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역삼동 이변리사 Oct 26. 2020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

방법과 장점 특징

본 글은 2022년 8월에 다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미국 출원 상표의 브랜드 레지스트리 등록 여부)


최근 아마존 내에 직접 한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가 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세계적인 규모의 소비자가 찾는 거대한 플랫폼이기 때문에, 이렇게 진출하는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 중 브랜드 레지스트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에 대한 정보는 2020년 10월 1일 기준입니다. (향후 본 자료를 참고하시는 경우, 아마존의 정책이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니, 작성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란?


아마존이 판매하는 국가 (미국, 브라질, 태나다,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일본,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유럽 연합)에서 등록된 상표권을 가지는 경우, 이를 아마존에 등록하여, 아마존이 제공하는 다양한 브랜드 관련 혜택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2.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에서 제공하는 지원 내용


(1)  A+ 콘텐츠 매니저(A+ Contents Manager) = 舊 브랜드 강화 콘텐츠 (Enhanced Brand Contents)

: 아마존의 브랜드레지스트리에 등록한 셀러만이 A+ 콘텐츠(EBC)를 사용할 수 잇습니다. A+ 콘텐츠는 브랜드 제품 상세 페이지를 수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다른 일반 판매자와의 차별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특히, 동영상 및 기타 사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어, 다른 판매자에 비해 월등한 상세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별도의 유료 플랫폼인 프리미엄 A+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EBC(A+ Contents) 예시 >

가전 제품: https://www.amazon.com/dp/B019Q6F9F4 

의류: https://www.amazon.com/dp/B01LRE6HYU 

식료품: https://www.amazon.com/dp/B01I78DXVE

(출처 : Enhanced Brand Contents (EBC) 안내 by amazon)



(2) 아마존 스토어

: 아마존 내에 자체 브랜드 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동일 브랜드 내에 여러 상품이 있을 때에, 사용자는 브랜드 네임을 클릭하면 아마존 내에서 다른 라인업의 상품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LISTERINE :  https://www.amazon.com/stores/Listerine/Listerine/page/7CED296C-1562-4546-A784-9ADDFD39A172/?ref_=a20m_us_strs_cw_lst


(3) 광고 기능 

: 브랜드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경우에는 브랜드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4) 지재권 위반 신고 가능

: 전세계적으로 많은 상품 플랫폼에서 지재권(특히 상표)을 위반하는 상품들을 손쉽게 적발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판매 플랫폼에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 내에서 지재권 위반 신고는 실질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3.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를 빨리 받는 방법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를 빨리 받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를 빨리 등록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권리행사를 하게되는 방법과는 별개의 방법이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IP ACCELATOR 통해 상표권 진행 


IP ACCELATOR을 통해 상표권을 진행하는 경우, 출원 단계가 진행된 이후에 바로 BRAND REGISTRY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대신, IP ACCELATOR을 진행하는 비용은 일반적인 상표출원 비용에서 다소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IP ACCELATOR은 아마존에서 직접 컨택이 가능합니다.


https://sellercentral.amazon.com/gspn/searchpage/IP%20Accelerator?ref_=ABRIPAGS&sellFrom=US&sellIn=US&localeSelection=en_US



(2) 미국 출원 이후 no registered trademark 프로세스를 통해 진행


현재, 베타 프로그램으로, 상표권을 출원한 상태에서도 등록이 가능합니다. 다만, 절차 내에서 이것이 진행되는 속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현재는 상표권 출원 번호만으로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브랜드 등록(brand enroll) 단계에서는 출원번호로 접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습니다.


< 등록 번호는 상표권이 등록된 후에 발생되는 번호이고, 일련 번호(Serial Number)는 출원에서 생성되는 번호를 의미 >


< 2022년 업데이트 내용 >


현재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에서, 미국 출원 상표를 수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었고, 현재 기준으로는 거절되는 사례가 매우 적은 것(1%미만)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미국 출원 후 브랜드 레지스트리를 진행하는 것을 통해 빠르게 브랜드 레지스트리에 등록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4. 해외에서 상표권 등록을 진행할 때에 유의할 점


(1) 상표권을 출원하는 것과 상표권을 등록받는 것은 다른 절차입니다.


국내에서 상표권을 진행하였다면, 똑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해외의 절차도 상당부분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단순히 출원만을 진행하는 것은 '상표권 등록을 받게 해주십시오'라는 신청을 완료한 것으로 이것은 출원을 완료한 것으로 볼 수가 없습니다. 차후에 심사를 받아 등록까지 이어야만 최종적인 등록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해외 출원은 가격만을 보고 판단하기 보다는 '선행상표 검토'여부를 체크해야 합니다. 많은 해외 상표출원들이 단순히 일치 검색(identical search)만을 진행하고, 일치 상표가 없다는 이유로 출원을 진행합니다.


상표의 등록에 관한 기준은 일치성이 아니라 혼동가능성(likelihood of confusion)이니, 이러한 추가적인 작업을 진행하고, 해외 출원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법과 마찬가지로,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도 이 혼동가능성(likelihood of confusion)에 대한 많은 판례와 법조항을 검토한 이후에야 등록 진행 가능성을 판단합니다. 섣불리 해외 상표를 진행하였다가, 출원이 거절되는 것 보다는 면밀히 검토하고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외 출원은 절차와 비용이 크기 때문에, 가격만을 판단하기보다는 검토를 하고 진행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국가별 상표제도의 특징 


간략히 국가별 상표제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내용에 대해서는 향후 국가별로 다시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1) 중국 : 전세계인들이 모두 중국에 상표권을 출원하면서, 상표권 획득이 점차적으로 어려워지고, 비용도 더 많이 들어가는 구조로 변화


2) 미국 : 1회에 등록되는 것이 아니라, 심사 후 사용증명제도를 통해 2차적으로 상표권을 등록해야 함


3) 유럽통합상표권 : 단어에 대한 성질표시 상표여부만을 검토하고, 1차적으로 모두 등록하는 절차를 통해 상표권 획득 가능성이 높으며, 유럽 전체에 적용(브렉시트 이후에는 영국 제외).




이상입니다. 궁금하거나 문의 사항이 필요한 부분은 언제든 연락 부탁드립니다.


특허사무소 온음 / 이광재 변리사 / omipc@omipc.com / 02-562-5628

매거진의 이전글 신메뉴 이름에 대한 상표권 출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