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우리의3시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PLS 이혜령 May 15. 2024

건강한 몸과 아픈 몸

포도뮤지엄, 《어쩌면 아름다운 날들》

늦은 여름 시작된 통증에 뒤늦게 찾아간 병원. 한 달이면 나아지겠지, 봄이면 나아지겠지... 얇은 옷이 두꺼운 겨울 옷으로 바뀌고 다시 가벼운 외투로, 다시 여름 반팔을 꺼내 입을 때까지도 여전히 병원을 오가고 있다. 치료 이후 건강한 몸과 아픈 몸이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을 나누는 게 일상이 되었다. 치료가 생각보다 길어지는데도 나아지지 않아 초조해졌다. 차도가 없는 것이 관리를 잘못하고 있는 내 탓 같았다. 더딘 회복, 다시는 건강한 몸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두려움과 관리에 소홀히 한 죄책감으로 인해 아픈 몸에 우울감까지 더해졌다.


《어쩌면 아름다운 날들》은 아픈 몸 그 가운데에서도 노화와 노화로 기억과 인지력이 서서히 사라지는 ‘인지저하증’을 둘러싼 다양한 감정과 기억에 대해 다룬다. 이 전시는 점점 사라져 가는 기억으로 인한 상실감과 고독, 치유할 수 없는 질병에 대한 두려움, 조각조각 부서지는 소중한 삶의 순간에 대한 안타까움, 절망을 이야기하면서도 지속되고 있는 삶을 담았다.


고독한 투병의 시간뿐 아니라 그 고통을 지켜봐야만 했던 누군가의 두려움을 표현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밀실>은 오랜 투병으로 인한 고립감과 쓸쓸함이 전해져 서늘하게 가슴을 찔렀다.


까맣게 타버린 듯한 집, 책상 하나가 덩그란히 놓여 있는 일상의 한 공간. 시오타 치하루의 <끝없는 선>이라는 작품이었다. 마치 모든 기억을 삼켜버린 몸을 상징하는 것 같아 마음이 무너져 내리는 것 같았다. 기억을 구성하고 있던 언어의 파편이 쏟아져 내리는 듯 (혹은 뿔뿔이 흩어진) 길게 늘어진 선들에 매달려 있다. 이 언어의 파편들은 어디와 이어지고 있는 걸까?


전시는 그들이 처한 아픔을 슬픔과 불운으로만 그려지지 않는다. 혈관성 치매를 진단받은 어머니를 사진으로 기록한 쉐릴 세인트 온지는 어머니의 삶 속에서 가볍고도 명랑한 순간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담아냈다. 그들의 아픔을 슬픔과 불운으로만 담아냈다면 우리는 온지가 포착한 아름다운 순간들을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나로 살았으니까, 나로 죽을래”

기억을 잃어버린다면, 더 이상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소중한 기억을 잃고도 나는 나일 수 있을까? 얼마 전 종영한 <눈물의 여왕>에서 김지원은 기억상실 부작용이 있는 수술을 거부한다. 죽음과 기억의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의 기로. 그래도 살아야지, 하면서도 그 마음이 이해됐다. 나라면 수술을 결심할 수 있을까? 동시에 내 가족이라면 어땠을까? 두 질문의 답은 같지 않았다. 드라마의 마지막까지 김지원의 기억은 돌아오지 않았다. 기억이 돌아오지 않았지만, 드라마는 해피엔딩으로 끝났다. 회복되지 않았지만 삶은 지속된다. 건강한 몸과 아픈 몸, 관리한 몸과 관리에 소홀한 몸, 치유할 수 있는 몸과 치유할 수 없는 몸으로 나눠버린다면, 그 삶을 절망과 슬픔, 우울함만으로만 채워버리고 많은 것들을 놓치게 될지 모른다. 아픈 몸속에서도 삶의 찬란한 순간은 계속된다.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건강한 몸이 아니라 ‘어쩌면 아름다운 날들’ 일지 모른다.





매거진의 이전글 전하지 못한 마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