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소 Mar 22. 2020

난민캠프에서 사회적 거리?

by 김연주

코로나19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아직 많고, 계속해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는 시점에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가 전세계적으로 실천되고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코로나19(Corona Virus Disease, COVID-19)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시작된 캠페인으로 외출을 최대한 삼가고 여러 사람이 모이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조치이다.[1] 아무리 건강하거나 증상이 없이 지나가는 사람이라고 해도 바이러스 보균자일 수 있고 그런 사람들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이 될 가능성도 크다.[2] 선진국이든 개발도상국이든 전 세계적으로 피해가 늘어나고 있고 한국처럼 빠르고 완강한 조치를 통해 감염 확산을 막고 있는 나라들도 계속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해야 할 필요가 있다.[3]


하지만 난민캠프는 다르다. 코로나 사태 전에도 과잉 수용과 자원 부족 문제 때문에 위생 상태가 좋지 않았던 난민캠프는 전염병에 특별히 더 취약하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코로나19는 청결한 위생 상태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통제하는 방법 밖에 없는데 난민캠프에서는 둘 다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장기간 열악한 난민캠프 생활로 인해 이미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코로나에 감염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더 나아가 난민캠프 내에서의 건강과 위생 상태 같이 실질적인 문제 외에 난민과 유색인종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겪고 있는 사회 내에서의 무분별한 차별과 이로 인한 정신적 피해도 무시할 수 없다. 이미 코로나에 대한 잘못된 인식 때문에 많은 아시아인이 인종차별을 받고 있고 감염위험이라는 명목 하에 난민들을 포함한 이주자들을 거부하고 비하하는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다.[4] 

유엔인권 최고대표 미첼 바첼렛(Michelle Bachelet)과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 필리포 그란디(Filippo Grandi)는 이번 코로나 발생이 우리의 가치와 인간성을 시험할 것이라고 하면서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과 정책의 성공은 사회에서 가장 취약하고 힘이 없는 사람들을 어떻게 돌보고 보호하느냐에 걸려있다고 했다.[5] 단순히 국경을 막고 문을 걸어잠그는 것만이 해결책이 아니다.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되 인간적인 거리를 두지 않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 이다. 결국 공포감에서 나오는 차별과 사회 약자들을 향한 무심함이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는 바이러스보다 더 큰 위협이 되어 돌아올 것이다. 말라리아와 콜레라를 박멸했을 때와 같이 코로나도 우리 사회의 가장 취약한 사람이 안전하기 전까지 박멸되지 못할 것이다. 이것이 이 혼돈의 시기에 아무런 관심도 받지 못하고 열악한 환경에 사는 난민들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다.



[1] 시사상식사전. 2020. “사회적 거리두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928099&cid=43667&categoryId=43667

[2] Rabin, Roni Caryn. 2020. ”They Were Infected With the Coronavirus. They Never Showed Signs.” New York Times, March 6. https://www.nytimes.com/2020/02/26/health/coronavirus-asymptomatic.html.

[3] Tharoor, Ishaan. 2020. “South Korea’s coronavirus success story underscores how the U.S. initially failed.” Washington Post, March 17.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2020/03/17/south-koreas-coronavirus-success-story-underscores-how-us-initially-failed/.  

[4] Fallon, Katy and Harriet Grant. 2020. “Lesbos coronavirus case sparks fears for refugee camp.” The Guardian, March 11. https://www.theguardian.com/global-development/2020/mar/11/lesbos-coronavirus-case-sparks-fears-for-refugee-camp-moria

[5] Bachelet, Michelle and Filippo Grandi. 2020. “The coronavirus outbreak is a test of our systems, values and humanity.”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 March 12. https://www.unhcr.org/en-us/news/latest/2020/3/5e69eea54/coronavirus-outbreak-test-systems-values-humanity.html

매거진의 이전글 DACA 미성년 입국자 추방 유예 제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