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웅글 Aug 28. 2022

3주 동안 차를 운전하며 들었던 생각



아침, 저녁으로 선선해졌지만 아직도 한낮의 햇빛은 따갑다. 마치 싱숭생숭한 기분같이 선선해서 좋았다가 따가움에 눈살을 찌푸리게 된다.


꼭 그런 날처럼 좋지도 그렇다고 나쁘지도 않은 일이 생겼고 나는 그 덕분에(?) 아버지 차를 운전하게 됐다. 이십구만이나 내달린 흰색 아반떼 MD를 말이다.


무엇이든 내 것이 아니면 거들떠보지도 않아서 남의 물건은 물론 심지어 가족의 물건에도 욕심 없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아버지께 들은 말 중에는


'다른 자식들은 아버지 차로 몰래 운전도 한다던데 너는 전혀 안 그러더라?'


옳고 그름 따위로 구별지을 수 없지만 남자라면 특히, 자식이라면 한 번쯤 시도해 볼 보편적 일에 나는 반대인 사람이라 말하는 것 같았다.


맞다. 나는 청개구리 같은 성격으로 항상 반대로 생각하곤 한다. 아무튼 타의적으로 하게 된 운전은 조금씩 자의적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거의 3주를 출퇴근과 아버지의 병원, 치과를 다녀오는데 이용했다. 전에 비해 살 떨리는 기분은 들지 않았고 무던히 내 갈 길을 가기 쉬워졌다 말할 수 있겠다.





오토바이를 타던 때처럼 도로에는 교통 흐름이 존재한다. 제한속도가 정해져 있지만 대부분은 다수가 암묵적으로 도로마다 만들어둔 속도와 관습 같은 게 교통 흐름을 좌우한다고도 볼 수 있다.


차 간의 거리는 운전자의 습관에 따라 결정되고 좌우 차선 변경 또한 속도에 따라 진입의 허용과 거절이 결정된다.


차선 변경은 차의 노란 깜빡이로 진입 의사를 상대에게 표현한다. 여기서 속도는 앞뒤 차와 같아야 하며 둘 사이로 들어갈 거리가 내 차의 길이보다 넓을수록 좋다.


대체로 좁은 경우 진입 의사가 거절될 확률이 높다. 조금 여유롭고 배려심이 깊은 뒤차 운전자가 속도를 줄여 진입을 허용해 주기도 하지만 그러지 않을 일이 더 잦다.


만약 거절을 당했다면 다른 길로 우회하거나 속도를 줄여 거절당한 차량을 앞으로 보내고 그 뒤로 들어가는 것도 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


엄연히 도로에는 비언어적 표현이 존재하는 것이다.


속도와 깜빡이, 이 두 가지를 적재적소에 사용하고 급하지만 않으면 비언어적 표현만 가지고도 운전자들은 대화가 가능한 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눈치게임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그래서 이 게임을 이해하지 못한 운전자들은 언젠가 사고를 당하거나 만들게 될지도 모른다.


그래서 운전이라는 것이 인간관계처럼 적절한 거리와 속도를 상대에 어떻게 맞춰주느냐가 중요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가장 어둡고 밝은 사적인 밤의 생각을 흘려보낸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