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광영, 김창환(2021)
한국학총서 '교육과 사회이동' 4권 중 마지막 4권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
총서 1권; 세대와 사회이동 변화
2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 결과
3권; 교육 프리미엄
4권;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
4권 서문 옮김
-한국 교육제도의 변화가 교육기회와 관련하여 남성과 여성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분석
-그 변화가 남성과 여성의 사회이동과 임금에 미친 효과를 분석
-교육기회는 계급과 계층에 따라서 뿐만 아니라 젠더에 따라서도 다르게 영향을 미침
-'젠더 역전'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교육기회를 더 많이 이용하였으나, 자녀수의 감소로 이런 차이가 사라지고 오히려 여성의 고등교육 진학이 남성 능가)
그러나 여성의 대학진학률과는 달리, 노동시장에서의 남녀 임금불평등은 크게 약화되지 않았다. 대학에 진학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전공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는 가설이 강력하게 등장하였다. 전공분리가 강하게 유지되면서, 이러한 전공분리가 남녀 임금격차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다. 임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변수를 포함한 분석에서 20대 대졸자 여성은 대졸자 남성에 비해서 17% 정도 적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결혼이나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 이전에 이미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시기에 채용과 업무 할당 과정에서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차별의 결과 때문이라는 점을 논의한다.
-신광영, 김창환,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 서문 중
서문의 서술이 결론인 셈인데, 아무튼 3장(성별 전공 분리와 20대 대졸자 성별소득격차)을 집중적으로 읽을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