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드라마 우영우, 서번트가 주는 메세지

장래혁의 뇌교육 가이드

K-콘텐츠의 비상을 새로이 이끌고 있는 화제의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주인공이 가진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특별한 두뇌 능력이 화제가 되고 있다.


중증 장애를 안고 있는 동시에 천재적 재능을 보이는 이들을 ‘서번트’라 부른다. 하지만, 이러한 것을 ‘재능’이라고 부르기엔 서번트들이 안고 있는 장애가 적지 않다.


서번트 연구의 권위자인 대럴드 트레퍼트(Darold A. Treffert) 교수를 비롯한 관련 연구자들은 서번트 대부분이 좌뇌 측두엽의 장애를 안고 있거나, 좌우뇌의 유기적 연결성의 문제로 인해 우뇌의 특정 영역의 능력이 발현되었다고 말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중 서번트를 다룬 드라마 우영우

서번트의 대중화를 이끈 영화 레인맨


1998년 개봉한 영화 <레인맨>. 경이로운 기억력을 소유한 자폐증을 가진 형(더스틴 호프먼)과 이기적인 동생(톰 크루즈)의 형제애를 다룬 휴먼 드라마.


특히, “<레인맨>은 개봉 101일 만에 지난 101년 동안의 서번트에 대한 대중적 관심보다 더 많은 주목을 이끌어 내었다.”고 할 만큼 서번트를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한 영화로 남다른 조명을 받았다.


서번트를 세상에 처음 알린 영화 <레인맨>

당시 서번트인 레이몬드 역을 맡았던 더스틴 호프만은 처음에는 찰리 역을 맡을 계획이었으나, 레슬리 렘키(Leslie Lemke)라는 서번트가 시각장애에 뇌성마비까지 있었지만 협주곡을 귀로 듣고 피아노로 그대로 쳐내는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것을 보고 눈물까지 흘리며 감동을 받아 레이몬드 역을 맡기로 결심했다고 알려졌다.


실제 영화 레인맨의 모델이던 킴 픽(Kim Peek)은 책을 한 장씩 넘기면서 읽으면 모두 기억하는 놀라운 두뇌 능력의 소유자로 여러 다큐멘터리에서 소개되기도 했다.


이러한 아주 특별한 ‘이디엇 서번트(idiot savant)’는 지난 10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100명가량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인맨의 실제 모델 '킴 픽(Kim Peeck)'

더스틴 호프만이 눈물을 흘렸다는 레슬리 렘키(Leslie Lemke)는 청각장애, 정신지체, 뇌성마비의 3가지 장애를 동시에 지녔다.


열 살 때 난생처음 들은 차이콥스키의 협주곡을 그 자리에서 완벽히 연주했고, 아무리 복잡한 곡이라도 100% 똑같이 연주해냈으며, 심지어는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로 편곡하기도 했다.


특히, 렘키는 알지도 못하는 그리스어로 부른 노래를 자신의 절대음감을 이용해 피아노 연주곡으로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어로 완벽히 재현해내기도 했다.


보통의 서번트들이 이들이 모방의 단계를 벗어나, 시간이 흐르면서 창조적 단계로 성장시켰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은 인물이기도 하다.


레슬리 렘키(Leslie Lemke)


단점 아닌 장점에 주목하다


하지만, 서번트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신이 내린 재능이라기보다 그들이 불치의 장애를 딛고 그 재능을 꽃피우기까지의 과정이다.


인간으로서 쉽게 범접하지 못할 능력이 하루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니라, 그들도 보통의 사람들처럼 그 재능을 보이기까지 수많은 고난과 인내가 있었음은 눈여겨 보아야 할 대목이다.


실제로 많은 서번트들 중에서도 두드러진 천재적 재능을 보이는 이들은 대부분 자신이 처한 상황에 아랑곳없이 끊임없는 도전과 훈련을 통해 재능을 무한대로 확장시켜 왔다. 그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모든 에너지를 쏟아낸다.


그들은 도전하고 또 도전한다. 서번트들은 한 사람이든 수천 명의 관중이든 언제나 모든 에너지를 쏟는다. 마치 자신이 가진 것을 세상에 보여주는 신성한 의식인 것처럼 그렇게 행동한다. 명예도 재물도 필요치 않으며, 그냥 있는 그대로 자신을 세상에 내어놓는다.


또한, 비범한 서번트의 뒤에는 언제나 무한한 믿음과 사랑을 주는 후원자가 있었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하다.


그들이 초기에 약간의 재능을 보이면서부터 이후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뇌의 능력을 보이기까지, 서번트와 후원자 간의 절대적 신뢰와 사랑의 관계가 없었다면 서번트의 능력 또한 성장에 한계가 있었을 거라는 것이 많은 연구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드라마에서 딸 우영우(박은빈)에게 무한한 사랑과 신뢰를 보내는 아버지의 존재는 그래서 절대적이다. 직장 상사인 시니어 변호사 정명석(강기영), ‘봄날의 햇살’이란 닉네임을 붙여준 로스쿨 동기이자 동료 변호사 최수연(하윤경), 서로의 애틋함을 키워가는 이준호(강태오)의 존재 역시 특별하다.


보통 사람(?)들도 누구나 단점과 장점을 갖고 있다. 아니 모두가 제각각의 장애를 갖고 있다. 단지 그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살아가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점을 키우기보다 단점을 부각시키고, 타인의 장점을 부러워하지만 자신의 장점을 잘 보질 않는다.


그러나 서번트들은 다르다. 장점을 부각하는 것이 곧 단점을 보완하고 오히려 승화시키는 것임을 서번트들은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는 것일지도 모를 일이다.


오늘날 서번트들에 대한 치료 방향은 어느 쪽일까. 장애를 치료하는 데 초점을 맞추느냐, 아니면 재능을 더욱 키우는 쪽이냐에서 결론은 후자의 방향이다. 재능을 꽃피우는 것이 장애를 보완하는 지름길임이 지난 오랜 기간의 연구 결과로 무게추가 옮겨왔기 때문이다.


불치의 장애와 신이 내린 재능을 동시에 갖고 있는 서번트들이 보여주는 절대적 믿음과 사랑 그리고 끊임없는 도전정신은 뇌가 가진 창조성에 대한 새로운 자각과 더불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작가의 이전글 멀티태스킹 사회, 두뇌활용 가이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