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꾸준한 시간부자 May 18. 2022

시간부자68-②죽음의 수용소에서(필사)

1일 1독 같이 하실래요?

<1일 1독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매일 1권을 읽었을 때 나의 변화를 알고 싶어 시작한 프로젝트!

2022.2.9부터 시작!!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죽음조차 희망으로 승화시킨 인간 존엄성의 승리-


1. 읽은 날짜 : 2022.5.13(금)    *68

2. 작가/출판사/분야 : 빅터 프랭클/청아출판사/철학

3. 내가 뽑은 키워드(3가지) : 비정상적인 반응, 해방의 체험, 행복하기

4. 내가 뽑은 문장 :

- '왜' why 살아야 하는지를 아는 사람은 그 '어떤'how 상황도 견뎌낼 수 있다

- 인생을 두 번째로 살고 있는 것처럼 살아라

5. 나의 감상평 : 질문을 던져주는 책



<필사>

'왜' why 살아야 하는지를 아는 사람은 그 '어떤'how 상황도 견뎌낼 수 있다
(19페이지)


저술가이자 정신과 의사인 프랭클 박사는 크고 작은 고통으로 고생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가끔 이렇게 묻는다.

"그런데 왜 자살하지 않습니까?

그렇게 물으면 어떤 사람은 아이를 너무나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재능이 아까워서라고 한다. 그리고 또 어떤 사람은 그저 간직하고 싶은 추억에 대한 미련 때문인지도 모른다고 대답한다. 이런 환자의 대답 속에서 프랭클 박사는 정신과 치료에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는 어떤 지침들을 발견하곤 한다. 이렇게 조각난 삶의 가느다란 실오라기를 엮어 하나의 확고한 형태를 갖춘 의미와 책임을 만들어내는 것. 이것이 바로 프랭클 박사가 독창적으로 고안해 낸 '실존적 분석', 즉' 로고테라피'의 목표이자 과제이다(추천의 글)


만약 삶에 어떤 목적이 있다면 시련과 죽음에도 반드시 목적이 있을 것이다(18페이지)


"이 세상에는 사람의 이성을 잃게 만드는 일이 있는가 하면 더 이상 잃을 이성이 없게 만드는 일도 있다"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너무 정상적인 것이다(51페이지)


도스토예프스키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내가 세상에서 한 가지 두려워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내 고통이 가치 없는 것이 되는 것이다"

(121페이지)


인생이란 치과의사 앞에 있는 것과 같다. 그 앞에 앉을 때마다 최약의 통증이 곧 찾아올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러다 보면 어느새 통증이 끝나 있는 것이(130페이지)


감정, 고통스러운 감정은 우리가 그것을 명확하고 확실하게 묘사하는 바로 순간에 고통이기를 멈춘다(133페이지)


해방의 체험.

이제 강제수용소에서의 정신의학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풀려난 사람들의 심리이다. 해방의 체험을 얘기하는 것은 당연히 개인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는데, 여기서는 극도로 긴장했던 며칠이 지난 후 수용소 정문 위에 흰 깃발이 펄럭였던 그날 아침의 경험담 중에서 하나를 소개하기로 하겠다. 정신적 흥분 상태에 이어 전체적인 긴장 이완 상태가 찾아왔다. 그러나 우리가 미친 듯이 기뻐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그것은 오산이다. 그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우리들은 피곤한 발걸음으로 몸을 질질 끌다시피 하며 수용소 정문으로 걸어갔다. 조금씩 사방을 둘러보고, 의심에 가득 찬 표정으로 서로를 힐끗힐끗 쳐다보았다. 그런 다음 과감하게 수용소 밖으로 몇 발자국 걸음을 옮겨보았다. 우리에게 고함을 치며 명령하는 사람이 없었다.

자유. 우리는 스스로 몇 번이나 이 단어를 되뇌어보았다.

이렇게 갇혀 있다가 석방된 죄수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을 정신의학적인 용어로 '이인증'depersonaliz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것이 꿈처럼 비현실적이고, 있을 법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그것이 현실이라는 것을 믿을 수 없었다.

육체는 마음보다는 거부감이 적은 법이다. 육체는 처음부터 새롭게 얻은 이 자유를 잘 활용했다. 드디어 우리 육체가 게걸스럽게 먹어대기 시작한 것이다. 몇 시간 동안, 며칠 동안, 그리고 심지어는 한밤중에도 우리는 먹었다(152페이지)


사람에게는 누구나 구체적인 과제를 수행할 특정한 일과 사명이 있다. 이 점에 있어서 그를 대신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며, 그의 삶 역시 반복될 수 없다. 따라서 각 개인에게 부과된 임무는 거기에 부과되어 찾아오는 특정한 기회만큼이나 유일한 것이다(181페이지)


인생을 두 번째로 살고 있는 것처럼 살아라. 그리고 지금 당신이 막 하려고 하는 행동이 첫 번째 인생에서 이미 그릇되게 했던 바로 그 행동이라고 생각하라(182페이지)


사랑은 다른 사람의 인간성 가장 깊은 곳까지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사랑하지 않고서는 어느 누구도 그 사람의 본질을 완전히 파악할 수 없다. 사랑으로 인해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특성과 개성을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사람이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 그리고 아직 실현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도 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사랑의 힘으로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이 이런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랑으로 하여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깨닫도록 함으로써 이런 잠재능력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84페이지)


고인이 된 조지아 대학의 심리학 교수 이디쓰 와이스코프 조웰슨은 로고테라피에 관한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오늘날 정신건강 철학은 인간이 반드시 행복해야 하며, 불행은 무적응의 징후라는 생각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가치체계가 불행하다는 생각 때문에 점점 더 불행해지면서 피할 수 없는 불행의 짐이 더욱 가중되는 상황을 만들어온 것이다"(188페이지)


신경질환 환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웃을 줄 알게 되면 그것은 그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상태, 아니 어쩌면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203페이지)


이것 하나는 명심해야 한다. 낙관적인 생각이 명령이나 지시를 받아 생기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사람은 심지어 자기 자신에게도 모든 가능성에 대해, 모든 희망에 대해 가리지 않고 낙관적이어야 한다고 강요할 수는 없다. 희망에 적용되는 것은 나머지 두 가지 것에도 적용되는데, 말하자면 믿음과 사랑도 명령하거나 지시할 수 없다는 말이다(220페이지)


유럽 사람의 눈에는 미국의 문화가 인간에게 '행복하기를' 끊임없이 강요하고 명령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행복은 얻으려고 한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일의 결과로써 나타나는 것이다. 사람이 행복하려면 '행복해야 할 이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일단 그 이유를 찾으면 인간은 저절로 행복해진다. 알다시피 인간은 행복을 찾는 존재가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내재해 있는 잠재적인 의미를 실현시킴으로써 행복할 이유를 찾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221페이지)


"그러나 모든 위대한 것은 그것을 발견하는 것만큼이나 실현시키는 것도 힘들다"

스피노자<윤리학>의 마지막 문장이다(242페이지)




매거진의 이전글 시간부자68-①죽음의 수용소에서(목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