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쓰는 영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드플레 May 07. 2021

떠도는 표면에서 찰나의 만남으로

<타락천사(墮落天使)> (왕가위, 1995)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왕가위의 영화는 무엇입니까, 가장 먼저 두 편이 떠오른다. <중경삼림>(1994)과 <타락천사>(1995)다. 반드시 하나를 골라야 한다면 <타락천사>다. 의외의 선택처럼 보일 수 있겠다. <중경삼림>은 아직도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는 영화지만, <타락천사>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는 비운의 작품이다. 두 편의 영화는 같은 듯 매우 다르게 느껴진다. 두 영화는 모두 청춘들의 몸부림이 스며든, 홍콩의 중국 반환 직전의 세기말 감성이 물씬 피어나는 90년대를 공유한다. 사실 <중경삼림>엔 경찰 663과 페이의 이야기 뒤에 이어졌어야 할 세 번째 에피소드가 있었다. 하지만 두 개의 에피소드만으로 장편 분량을 충족하자, 왕가위 감독은 후속 에피소드를 덧붙이지 않고 영화를 내놓았다. 그렇게 <중경삼림>에 편입되지 못한 이야기가 <타락천사>의 근간이 된다. 덩그러니 남은 세 번째 에피소드를 각색하고 살을 붙여 만든 영화가 바로 <타락천사>다. 그래서 묘하게 <타락천사>는 태생적 배경에서부터 어딘가에서 떨어져 나온 듯한 소외감과 주변을 배회하는 외로움 따위가 묻어나는 영화처럼 느껴진다.



떠도는 표면


<중경삼림>이 낮의 영화라면 <타락천사>는 밤의 영화다. 대도시의 밤은 언제나 외롭다. 컬러풀한 네온사인의 잔상이 밤거리의 쓸쓸함을 더욱 짙게 만들고, 번화가 주변부에선 마음 둘 곳 없는 영혼들이 술로 밤을 지새운다. 도시가 밤으로 물들어가면 평상시에 볼 수 없었던 사람들이 종종 출현한다. 컴컴한 뒷골목의 이미지를 대변하는 사람들도 슬그머니 모습을 드러낸다. 이들은 대다수 사회구성원이 쉬거나 자고 있을 때 움직이기 시작한다. 직업이 없이 부유하는 사람들도 밤이 되면 이곳저곳에 기웃대며 나름대로 존재감을 표출한다. <타락천사>의 인물들은 한적한 도시의 밤을 누비는 외로운 방랑자들이다. 마음 놓고 쉴 곳을 찾지 못해 계속해서 떠도는 유령들. 이들의 피상적인 몸부림, 표면적인 움직임은 왕가위의 광각 렌즈 속에 갇혀 진한 고독과 상실 등의 파편들로 형상화된다.


<타락천사>는 불친절하다. 인물의 사연을 펼쳐놓긴 하지만, 어쩐지 관객을 설득하기보다는 인물을 어떻게 바라볼지에만 관심이 있어 보인다. 왕가위가 하는 일이라고는 그저 스치는 인연들,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는 자들의 부유하는 떨림만을 포착하는 작업이다. 어쩌면 이런 시선은 미국 독립영화계의 상징인 존 카사베츠의 눈과 맞닿아 있다. 언젠가 왕가위가 카사베츠의 영화를 인상깊게 봤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다. 카사베츠는 <차이니즈 부키의 죽음>(1976) 속 비텔리를 그려낼 때도 이미지의 잔상들과 조명, 인물의 인생관을 펼쳐놓는 듯한 장황한 대사들, 도통 의뭉스러워 보이는 클로즈업을 활용해서 삶의 표면과 심연을 오가는 시선을 드러냈다. 비텔리에게 마냥 몰입할 수만은 없지만, 그의 사연을 보고 있으면 생각이 많아진다. <타락천사>의 인물을 볼 때도 비슷한 느낌이었다. 날 것의 감정들이 내게 전해지긴 하지만, 어쩐지 쉽사리 공감하기는 힘든 이야기들. <타락천사>가 <중경삼림>과 유사한 스타일이 묻어나는 영화임에도 지지층이 적은 이유가 여기에 있을지도 모른다.


'타락천사' 스틸컷 © (주)디스테이션



표출하는 카메라


<타락천사>에는 고독과 불안함, 공허와 갈망, 회상과 아련함, 애정, 사랑, 연민 등이 뒤얽힌 복잡한 감정의 파편들이 흩어져 있다. 이 영화는 시청각적 표현력 혹은 영화 기법으로 빚어낸 전달력 등에 있어서 그 어떤 왕가위의 영화들보다도 직관적이고 강렬한 효과를 유도해낸다. 시작부터 끝까지 광각 렌즈를 피사체(주로 인물)에 들이밀면서, 삐딱한 구도를 통해 프레임 내부를 맴도는 인물의 공간을 왜곡한다. 인물들은 과장되고 뒤틀린 형상으로 주변 공간을 점유한다. 특히나 버스 내부, 단골 술집, 식당 등의 장소에서 킬러와 파트너의 얼굴을 통해 그들의 황량한 내면이 극단적으로 표출된다. 작정하고 도시 주변부 방랑자들의 외로움을 담아내는 영화다. 그러니까 왕가위는 영화를 찍는 순간부터 이미 무엇을 담아낼지, 어떻게 표현할지 계획된 공식 아래 솔직하게 드러내고 가감 없이 표출한다.


