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새벽나무 Oct 29. 2021

어떤 순간

길을 걷던 중이었다. 동네 골목에 있는 편의점 앞에 고등학생쯤 되어 보이는 남학생 네댓 명이 모여 있었다. 큰 소리로 웃고 떠들고 있길래 힐끔 보았더니 내쪽에서 보인 두 명은 마스크도 끼고 있지 않은 채였다. 무언가 나눠 먹고 있는 걸지도 몰랐다. 


시선을 거둔 채로 가던 길을 계속 걸었다. 고요한 아침 공기는 멀어져 가는 나의 등 뒤로도 그들의 이야기를 또렷이 전해왔다. 


“여자애가 양악을 하고 싶다고 하면, 일단 오른쪽 죽빵을 날려.”


순간 제대로 들은 게 맞나 싶었다. 양악 수술은 뭐고 죽빵은 다 뭔지. 내가 지금 2011년으로 돌아간 건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로 오랜만인, 이미 지난한 폭력과 혐오의 역사 속으로 사라진 단어들을 만난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내 청력은 여전히 건재한 모양이었다.


“그러면 여자애가 ‘OO야, 오른쪽 완전 홀쭉해졌어. 얼른 왼쪽도 쳐줘.’ 할 거야.”


남자애는 목소리를 하이톤으로 높이곤 간드러진 말투로 스스로 만들어낸 가상의 여자애 흉내를 냈다. 나름대로 회심의 드립을 날린 아이는 다시 원래의 변성기를 벗어나지 못한 목소리로 돌아와선 호쾌하게도 웃었다. 그 이야기의 어디가 그렇게도 재미있었는지 듣고 있던 다른 아이들의 천진한 웃음소리까지도 귓등까지 쫓아와 나를 때렸다. 


아 차라리 2011년이었다면 좋았을 텐데. 

그러면 나는 10살이나 어려지고, 세상은 다시 멍청해질 텐데. 그렇다면 저 이야기가 이렇게까지 슬프게 들리진 않을 텐데 말이야.


왜 2021년일까. 어쩜 그렇게 10년이 훌쩍 흘렀을까. 10년이 흘렀는데도 왜 여전히 저런 이야기가 아무렇지 않게 농담거리로 골목을 누비고 있을까. 10년 전에는 그저 맑고 순수했을 아이들이 어디서 저런 이야기를 다 들었을까. 


내 안에 있던 마른 낙엽이 파사삭 부서지는 소리가 났다. 

나는 어쩌면 좋을지 몰라 그저 아, 하고 탄식했다. 


그냥 계속 길을 걸었다. 

어쩌면 좋을지 몰라 -



keyword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