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진우 Apr 03. 2024

머리 좋은 리더가 관계도 잘 맺을까?

리더의 IQ와 EQ 무엇이 더 중요할까?


전통적으로 조직심리학은 리더십의 성공을 예측하는 변수로 지능을 꼽는다. 흔히 IQ로 알려진 일반정신능력(general mental ability)은 직무가 복잡할수록 그 영향력이 크다. 단순 직무의 경우엔 지능의 중요도가 높지 않지만, 리더십과 같은 고도의 복잡한 직무를 잘 수행하려면 지능의 역할이 필요하다. 지금도 조던 피터슨(Jordan Peterson)과 같은 학자는 리더십의 성공에 있어 감성의 역할은 거의 없으며, 지능만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대의 주장도 있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리더십 저술가 중 한 명인 대니얼 골먼(Daniel Goleman)은 『EQ 감성지능』,『SQ 사회지능』, 『마음의 리더십』, 『감성의 리더십』,『리더십의 딜레마』 등의 저서에서 리더십의 효과성은 IQ보다 감정을 잘 활용할 줄 아는 EQ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골먼의 주장에 따르면, 리더십의 성공은 EQ가 90%를 결정한다.


서로 상반된 주장에 각각의 근거가 확실하다면, 심리학을 배운 사람이라면 조절 변인을 떠올려야 한다. IQ / EQ와 리더십의 효과성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제3의 변인이 있다는 말이다. 와튼스쿨의 조직심리학자 애덤 그랜트(Adam Grant)는 그의 저서 『싱크 어게인』에서 IQ가 더 중요한 직군과 EQ가 더 중요한 직군이 있다고 주장했다. 부동산 중개업, 고객서비스 담당자 등의 직군에서는 리더와 구성원의 EQ가 더 중요하지만, 엔지니어나 회계업무를 수행한다면 EQ의 중요도는 낮아지고, IQ의 중요도가 높아진다.


그런데, 최근 응용심리학저널(Journal of Applied Psychology)에 아주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됐다. 연구의 핵심은 지능이 높은 리더가 감성적으로도 잘 리딩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리더십 장면에서 IQ와 EQ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 수 있다는 말이다.


성공적인 리더십은 리더 혼자 모든 일을 도맡아하는 것이 아니다. 조직의 각 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을 적시적소에 잘 활용해야 한다. 리더와 관계가 좋은 구성원이라면 리더의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 자신의 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다른 구성원들이 직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자발적으로 도울 것이다. 이때, 지능이 높은 리더는 아무에게나 리더의 자원(정보, 재원, 시스템, 의사결정권한  등)을 공유하지 않고 성과가 탁월한 구성원과 신뢰 관계를 형성해 이들에게 리더가 가진 자원을 제공할 것이다. 이들은 리더의 신뢰를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성과 달성에 기여한다. 이러한 In-group 구성원의 역할은 직무 성과 달성에만 머물러 있지 않는다. 이들은 조직 내 팀워크를 강화하는 기능이나 도움 행동 등을 자발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해, 리더는 자신과 신뢰관계를 돈독히 형성한 In-group 구성원들을 통해 직무성과(in-role performance) 뿐 아니라, 관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등의 직무외 성과(out-role performance)를 달성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지능이 높은 리더가 이러한 전략적 관계를 잘 맺고 이를 통해 직무 성과와 직무외 성과 모두를 높일 수 있을까?


조지아대학교 테리 경영대학원의 파델 마타(Fadel Matta) 등의 연구진은 지능이 높은 리더가 구성원과 전략적 관계를 잘 맺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리더의 지능은 전략적 관계를 맺는데, 탁월한 기능을 한다. 




여기에 리더가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고, 자신의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으며, 스트레스에 잘 견딘다면 지능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더 커진다.




지능이 구성원과 전략적 관계를 맺는데, 영향을 발휘한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하지만, 똑똑한 리더가 겸손하지 못할 때의 위험을 경고하는 연구도 많으므로, 리더를 선택할 때 리더의 지능 뿐만 아니라, 겸손성과 같은 성격적 특성의 확인은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지능 측정을 어떻게 했을까 궁금했는데, 연구자들은 Wonderlic Test Practice라는 website를 활용했다. 예를 들면, 이런 문제들이다. 레이싱 카가 5초 동안 100피트를 이동한다면, 1분엔 피트를 이동할까?

궁금한 사람들은 직접 Wonderlic Test: Free Practice Test for 2024 - Wonderlic Test Practice을 방문해 확인해 보길 바란다.










 


작가의 이전글 엄살쟁이의 의외의 장점, 공감능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