을 기록해보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셋째, 지구력에 대한 도전이 있다. 누구나 합리적인 생각을 말하기는 쉽다. 그리고 목회철학을 멋들어지게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그 철학을 일관적으로 지켜나가는 것은 쉽지 않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목회지구력’일 것이다. 작년 베스트셀러였던 GRIT이 생각난다. GRIT은 단순한 지구력을 의미하지 않는다. 질적으로 차원이 다른 지구력이 필요하다. 누군가에게 자신의 목회를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은 ‘목회지구력’이 단련된 사람이라는 교훈을 얻는다.

넷째, 30대를 마주하고 있는 나에게 큰 ‘공감’이 되는 내용이 있다. 특별히 <개척>부분에서 안민호 목사님의 고민이 비슷한 우리 또래들에게 많은 공감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파트타임에서 풀타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을 명확하게 집어준다는 느낌이 있다. 특별히 전임부사역자로 가는 길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큰 착각도 시원하게 집어주었다.

완독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막 새로운 것을 얻지는 않는다. 하지만 ‘리마인드’를 위해서 그리고 파편화되어 있는 것을 다시 정리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잊혀졌던 질문들과 답변들을 회복하기 위해서 책표지를 펼쳐보기를 권한다.
신학교과서에서는 얻기 힘든 귀한 ‘답’들이 가득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자연-스럽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