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Biology Story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칼 베르니케 Jun 01. 2016

여성에 대한 남성의 자동적인 성적 대상화

비키니를 입은 여성의 사진을 볼 때와 도구를 사용할 때 남성의 뇌 활성 위


원문: http://www.cnn.com/2009/HEALTH/02/19/women.bikinis.objects/


2009년의 AAAS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프린스턴대학 심리학과의 수전 피스크 교수의  연구결과 에 따르면, 남자는 비키니 입은 (예쁜) 여자의 사진을 보면 '도구'를 다루고 '행동'을 취하는 데 관여하는 뇌내 부위가 활성화된다고 한다. 다시 말해 '성적 대상화'가 이루어진다는 이야기.


그런데, 이러한 남성의 반응은 남성 개인이 자유롭게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진화의 부산물이다. 말하자면 수컷이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해 수태가 가능한 암컷을 찾는 기능이라는 것.


따라서 남자들은 공적이든 사적이든 여성을 대할 때 이러한 "진화적 영향"이 존재한다는 것을 항상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 대상인 프린스턴의 이성애 남학생들에 대하여 성차별에 대한 정도를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적대적 여성 차별 (가령 여성이 남성을 지배하려 하고 있다 등) 정도가 높은 남학생들의 경우 이러한 (헐벗은-_-여성의) 사진을 보여줄 경우 타인의 생각, 느낌, 의도 등을 분석하는 기능의 뇌 부위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즉 반라의 여성에 대한 시각이 탈인간화 탈개인화하여 반라의 여성을 단지 성적 대상으로써 바라보게 된다는 것.


그리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반응도 흥미로운데, 남학생의 경우 반라의 여성 사진과 어떠한 단어 (예를 들어 밀다-만지다-당기다 등) 를 연관지을때 일인칭 형식을 사용하는 경향성이 보였고, 옷을 다 입은 여성의 경우는 삼인칭 형식이 두드러졌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는 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선행 연구 결과로는, 섹스어필한 (헐벗은) 여성의 사진을 남성에게 보여준 다음 그 여성과 (평상복을 입은 채로) 일대일로 (취업 면접이라든지...) 마주하게 될 경우 남성은 그 여성에 대해 성적 행위에 연관된 단어들을 보다 많이 떠올리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피스크 교수는 "딱히 검열을 지지하는건 아니지만 그런 현상을 피하려면 직장에는 야한 사진 갖다놓지 말라"고 충고한다.


진화심리학에서 이성에 대한 대상화의 원인으로 설명하는 것이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의 젊음과 그에 따른 명백한 수태가능성이고 반면 여성의 경우는 남성의 (사회적 집단 내에서의) 위치와 보유 자원의 유무다. 말하자면 그러한 것들이 이성에 대한 합리적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다는 것.



관련하여 일전에 페이스북 내 어떤 글에서 내가 "(페북 프로필 사진에 보이는) 여자의 예쁜 외모는 (남자에게)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논의 진행에 방해가 된다"고 했다가 뭔가 (댓글로) 몰매를 맞았던 기억이 날 듯도 하고, 안 날 듯도 하다.


페북에서 나름 (자칭) 합리적이고 심오한 정치-사회적 담론을 즐긴다는 아재 들이 또 페북에서 예쁜 여자 만 봤다 하면 뭔 말을 해도 댓글에 꽃사진이나 던진다거나 그 여성이 뭔 헛소리를 지껄여도 아무 반론도 없이 아부나 떨고 찬양만 해대는 걸 보면.. 역시나 인간 수컷은 奀(망)한 건가.ㄷㄷㄷ


그리고 이 글 보는 남자들, 표지의 비키니 사진 보고 이 글 클릭한거 다 안다. ㅋ

매거진의 이전글 공격성의 남녀차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