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크롬망간 Dec 17. 2022

너, 히스패닉의 친구가 돼라

캘리포니아 2022


캘리포니아 2022 - 11. 너, 히스패닉의 친구가 돼라


처음 가 본 캘리포니아에는 히스패닉이 정말 많았다. 통계로는 캘리포니아 인구의 39%가 히스패닉, 38%가 히스패닉이 아닌 백인이라고 하는데 체감상으로는 히스패닉이 50%는 되는 것 같았다. 길에서도 스페인어가 정말 많이 들렸다.


지금은 미국에 살고 있는 오랜 친구 K를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나 한참을 돌아다니다가 시내 한복판의 유니언 스퀘어(Union Square) 광장에 앉아 쉬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던 중 내가 말했다.


"와, 히스패닉 정말 많더라."

"많지."

"스페인어 잘 하면 친해지기에 정말 좋겠어."

"아니, 하긴 하되 잘 하면 안 돼. 어설프게 해야 돼."


어? 히스패닉과 친해지려면 스페인어를 잘 하는 게 아니라 어설프게 해야 한다니 무슨 말이지? 잘 이해가 가지 않아 내가 물었다.


"왜?"

"스페인어를 유창하게 하면 원래부터 스페인어 잘 하는 사람인가보다 하고 생각해버리고 말거든. 그런데 누가 들어도 어설픈 외국인 발음으로라도 어떻게든 스페인어로 말하려고 노력하면 그걸 좋아해."


아하, 그러니까 외국인이 한국에 여행 와서 어설프게라도 "안녕하쉐요우 캄솨함니다" 라고 한국어로 인사하면 그게 좋게 보이는 것과 같은 거라는 거지. 이해가 갔다.


K와의 그 대화로부터 6일 후, 긴장되었던 학회 일정을 다 마치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샌프란시스코 근교에 있는 소살리토라는 마을 구경을 하다가 점심을 먹을 때가 되어 큰 길가에 있는 햄버거 집에 들어갔다. 식당은 멕시코 분위기가 물씬 풍겼다. 의자에 놓여 있는 선인장 모양 장식이 여기는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가 아니라 깔리뽀르니아의 산 프란치스코라고 외치고 있는 듯 했다. 종업원들도 다 히스패닉이었고 영업 허가증으로 보이는 종이도 영어와 스페인어 두 버전으로 벽에 붙어 있었다. 내 앞에 줄을 서 있던 백인 할머니의 주문이 끝나고 내 차례가 되었다.


"햄버거랑 루트 비어 주세요."

"14.57 달러예요."

"여기요."


돈을 내고 얼마를 기다리자 카운터에서 내 번호를 불렀다. 번호표를 내고 음식을 받아서 내 자리로 가려는데 카운터 뒤로 나에게 음식을 준 히스패닉 요리사가 보였다. 순간 K가 해 준 말이 생각났다. 짧은 시간이지만 엄청 고민을 하다가 내가 크게 말했다.


"그라시아스! (gracias, 고마워요!)"


무뚝뚝해 보이는 히스패닉 요리사는 아무런 말이 없었다. 순간 긴장이 되고 별의별 생각이 다 들었다. '내가 이상한 발음으로 자기를 놀린다고 생각했으면 어쩌지?' 바로 그 순간 요리사가 눈은 계속 도마를 보면서 크고 쾌활한 목소리로 쿨하게 대답했다.


"땡스 아미고! (Thanks amigo, 고마워 친구!)"


먼 옛날 대학생 때 배웠던 초급 스페인어는 다 잊어먹었지만 히스패닉의 친구가 되는 데에는 그렇게 그라시아스(gracias), 고맙다는 말 한 마디면 되었다. 아, 쑥스러움과 혹시라도 오해를 사서 일이 잘못되면 어떡하나 하는 과민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일상 속 작은 용기와 함께.

작가의 이전글 세상이 굴러가게 하는 비용 5.5 달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