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쨔시기 Mar 07. 2024

노력 : 지루한 단어의 역습

머리좋으면 장땡?



머리가 좋으면 다 좋기만 할까?



시험 성적이 제일 중요했던 학창 시절엔, 머리 좋은 게 최고라고 생각했다.

같은 공부를 해도 더 효율적일 테니까.


나는 머리가 어느정도 좋은 편이라 생각한다.

처음 배우는 것도 쉽게 이해가 되었고, 친구들이 공부할 때 어려워하는 것을 보고 ‘이게 왜 어렵지?’라는 생각을 했었다.

      

문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생겼다. 

중학생일 때, 수학 선생님이 “수학의 꽃은 함수다”라고 하셨는데, 첫 함수 수업이 무척 쉬웠다.

그래서 ‘시험기간 전에만 공부하면 되겠네’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잤다.


시험기간이 다가오자 ‘이제 수업 들어야겠다’ 생각하고 오랜만에 수학 수업을 들었더니, 

이게 웬걸 외계어 투성이었다. 


평소 ‘이해력’은 자신 있었는데 이해는커녕 정의 자체를 모르겠고. 내 주변엔 고개를 끄덕이며 수업을 듣는 친구들이 있었다.

결국 점점 수학과는 거리가 멀어졌다.


성인이 된 지금은 저때가 정말 아쉽다. 

수학 자체는(시험 목적이 아닌) 흥미로운 과목이지만 

나의 자만심으로 인해 배울 기회를 놓쳐버린 것이다.


이것이 과연 수학뿐일까? 머리가 좋다는 스스로의 생각에 갇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놓친 기회들은 생각해 보면 꽤 많다.


“나는 금방 따라잡을 수 있어~” 


저 생각은 자신감이 아닌 자만심이었다.





그럼 머리 좋은 것보다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요행 없는 꾸준한 노력’이다.


참 지루해 보였던 단어이다.


머리 좋은 것은 타고나지만, 노력은 누구나 하는 것 아닌가?

 

하지만 지금의 나는 알고 있다. 그 꾸준한 노력을 많은 사람들은 못한다

사람은 원래, 새로운 것을 도전할 때 마주할 불편한 상황들을 피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럼 머리가 좋으면 금방 다시 배울 수 있지 않을까?


그만큼 더 두렵다


'만약 도전했는데도 못하면?'

단계별로 배웠던 것들은 이유가 있다. 단기간에 따라잡기가 어렵다. 

특히 여러 개를 동시에 하려면!



그러므로 '노력'은 지금의 내가 느끼기에는 참 대단한 단어이다. 

"머리 좋다, 재능 있다"는 잠재성이지만, 행동하지 않는다면 그걸로 끝이다. 

그러나 노력이란 단어에는, 겸손함과 행동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모든 배움에는 어쩔 수 없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때 꾸준히 노력한 사람은 조금씩 나아간다. 행동하기 때문에!





최근에 몇 개월 한 취미생활(드로잉)에 대해서 친구에게 칭찬을 들었다. 


"와 정말 꾸준히 잘하네? 대단하다"였다. 


이상하게 계속 맴돈다.


잘했다는 말 보다 그동안의 노력을 인정받은 느낌의 칭찬 이어서일까?


지금은, 나 역시 다른 이의 노력을 알아보고 진심으로 대단하다는 생각과 

그 성실함에 칭찬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 감사함을 느낀다.




작가의 이전글 일상에서 배운 깨달음( 一切唯心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