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Mar 18. 2024

평범한 사람을 위로하는 최고의 솜씨

영화 〈바튼 아카데미〉

     

7★/10★

 

  1970년. 크리스마스 방학을 앞둔 고급 사립학교 바튼 아카데미는 잔뜩 들뜬 마음과 깊이 실망한 마음이 교차하는 중이다. 들뜬 학생들은 저마다의 방학 계획이 있다. 실망한 학생들은 저마다의 사정으로 학교에서 방학을 보내야만 한다. 털리는 그중에서도 유독 더 심하게 좌절한 상태인데, 예정되었던 어머니와의 휴가가 방학 직전에 취소되었기 때문이다. 절망적인 소식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방학 기간 중 학교에 남아 학생들을 지도할 선생이 폴이라는 것. 고루하며 융통성 없는 고대 문명사 선생 폴의 지도하에 크리스마스를 보내는 일은 털리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끔찍한 일이다. 털리의 고난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그나마 몇 명 남아 있던 친구들조차 예고 없이 방문한 학생 부모의 제안으로 스키장으로 향하고 만다. 털리는 어머니가 전화를 받지 않아 스키장에 함께 가도 된다는 허락을 받지 못한다. 이보다 더 나쁠 순 없을 크리스마스다.     


  폴에게도 사연은 있다. 고지식한 폴은 동료들에게 늘 무시당한다. 이번에 학교에 남게 된 것도 그 때문이다. 원래 크리스마스에 학교를 지켜야 할 순번인 동료가 가족이 아프다는 거짓말로 폴에게 순서를 떠넘긴다. 이를 모르는 폴은 동료를 걱정하며 자애로운 태도로 그의 책임을 떠맡는다. 그러나 이런 태도마저 동료들에게 조롱거리가 된다. 그가 감독할 학생이 하필 털리인 것도 문제다. 일상의 모든 순간을 고대 문명과 연결해 교훈을 끄집어낼 줄 아는 폴은 반항심이 충만하고 극도로 예민한 상태인 털리와 사사건건 부딪친다. 폴이 조금은 애잔해진다.     



  학교의 급식을 담당하는 주방장 메리도 있다. 흑인 여성인 메리는 한때 아들이 바튼 아카데미에 다녔었다. 아들이 좋은 교육을 받았으면 좋겠다는 일념으로 메리는 어려운 형편에도 부단히 노력했다. 그러던 중 전쟁이 터졌고, 아들은 대학 등록금을 벌기 위해 참전했다. 그리고 죽었다. 학교는 해마다 메리의 아들을 기리는 예배를 진행하지만 메리는 여기서 위안을 받아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부잣집 도련님들이 주로 다니는 바튼 아카데미에서 요리하며 불평을 듣는 일이 늘상인, 슬픔에 젖은 가난한 흑인 여성 메리는 바트 아카데미에서 늘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사람이었다. 그런 그녀에게 아들을 위한 예배는 공허하고 허망하다.     


  사연 많고 상처 많은 세 사람의 크리스마스 연휴는 예상대로 영 순탄하지 않다. 분위기가 좋아질 듯하다가도 언제 그랬냐는 듯 갈등이 생긴다. 그러나 이 말썽과 소동, 혼란의 과정에서도 세 사람은 계속 같은 공간에 머물며 공통의 경험을 조금씩 쌓아 나간다. 여전히 서로를 이해할 수 없어 노려보고 한숨 쉬다가도 피식 웃게 되는 관계가 만들어진다.     


  털리와 폴은 의도치 않은 사고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메리를 그녀의 동생 집에 내려주고는 보스턴으로 향한다. 엄마와 이혼한 후 죽었다던 털리의 아버지가 정신병동에 입원해 있는 곳이다. 예민한 반항아 털리가 휘말린 소용돌이의 한복판이 드러난다. 상처는 털리만의 것이 아니다. 늘 고전이 전하는 감동을 설파하며 고고하던 폴 역시 자신의 졸업논문을 훔친 후 떵떵거리며 잘 사는 친구 앞에서 거짓 허세를 부린다. 두 사람은 깨닫는다. 누구나 남들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마음의 어두운 구석이 있다는 것을, 인간은 모순적 희로애락의 존재라는 것을. 그저 서로를 반항아와 꼰대 선생으로만 보고자 했을 때는 결코 알지 못했을 깨달음이다. 방학이 끝난 후 털리의 어머니가 자기 승인 없이 아이가 정신이 불안정한 아버지를 방문했다고 격분하며 이것이 교칙 위반이라고 지적할 때, 폴이 털리를 보호하기 위해 어른만이 할 수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던 건 이 깨달음 덕분이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뭉클하고 따뜻하다. 이 단어가 담아낼 수 있는 최대치를 실감할 만큼.     



  알렉산더 페인 감독과 배우 폴 지아마티의 만남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5년 작 〈사이드웨이〉에서도 둘은 이미 평범한 사람을 위로하는 최고의 솜씨를 선보인 바 있다. 일상적이지만 가볍지는 않은 일에 치이며 점점 궁지에 몰리던 주인공은 자신을 뺀 모든 것이 ‘제대로’ 굴러간다는 느낌에 낙담한다. 그러나 영화는 와인 향 물씬 풍기는 쌉싸름한 위로로 결국 주인공, 그리고 그를 지켜보는 관객을 웃게 만든다. 대단할 것 없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긍정하고 여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을 설득력 있게 해내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사이드웨이〉와 〈바튼 아카데미〉처럼 이 소재를 온기가 전해지는 웃음으로 마무리하기는 더더욱 어렵다.     


  삶이란 그 체계를 결코 완전히 해석할 수 없을 구조적 폭력에 짓눌린 채 끙끙대는 무엇이라 보는 입장에서, 따스한 웃음으로 삶을 긍정하게 만드는 이런 유의 영화는 내 취향이 아니다. 조금 거칠게 말하면, 이런 영화가 일시적 자기기만이라 느껴질 때도 있다. 그러나 알렉산더 페인과 폴 지아마티의 놀라운 솜씨 앞에서는 생각을 고쳐먹지 않을 도리가 없다. 적어도 이 영화를 보고 기억할 때까지 가슴 속에서 무언가 뭉클거리는 느낌을 간직할 수 있다면 그 시간 동안에는 적어도 따스한 행복, 설령 ‘마취’에 불과하더라도 기꺼이 만끽할 그 따스한 행복에 젖어 있을 수 있을 테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다정하고 따뜻하게 꿈틀거리는 관계의 성장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