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곳니 Jul 11. 2023

경기 침체, 금리, 실업률, 물가

그리고 주식 시장


*주황색 : 기준 금리

*하늘색 : Core CPI YoY

*노란색 : 실업률


#1. 1973-1975



지속 기간

1973년 11월 ~ 1975년 3월

16개월



특징

              1973 오일 쇼크            

              1973 - 1974 주식 시장 붕괴            

              스태그플레이션            






주식시장

전고점 대비 하락률

-45.97%





기준 금리

고점

1974년 5, 6월

13%


인하 시작 시점

1974년 7월

-3.75%p



저점

1975년 4,5월

5.25%












실업률

저점

1973년 10월(침체 시작 1m. 전)

4.6%


고점

1975년 5월(침체 끝나고 2m. 후)

9%







comment

              침체 중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금리 인하 사이클이 끝나기 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주식 시장 바닥은 금리 인하 사이클 중 평탄기에 등장했다.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 전에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 증가했다.            

              실업률의 고점은 침체가 끝난 후 등장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기간 동안 물가가 계속 상승했다.            













#2. 1980



지속 기간

1980년 1월 ~ 1980년 7월

6개월


특징

              1970년대 폴 볼커 의장의 인플레이션 파이터            

              더블딥            








주식시장

전고점 대비 하락률

-21.62%




기준 금리

고점

1980년 3월

20%


인하 시작 시점

1980년 4월

-8.5%p


저점

1980년 6,7월

8.5%





실업률

저점

1979년 5월(침체 시작 8m. 전)

5.6%


고점

1980년 7월

7.8%





comment

              침체 중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금리 인하 사이클이 끝나기 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 전에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했다.            

              실업률의 고점은 침체가 끝나기 전에 등장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기간 동안 물가가 계속 상승했다.            














#3. 1981-1982



지속 기간

1981년 7월 ~ 1982년 11월

16개월


특징

              1979년 이란 혁명 -> 2차 석유 파동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강력한 통화정책            






주식시장

전고점 대비 하락률

-24.57%





기준 금리

고점

1981년 5월

20%


인하 시작 시점

1981년 6월

-4.5%p


저점

1983년 1~4월

8.5%






실업률

저점

1981년 7월(침체 시작 0m. 전)

7.2%



고점

1982년 11~12월(침체 후 0m.)

10.8%




comment

              침체 중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있었다.            

              침체 전 금리 인하가 단행되었다.            

              금리 인하 사이클이 끝나기 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에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했다.            

              실업률의 고점은 침체가 끝나기 전에 등장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기간 동안 초반 6개월 동안 물가가 약상승 했고            

              이후 침체가 끝날 때까지 물가가 계속 하락했다.            











#4. Early 1990s



지속 기간

1990년 7월 ~ 1991년 3월


8개월



특징

              1980년대의 성장 이후 인플레이션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86년부터 1989년까지 금리 인상            

              성장은 약해졌지만 멈추지 않음            

              1990년 유가 쇼크 + 1980년대 부채 축적 + 소비자 비관이 원인            

              짧은 침체            






주식시장

전고점 대비 하락률

-20.36%




기준 금리

고점

1990년 7월

8.25%


인하 시작 시점

1990년 7월

-0.25%p


저점

1992년 9월~

3.0%





실업률

저점

1990년 6월(침체 시작 1m. 전)

5.2%


고점

1992년 6월(침체 종료 15m. 후)

7.8%





comment

              침체 중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있었다.            

              침체 전 금리 인하가 단행되었다.            

              금리 인하 사이클이 끝나기 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 전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했다.            

              실업률의 고점은 침체가 끝난 이후 등장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기간 동안 물가는 상승했다.            



















#5. Early 2000s



지속 기간

2001년 3월 ~ 2001년 11월

8개월


특징

              1990년대 긴 성장            

              닷컴 버블 붕괴            

              기업 지출 및 투자 급감            

              9.11 테러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고 얕은 침체            







주식시장

전고점 대비 하락률

-20.36%





기준 금리

고점

2000년 12월

6.5%


인하 시작 시점

2001년 1월

-0.50%p


저점

2003년 7월~

1.0%





실업률

저점

2000년 9~11월(침체 시작 4m. 전)

3.9%


고점

2003년 6월(침체 종료 21m. 후)

6.3%






comment

              침체가 끝나고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버블 붕괴의 영향일 듯).            

              침체 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있었다.            

              침체 전 금리 인하가 단행되었다.            

              금리 인하 사이클이 끝나기 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 전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했다.            

              실업률의 고점은 침체가 끝난 이후 등장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기간 동안 물가는 횡보했다.            



















#6. Great Recession



지속 기간

2007년 12월 ~ 2009년 6월

18개월


특징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미국 부동산 버블의 붕괴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이어짐            

              유가와 식료품값도 상승함            

              미국의 대형 금융기관 다수가 파산함            

              자동차 회사도 위기였음            

              은행 구제금융과 재정정책 사용            

              침체가 지나고 1년 후에 침체가 끝났음을 선언            




주식시장

전고점 대비 하락률

-57.69%






기준 금리

고점

2007년 9월

5.25%


인하 시작 시점

2007년 9월

-0.50%p



저점

2009년 1월~

0.25%







실업률

저점

2007년 5월(침체 시작 7m. 전)

4.4%


고점

2009년 10월(침체 종료 4m. 후)

10%






comment

              침체 중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있었다.            

              침체 전 금리 인하가 단행되었다.            

              마지막 금리 인하 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 전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했다.            

              실업률의 고점은 침체가 끝난 이후 등장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기간 동안 물가는 상승했다.            



















#7. COVID-19 recession



지속 기간

2020년 2월 ~ 2020년 4월

2개월


특징

              급격한 일자리 감소            

              가장 짧은 침체            

              온라인 구매, 제로 기준 금리, 머니 프린팅이 도움            







주식시장

전고점 대비 하락률

-35.41%






기준 금리

고점

2019년 7월

2.5%


인하 시작 시점

2019년 8월

-0.25%p


저점

2020년 3월~

0.25%





실업률

저점

2020년 2월(침체 시작 0m. 전)

3.5%


고점

2020년 4월(침체 종료 0m. 후)

14.7%






comment

              침체 중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있었다.            

              침체 전 금리 인하가 단행되었다.            

              마지막 금리 인하 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 전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했다.            

              실업률의 고점은 침체가 끝난 이후 등장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침체 기간 동안 물가는 하락했고 이후 크게 하락했다.            














종합 Comment

              침체 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있었다(예외 1973-1975).            

              침체 전 금리 인하가 단행되었다(예외 1973-1975).            

              침체 중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예외 Early 2000s)            

              금리 인하 사이클이 끝나기 전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예외 Great Recession, COVID-19)

              실업률의 저점은 침체 시작 전에 등장했다            

              실업률은 침체 기간 동안 계속 증가했다            

              실업률이 고점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 바닥이 나왔다            






사족 Comment

              대부분의 리세션이 금리 인하 사이클 중에 발생했지만,            

              금리 인하 사이클 중이라고 해서 반드시 리세션이 발생한 것은 아니었다.            

              ex) 1984~1986            







작가의 이전글 주식시장 국면에 대한 기사 정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