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화 읽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도제작소 Jan 11. 2021

종과 횡으로 읽는 제1차 세계대전

샘 멘데스 감독의 <1917>

본 글은 스포일러와 줄거리, 평가가 없는'3無 영화읽기' 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제1차 세계 대전은 단순히 세계대전(World War) 또는 유럽전쟁(European War)이라 불렸다.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황태자의 암살사건으로 촉발될 전쟁은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이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은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해 양상은 달랐지만 역시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가장 큰 두 번의 전쟁이 모두 유럽에서 촉발되어 전세계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부딪쳤던 양대진영의 성격은 전쟁의 내재적 원인과 그 궤를 같이하고 있으며, 정체성이 달랐다. 


제1차 세계대전은 제국주의가 한창 팽창하던 시기 잠재되었던 그들의 욕망이 부딪치면서 발발한다. 이권에 의해 영국과 프랑스를 필두로 한 ‘협상국’과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를 필두로한 ‘동맹국’인 제국주의 진영이 맞서는 형국이었다. 19세기부터 팽창되던 유럽 강대국들이 식민지 쟁탈을 위해 부딪치며 그간 유지되어 왔던 힘의 균형이 무너진 것이다. 


참호라는 횡(가로)의 형태에서 종(세로)을 향한 시도가 이어질 때 삶과 죽음이 갈리고, 전진과 후퇴의 반복이 이어진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뿌리는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처리에 있지만, 패망한 국가의 극단적인 민족주의가 만들어낸 전쟁이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을 주축으로 하는 ‘연합국’과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를 주축으로하는 ‘추축국’이 맞서는 형국이었다. 


전쟁의 원인과 진영의 양태뿐만 아니라 전쟁의 형태(?)도 달랐다. 단순하게 제1차 세계대전은 평행으로 그어진 두 선을 두고 벌어진 전쟁이었다면, 제2차 세계대전은 점점이 분산되어 그 점에서 확산되는 다양한 형태의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전쟁이었다. 


19세기 제국주의의 식민지 쟁탈의 양상이 땅 위에 선(국경)을 긋는 작업이었듯이, 제1차 세계대전의 양상이 이와 흡사하다. 1914년 시작된 전쟁은 얼마 지나지 않아 교착상태로 돌입한다. 협상국과 동맹국은 그들의 주둔지마다 횡(가로)으로 길게 참호를 파고 대치상태에 돌입한다. 이후 제1차 세계대전은 전선마다 횡으로 형성된 참호 속에서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며 뺏고 뺏기는 형태가 된다. 

영화 <1917>은 참호로 대변되는 횡의 공간(가로, 삶, 휴식, 충전)과 참호 밖 종의 공간(세로, 죽음, 혼돈, 상처)의 대비를 통해 ‘임무(두 병사)’의 종단(전달 과정)을 


샘 멘데스 감독의 영화 <1917>은 바로 이러한 제1차 세계대전의 형태를 기반으로 한 영화다. 참호라는 횡(가로)의 형태에서 종(세로)을 향한 시도가 이어질 때 삶과 죽음이 갈리고, 전진과 후퇴의 반복이 이어진다. 모든 병사는 횡의 형태에서 휴식과 안정을 취하고 전쟁을 준비한다. 종의 형태에 돌입하는 순간, 머리라도 내미는 순간 조차도 위험에 놓이고 죽음과 맞서게 되는 형태다. 


<1917>은 초원에서 시작된다. 초원에 누워 한가로이 휴식을 취하는 풍경에서 시작해 횡(가로)으로 이동한다. 임무를 하달받은 두 병사는 횡을 이탈해 종(세로)으로 향한다. 임무를 위해 이동하는 모든 순간에 횡단의 형태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했으며, 전진을 위한 종단의 여정에서 사건이 일어나고 위험에 처했다. 


이를 위해 샘 멘데스 감독은 ‘원 컨티뉴어스 숏’이라는 기법을 사용했다. 원테이크와는 다르지만 최대한 길게 촬영한 롱테이크를 모아 편집점을 쉽게 눈치채지 못하게 찍고 편집한 것이다. 이 기법으로 인해 우리는 두 병사의 뒤에서 혹은 앞에서 함께 종과 횡의 여정에 동참하게 된다. 현장성도 현장성이지만 제1차 세계대전의 전쟁 형태에 대한 놀라운 기법의 사용이라고 하겠다. 관객의 현장 동참이라는 1인칭 시점을 통해 생생한 체험과 단순하게 도식화시킨 전쟁 형태의 영화적 체험을 위한 기법이다. 


영화의 종반부 쉼없이 종단을 횡단했던 카메라는 고요히 숲속에 머문다. 나즈막히 들려오는 병사의 노래소리와 함께 이제 횡(가로)을 지나 종(세로)의 지역으로 들어갈 이들의 숙연하면서도 죽음을 마주해야한다는 두려움의 얼굴들을 훑는다. 

이 장면 이후 영화는 마지막 장면으로 향한다. 종단의 극단, 종단이라는 개념의 상징과도 같은 마지막 장면이 펼쳐진다. 참호 속에서 대기하던 병사들이 신호에 따라 참호 밖으로 종으로 내달릴 때 유일한 한 명의 병사가 종의 행렬을 피해 횡으로 달린다. 달리며 부딪치고 쓰러지면서 거대한 종(세로)의 흐름을 비집고 횡(가로)의 족적을 남기며 임무를 성공한다. 영화 <1917>은 참호로 대변되는 횡의 공간(가로, 삶, 휴식, 충전)과 참호 밖 종의 공간(세로, 죽음, 혼돈, 상처)의 대비를 통해 ‘임무(두 병사)’의 종단(전달 과정)을 그렸다고 하겠다. 


<1917>을 통해 놀라운 형식 속에 전쟁영화가 보여줄 수 있는 스펙타클과 감동, 전율과 섬찟함까지 담았다. 기술적으로도 내용적으로 탄탄한 한 편의 전쟁 영화를 만나게 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만약(If)과 ‘아마도(Quizas)의 사랑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