킬러와 파트너는 늘 엇갈린다. 작업을 마친 킬러가 비밀 아지트로 복귀하고 휴식을 취한 뒤 다른 작업을 위해 자리를 뜨면, 파트너는 킬러가 머문 자리를 청소하고 정보를 건네는 등 중개인처럼 킬러를 돕는다. 두 사람은 유대감이나 이성 간의 호기심이 아닌 비즈니스로 얽힌 사이이므로, 서로가 맡은 일에만 충실하면 잘 맞은 부품이 쉼 없이 돌아가듯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파트너는 킬러를 마음에 품게 되고, 더는 엇갈림을 버틸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킬러는 얼굴을 보자는 그녀의 요청을 거절한다. 일과 감정이 섞이면 골치 아파지기 때문이다. 킬러와 파트너는 모두 각자의 사정과 나름의 사연으로 고독에 파묻힌다. 파트너의 수음 행위가 적나라하게 프레임에 두 번째로 담기는 신을 떠올려 보자. 이 장면은 킬러와 베이비(염색한 여자)가 같이 있는 모습 이후 제시된다. 이때 왜곡된 구도 및 광각 렌즈, 음악을 통해 킬러와 엇갈리기만 하는 파트너의 상황과 그녀의 참담한 심리를 아주 짙은 고독감으로 환원한다. 시작부터 광각으로 프레임을 구획하던 왕가위의 카메라는 숨김없이 인물의 표면과 심리를 함께 포착하고 드러낸다.


'타락천사' 스틸컷 © (주)디스테이션



찰나의 만남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짙은 고독에 신음하는 <타락천사>의 무드는 하지무가 나오는 에피소드로 인해 살짝 달라진다. 킬러와 파트너, 하지무와 아버지, 킬러와 베이비, 하지무와 찰리의 에피소드가 뒤섞이다가 마침내 영화는 파트너와 하지무가 만나면서 끝으로 향한다. 하지무는 아버지를 잃고 찰리를 떠나보냈으며, 파트너는 킬러를 잃었다. 광각 구도에 갇힌 파트너의 뒤에 피를 흘리는 하지무가 있다. 상처받은 두 사람은 상실과 고독을 잠시 뒤로하고, 같이 오토바이에 몸을 맡긴다. 왕가위는 마지막에 두 사람을 이어준다. 상실의 흔적, 고독을 지우려는 몸부림, 오토바이 등이 두 사람 사이를 매개하면서 두 사람의 조우는 아슬아슬하게 잠시나마 지속된다. 인물 간의 만남이 짧게나마 유지되는 이 순간이 <타락천사>뿐만 아니라 왕가위 영화에선 특히 중요하다. 영원한 이별이나 영원한 만남은 없다. 우리가 <타락천사>에서 포착할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건, 어지럽게 흩어지다가도 문득 정신을 차리면 어느새 얼굴을 맞댈 수 있는 아주 잠깐의 순간들이다. 따라서 터널을 빠져나오는 마지막 쇼트에서 카메라의 시선은 오토바이를 타는 두 사람을 영원히 담지 않고 하늘로 향한다.


하지무는 <중경삼림>의 경찰 223과 묘하게 겹친다. 모든 것에는 유통기한이 있다는 말을 뱉는다든가, 파인애플 통조림에 관한 에피소드라든가. 223과 하지무를 연기하는 배우가 같다는 점 또한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지만, 소소한 재미를 준다. 그렇다고 두 영화를 매개하는 이런 요소들을 가볍게 흘려보내기에는 어딘가 아까운 구석이 있다. 두 영화는 사실 한 편의 영화로 기획됐었다. 경찰 223과 마약 밀매상의 관계가 삐삐로 인해 강화됐던 것처럼, 하지무의 캠코더에 담긴 영상을 통해 아버지와 아들의 유대가 강화되는 듯 보인다. 이때 인물과 매개물 사이의 실질적인 만남은 찰나에 불과하지만, 삐삐 속 목소리와 캠코더 속 영상은 휘발되지 않고 남아 있다. 게다가 파트너와 킬러는 단골 바의 주크박스 속 음악(망기타[忘記他])에 의해 매개되기도 한다. 음악은 인물이 바를 떠난 뒤에도 계속 필름에 남아 킬러와 파트너의 상황적인 괴리를 강조하고 있다. 형식과 내용의 경계를 짓이기는 기묘한 매개가 펼쳐진다.


어쩌면 이 영화는 찰나의 만남을 매개하는 것들에 관한 영화가 아닌가. 하지무가 끊임없이 제공하는 아이스크림 덕분에 장발 남자의 가족이 한데 모여 잠시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가족이 다 모여서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는 짧은 시간은 아이스크림이 만들어낸 추억으로 남을 수 있다. 이렇듯 클로즈업과 왜곡된 앵글을 동원하는 뒤틀린 표면의 탐닉은 피상적인 조우의 순간들과 스치는 만남을 담아내다가 한 걸음 더 나아간다. 휘발되는 순간들을 매개하는 몇몇 요소들이 이 영화를 표면과 심연을 넘나드는 매력적인 텍스트로 가공하고 있다. 왜곡된 듯한 표면적인 움직임과 심연 어딘가의 보존된 추억, 잊고 싶지 않은 기억들이 매개물을 통해 공존할 수 있다. 그래서 순간을 가두려는 스텝 프린팅 기법이 왕가위의 영화에서 자주 쓰이는 게 아닌가. <타락천사>는 그 표면과 심연을 오가는 움직임을 그냥 지나치지 않는 영화다. 스쳐가는 만남이 자아내는 자그마한 위안과 추억들을 잠시나마 머금으려는 솔직한 영화이기도 하다. 영원한 낭만도, 영원한 고독도 없이 오로지 찰나의 마주침에서만 온기를 느낄 수 있다. 이게 바로 <타락천사>를 좋아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타락천사' 스틸컷 © (주)디스테이션

매거진의 이전글 <더 파더>의 반복과 변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